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아주대 로스쿨 신입생, 학부·나이·전공 어땠나
상태바
올 아주대 로스쿨 신입생, 학부·나이·전공 어땠나
  • 안혜성 기자
  • 승인 2024.05.27 17:14
  • 댓글 1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신입생 86% 서울 소재 또는 로스쿨 인가 대학 출신
28세 미만 지난해 87.3%→78.2%…31세 미만 92.7%

[법률저널=안혜성 기자] 올 아주대 로스쿨 신입생 중 85.5%는 서울 소재 또는 로스쿨 인가 대학 출신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SKY와 자교 출신의 비중은 다소 감소했다. 또 대다수의 신입생이 31세 미만이었으나 지난해에 비해서는 편중이 다소 완화됐다.

법률저널이 입수한 자료에 따르면 2024학년도 아주대 법학전문대학원 로스쿨 신입생 55명 중 27명이 서울대와 고려대, 연세대와 자교인 아주대 학부 출신이었다. 이는 49.1%에 해당하는 비율로 지난해의 54.5%에 비해 5.4%p 감소했다.

신입생을 배출한 학부의 수는 14곳에서 17곳으로 늘었다. 구체적인 대학별 신입생 수와 비율을 살펴보면 ▲건국대 1명(1.8%) ▲경인교대 1명(1.8%) ▲경찰대 6명(10.9%) ▲경희대 3명(5.5%) ▲고려대 11명(20%) ▲서강대 1명(1.8%) ▲서울대 9명(16.4%) 등이었다.

또 ▲성균관대 7명 (12.7%) ▲성신여대 1명(1.8%) ▲아주대 2명(3.6%) ▲연세대 5명(9.1%) ▲이화여대 2명(3.6%) ▲인천대 1명(1.8%) ▲중앙대 2명(3.6%) ▲한국외대 1명(1.8%) ▲한양대 1명(1.8%) ▲홍익대 1명(1.8%) 등이 올해 아주대 로스쿨에 진학했다.

지난해의 경우 △경북대 1명(0.8%) △경찰대 5명(9.15) △고려대 16명(29.1%) △동국대 2명(3.6%) △명지대 1명(1.8%) △서강대 5명(9.1%) △서울대 3명(5.5%) △성균관대 2명(3.6%) 등이었다.

아울러 △아주대 4명(7.3%) △연세대 7명(12.7%) △이화여대 4명(7.3%) △중앙대 1명(1.8%) △한국과기원 3명(5.5%) △한국외대 1명(1.85) △한양대 1명(1.8%) 등에서도 신입생이 배출됐다.

서울대와 고려대, 연세대 출신의 비중은 지난해 47.3%에서 45.5%로 소폭 감소했으나 서울 소재 대학 출신은 지난해 78.2%에서 81.8%로, 로스쿨 인가 대학 출신 역시 80%에서 81.8%로 증가했다.

다만 서울 소재 대학이나 로스쿨 인가 대학이 아닌 경우는 지난해와 올해 14.5%로 동일했다. 지난해에는 경찰대 5명, 한국과기원 3명이었으며 올해는 경찰대 6명, 경인교대, 인천대 각 1명이 아주대 로스쿨에 진학했다.

신입생의 연령대는 31세 이하에 집중되는 경향이 유지됐으나 지난해에 비해서는 편중이 다소나마 완화됐다. 올 아주대 로스쿨 신입생의 연령은 ▲22세 이하 5명(9.1%) ▲23~25세 28명(50.9%) ▲26~28세 10명(18.2%) ▲29~31세 8명(14.5%) ▲32~34세 3명(5.5%) ▲35~40세 1명(1.8%)이었다.

지난해 △22세 이하 11명(20%) △23~25세 22명(40%) △26~28세 15명(27.3%) △29~31세 4명(7.3%) △32~34세 3명(5.5%)이었던 것과 비교했을 때 28세 미만은 87.3%에서 78.2%로 크게 줄었으나 31세 미만을 기준으로는 94.5%에서 92.7%로 소폭 감소하는 데 그쳤다.

이번 아주대 로스쿨 신입생의 전공은 타 로스쿨에 비해 기타 전공자의 비중이 높게 나타난 점이 눈에 띈다. 사회계열이 14명(25.5%)으로 가장 많았고 기타가 10명(18.2%)으로 뒤를 이었다.

이 외에 상경계열 9명(16.4%), 법학계열 7명(12.7%), 인문계열 6명(10.9%), 공학계열 4명(2.3%), 사범계열, 자연계열 각 2명(3.6%), 농학계열 1명(1.8%) 등으로 분포했다.

한편 로스쿨 입시의 필수관문인 2025학년도 법학적성시험이 오는 7월 21일 실시된다. 이를 위한 원서접수는 5월 27일부터 6월 5일까지 진행된다. 법학적성시험 성적은 8월 20일 발표될 예정이다.

 

xxx

신속하고 정확한 정보전달에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이 기사를 후원하시겠습니까? 법률저널과 기자에게 큰 힘이 됩니다.

“기사 후원은 무통장 입금으로도 가능합니다”
농협 / 355-0064-0023-33 / (주)법률저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1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윤진한 2024-05-27 17:40:59
교과서자격 안변함. 필자는 국사 성균관자격 성균관대 출신 儒生입니다. 국사 성균관(성균관대), 세계사 한나라 태학,국자감(원.명청의 국자감은 경사대학당,베이징대로 승계), 볼로냐.파리대 자격은 변하지 않아왔음. @한국 최고(最古,最高)대학 성균관대. 국내외에서 6백년 넘는 역사를 인정받고 있는 성균관대. Royal대임. 세계사의 교황반영, 교황윤허 서강대는 국제관습법상 성대 다음 Royal대 예우. 이 뒤로는 대중언론.사설 입시지를 통하여 국사 성균관자격 성균관대에, 주권.자격.학벌없이 대항해온 경성제대 후신 서울대 및 그 추종세력들.

공고&채용속보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