이경식 공경단 학원
근세 문헌 조선 전기 ( 16 c 중종 시대 )
228. ❶ 【 】 |
✻ 최세진이 지은 어린이용 한자 학습서 ✻ 1527 ( ❷ 【 】 22 ) ✻ 저자 : 최세진 ( 崔世珍 1468 ~ 1542 ) ▸ 역관 출신 어문학자 ▸ 중인으로서 특전 받아 1503 별시 문과에 급제 ▸ 동지중추부사 역임 ✻ 종래의 「천자문」 등은 일상 생활과 거리가 먼 고사 (故事) 와 추상적인 내용이 많아 어린이 학습용으로 부적당하여 이를 보충하기 위해 저술 ✻ 새, 짐승, 풀, 나무 등 일상생활과 밀접한 글자를 33 항목으로 분류하여 열거 ✻ 한자 3,360 자를 한글로 음과 뜻을 표기, 상ㆍ중ㆍ하 3 권 상권 : 천문 (天文) 등 16 문 / 중권 : 인류 (人類) 등 16 문 / 하권 : 잡어 (雜語) |
정답
❶ 훈몽자회 (訓蒙字會) ❷ 중종
229. 천명도설 (天命圖說) 2018.4.7 국가직 9급 |
✻ 성리학의 천명 (天命) 과 인성 (人性) 의 관계를 그림과 함께 설명한 책 ✻ 조선 1537 (중종32) ✻ 저자 : ❶ 【 】 ( 1509 ~ 1561 ) 호 : 추만 (秋巒). 조선 중기의 학자 ✻ 저자가 「성리대전 (性理大全)」 에 있는 주희의 인물지성 (人物之性) 에 대한 이론과 학설을 참고하여 성리학 이론을 ❷ 【 】 으로 표현하고 해설 붙임 ✻ 1553 ( ❸ 【 】 8 ) ❹ 【 】 으로부터 수정ㆍ고증을 받아 신도 (新圖 새 그림) 완성. 원래의 그림을 천명구도 (天命舊圖) 라 하고, ❺ 【 】 의 수정을 받은 그림을 천명신도 (天命新圖) 라 함 ✻ 그림은 천원지방 (天圓地方 ❻ 【 】 은 둥글고 ❼ 【 】 은 네모지다) 이론을 본떠 위로 천명 (天命) 의 영역을 그리고, 아래로는 인체의 각 부위를 그림 ✻ 본서의 천명도 (天命圖) 그림은 퇴계 이황과 고봉 (高峰) ❽ 【 】 (奇大升 1527 ~ 1572) 의 사칠논변 (四七論辨) 의 발단이 됨 ✻ 사칠논변 (四七論辨) 이황과 ❾ 【 】 이 1559년부터 1566년까지 8년 동안 서신 왕래를 통하여 전개한 사단 (四端) 과 칠정 (七情) 에 관한 논쟁. 정지운은 천명구도 (天命舊圖) 에서 ‘ 사단은 이에서 발하며 칠정은 기에서 발한다 (四端發於理 七情發於氣) ’ 라고 표현하였는데 이를 이황이 ‘ 사단은 이의 발함이요, 칠정은 기의 발함이다 (四端理之發 七情氣之發) ’ 로 수정하여 줌 → 이후 정지운이 이를 책자로 발간하여 천명도설이 널리 알려짐 → 이에 대하여 고봉 (高峰) ❿ 【 】 (奇大升) 은 사단과 칠정을 이와 기로 구분하는 것은 맞지 않다는 입장을 취함 (주기론) → 이후 이황의 입장을 지지하는 우계 (牛溪) 성혼 (成渾) 과 그에 반대하는 율곡 (栗谷) 이이 (李珥) 사이의 논변으로 발전. ( 퇴계 계열은 ‘주리파’, 율곡 계열은 ‘ 주기파 ’ ) |
정답
❶ 정지운 (鄭之雲) ❷ 그림 ❸ 명종 ❹ 이황 ❺ 이황
❻ 하늘 ❼ 땅 ❽ 기대승 ❾ 기대승 ❿ 기대승
![경주 옥산서원 (이언적을 제향하는 서원)[사진] 한국학중앙연구원](/news/photo/202302/742128_76193_2053.jpg)
230. ❶ 【 】 |
✻ 이언적이 중종에게 올린 상소문 ✻ 조선 1541 ( 중종36 ) ✻ 저자 : 이언적 ( 李彦迪 1491 ~ 1553 ) 호 : 회재 (晦齋) ▸ 조선 중기의 문신, 학자 ▸ ❷ 【 주리 / 주기 】 론 (기보다 이를 중시), 이선기후설 (理先氣後說) 강조 → ❸ 【 이황 / 이이 】 에게 계승 ▸ 양재역 벽서사건 (1547 ❹ 【 】 2) 에 연루되어 강계 유배 후 많은 저술 남김 ▸ 주요 저서 : 「구인록 (求仁錄)」, 「대학장구보유」, 「봉선잡의」, 「중용구경연의」, 「속대학혹문」, 「오잠 (五箴)」, 「진수팔규」 ✻ 홍문관 부제학 이언적이 관원들과 함께 올린 1강 (綱) 9목 (目) 의 10조로 된 상소. 정치의 도리를 논함 ✻ ❺ 【 】 의 마음씀 (人主之心術) 을 근본 강령으로 규정 ✻ 가정 법도의 엄숙, 국가 근본의 배양, 조정 기강의 정대, 인재 취사의 신중, 하늘 도리에 순응, 언로를 넓힘, 사치 욕심의 경계, 군자의 길을 닦음, 일의 기미를 살핌을 도모할 것을 강조 |
정답
❶ 일강십목소 (一綱十目疏) ❷ 주리 ❸ 이황 ❹ 명종 ❺ 임금
231. 표제음주동국사략 (標題音註東國史略) 2017.6.24 서울시 9급 |
✻ 「동국통감」 을 바탕으로 ❶ 【 】 ~ 고려의 역사를 약술한 통사 ✻ 조선 1540 년대로 추정 ( ❷ 【 】 代 ) ✻ 저자 : 유희령 ( 柳希齡 1480 ~ 1552 ) 호 : 몽암 (夢菴) ▸ 조선 중기의 문신 ▸ 1545 ❸ 【 】 사화 때 유배, 유배지에서 사망 ✻ ❹ 【 】 의 「동국통감」 이 양이 방대하고 일반인이 읽기에 너무 상세하여 내용에 제목을 달고 (標題), 인명, 국명 등 고유 명사의 음에 주를 달아(音註) 간략하게 편찬 ✻ 「동국통감」 과 달리 삼국 이전의 역사를 외기 (外記) 가 아닌 본편으로 다루었고, 삼국을 고구려 - 백제 - 신라의 순으로 기술. ( 고구려사 강조 ) ✻ 구성 : ❺ 【 】 ~ 고려의 통사. 총 12 권 • 권 1 : 단군, 기자, 위만조선, 사군, 삼한, 고구려 등 • 권 2 : 백제 • 권 3 : 신라 시조 ~ 효성왕 • 권 4 : 신라 경덕왕 ~ 경순왕, 가락국, 발해국, 궁예, 견훤 • 권 5 : 고려 태조 ~ 정종 ( 10 왕 ) • 권 6 : 고려 문종 ~ 예종 ( 6 왕 ) • 권 7 : 고려 인종 • 권 8 : 고려 의종 ~ 강종 ( 5 왕 ) • 권 9 : 고려 고종, 원종 • 권 10 : 고려 충렬왕 • 권 11 : 고려 충선왕 ~ 충정왕 • 권 12 : 고려 공민왕, 공양왕 (우왕, 창왕을 끝에 부기) |
정답
❶ 단군 ❷ 중종 ❸ 을사 ❹ 서거정 ❺ 단군
232. ❶ 【 】 2017.6.17 지방교행직 9급 / 2018.6.23 서울시 제2회 9급 2018.8.18 국가직 7급 / 2019.4.6 국가직 9급 |
✻ 조선 시대 서당에서 초등 교재로 사용한 책 ✻ ❷ 【 】 세기 전반 (중종 代) ✻ 저자 : 박세무 ( 1487 ~ 1564 ) 조선 중기의 문신 ✻ 서당에서 초학 아동이 천자문을 학습한 후 다음 단계에서 배우는 교재 ✻ 오륜 (五倫) 설명 ✻ 중국 역사 ( 삼황오제 ~ 명나라 ) ✻ 우리나라 역사 ( ❸ 【 】 ~ 조선 ) ✻ 저자에 대해 이설 (異說) 존재 ( 김안국 說 등 ) |
정답
❶ 동몽선습 (童蒙先習) ❷ 16 ❸ 단군

현, 공경단 학원 공시 한국사 강사
전, EBS 중학프리미엄 한국사 강사
에듀윌 한국사 능력 검정시험 강사
학습문의) kyongshik@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