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시험 한국사과목 주요 기출로 고득점 얻기
상태바
공무원시험 한국사과목 주요 기출로 고득점 얻기
  • KG패스원
  • 승인 2015.09.04 13:3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그곳에 가면 기출문제가 보인다.

연재순서 : 1주차: 제주도, 2주차: 울릉도와 독도, 3주차: 강화도, 4주차: 간도, 5주차: 공주

6주차: 경주, 7주차: 평양, 8주차: 서울

제주도는 우리나라임에도 불구하고 그 이국적인 풍경 때문에 휴가철이 아니더라도 사계절 내내 관광객이 모여든다. 요즘은 본격적인 여름이 오기 전, 마지막 봄을 붙잡으려는 사람들 덕분에 더욱 붐비는 것 같다. 그런데 한라산이 있는 제주도 좋고, 맛집과 멋집이 많은 제주도 좋지만, 우리 역사 속의 제주도에 대해서는 얼마나 알고 있을까?

‘사랑하면 알게 되고, 알면 보이나니 그때 보이는 것은 전과 같지 않으리라.’고 말한 조선 시대 한 문인(文人)의 말을 굳이 인용하지 않더라도, 제주에 대해 알면 알수록 제주가 더욱 풍성하게 다가올 것임은 두 말 할 필요도 없을 것 같다.

 더 많은 수험자료를 얻고싶다면 KG패스원 카페 http://cafe.naver.com/passonelab

제주도에서 찾는 역사 이야기

♢ 제주 빌레못과 한경 고산리 유적

1970년대 발견된 구석기 후기 유적지인 제주 빌레못 유적은 구석기 시대의 다양한 유물 및 화석이 발견되었다. 자르개, 찍개, 긁개 등의 구석기 시대 석기들과 황곰뼈, 순록의 이빨 등 동물의 화석이 그것이다. 황곰과 순록 등은 내륙에 서식하던 동물이었는데, 이러한 발견으로 당시 제주도가 육지와 연결되어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제주 한경 고산리 유적은 신석기 시대 전기의 선사유적으로, 가장 오래된 토기인 이른 민무늬 토기가 이곳에서 발견되었다.

♢ 삼별초 최후의 격전지

제주 북제주군 애월읍에 있는 항파두리성(缸坡頭里城)은 강화도에서 진도로, 다시 제주도로 건너와 몽고에 저항한 삼별초의 마지막 보루로, 항몽의 주요 거점지였다.

1231년 몽고가 쳐들어오자 고려 왕조는 강화도로 천도하였는데, 삼별초는 이후 40여 년 동안 몽고에 끈질기게 항전하였다. 하지만 버티던 고려 정부가 몽고와 강화조약을 맺고 개경으로 환도하게 되는데, 삼별초는 이에 반대하며 강화도에서 진도로 기지를 옮긴다. 그리고 진도에서 항전하던 삼별초가 여·몽 연합군에 패한 후, 다시 한 번 근거지를 옮기는데, 그곳이 바로 제주이다. 이곳에서 삼별초는 내외 이중으로 항파두리성을 쌓고, 당시 지휘관이었던 김통정 장군은 몇 차례 승리를 거두기도 했으나, 결국 대패하여 전멸한다. 현재 이곳은 항파두리항몽유적지라는 이름으로 사적으로 지정, 역사 교육의 현장으로 보존되고 있다.

♢ 제주 4·3 사건

제주 4·3 사건의 도화선은 1948년 3월 1일, 경찰서 습격으로 오인한 경찰이 군중에 쏜 총에 주민 6명이 사망한 사건이었다. 그러나 사건이 일어나자 미군정은 사건의 본질을 호도하고 ‘제주도 인구의 70%가 좌익 단체에 동조했거나 이 사건에 관련이 있는 좌익분자’라 하여 좌익 색출에 집중했다.

마을의 95% 이상이 불에 타 없어지는가 하면, 재판 절차도 없이 주민들이 집단으로 사살되기도 하였다. 공식적으로 희생된 인원만 1만 4028명인데, 실제로는 훨씬 많은 수의 무고한 양민이 4·3 사건에 연루되어 억울하게 희생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2003년 10월 31일, 참여 정부에 들어서서야 이 사건에 대해 대통령(노무현)이 직접 사과하였고 국가권력에 의한 대규모 희생이 이루어졌음이 인정되었다. 국가는 유족과 제주도민에게 공식 사과문을 발표, ‘제주 4.3 사건 진상 규명 및 희생자 명예 회복에 관한 특별법’을 제정하였다. 이것으로 유족들의 명예가 일부 회복된 측면이 있지만, 당시 억울하게 희생된 사람들은 살아 돌아오지 못한다. 현재를 살고 있는 우리가 역사를 통해 기억하고, 반성해야 할 과제로 삼아야 하는 이유일 것이다.

 관련 기출 문제를 확인해보자.

우리 역사 속의 제주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010 국가직 9급)

① 원래 탐라라고 불렸는데 고려 시대에 제주라는 이름으로 바뀌었다.

② 삼별초는 관군의 압박이 심해지자 이 섬을 버리고 진도로 옮겨갔다.

③ 장보고는 완도에 청해진, 이곳에 혈구진을 세워 해상 세력을 형성했다.

④ 구한말 영국 함대가 러시아를 견제하기 위해 이곳을 무단 점령하였다.

[정답] ①

[해설] 1105년(숙종 10), 육지에 직접 예속되어 행정구역으로 편입, 탐라 국호를 폐지하고 군을 설

치한 뒤 관리를 파견해 직접 다스리게 하였다. 1153년(의종 7)에는 군을 현으로 고쳐 14개 현촌을

두었고, 1211년(희종 7)에 탐라를 제주로 개칭하였다.

[오답 tip]

② 삼별초가 진도로 옮겨가기 전 저항했던 곳은 강화도이다.

③ 혈구진(강화도)은 당성진(남양만), 청해진(완도)과 함께 신라 3대 진(鎭)의 하나였다.

④ 구한말 영국 함대가 러시아의 남방 진출을 막는다는 구실로 거문도를 점령하였다.

xxx


신속하고 정확한 정보전달에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이 기사를 후원하시겠습니까? 법률저널과 기자에게 큰 힘이 됩니다.

“기사 후원은 무통장 입금으로도 가능합니다”
농협 / 355-0064-0023-33 / (주)법률저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공고&채용속보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