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공무원 면접시험은 어떻게 준비하나
상태바
[칼럼] 공무원 면접시험은 어떻게 준비하나
  • 김용욱
  • 승인 2023.09.15 18:2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strong>김용욱 <br></strong>인바스켓 대표, 변호사
김용욱
인바스켓 대표, 변호사

해마다 9월 이후는 면접 시즌이다. 5급, 7급 공무원시험 공채 면접이 있고, 법학전문대학원의 면접이 있으며, 연말에는 5급 민경채 면접도 있다. 면접은 서류심사, 필기전형과는 다른 특성을 가진다. 다른 심사 과정은 객관적 지표를 가지고 평가를 한다. 대체로 서류심사는 적부 판단 내지 정량적 사항을 위주로 평가하는 편이며, 필기시험은 객관식이든 주관식이든 해당 분야에 대한 역량과 지식을 묻는데, 공정성과 객관성에 대한 시비는 적은 편이다.

그러나 면접은 판단 기준이 면접자에게 있다기보다는 면접자를 선발, 채용, 임용하는 쪽의 의지와 필요성에 우선순위가 놓여있다. 적격 요건을 가진 인재에 대해서 최종적으로 “누가 우리 기관에 더 필요한 인물인지”를 얼굴 한번 보고 마지막으로 마음 정하겠다는 것이 면접 프로세스의 본질이기 때문에 수험생, 지원자의 논리보다는 채용자, 임용권자의 논리가 앞서게 된다. 면접 준비 과정에서 지원자들이 인재상, 면접 평가 기준 등을 놓고 고민을 하는 것도 그런 이유에서이다. 스피치 학원 등에서 강조하는 메로비언 법칙에 대한 우려도 면접의 객관성에 대한 신뢰를 저해하는 요소이다. 메로비언 법칙은 상대방에 대한 인상이나 호감을 결정하는 데 있어서 보디랭귀지는 55%, 목소리는 38%, 말의 내용은 7%만 작용한다는 이론인데, 면접관들에 대한 충분한 교육과 식견을 고려하면 우려하는 만큼의 영향력은 크지 않다. 물론 그렇다 하여도 수험생의 불안한 마음을 달래줄 정도는 아니다.

많은 공공기관, 대학들은 면접 과정에서 객관성과 공정성을 담보할 수 있는 안전장치를 심어둔다. 면접관을 1명이 아닌 다수(3~5명)로 배정한다든지, 면접 과제를 객관적 평가가 가능한 것으로 설계한다든지, 면접 평정 과정에 필기 점수 등을 합산 반영하여 면접관의 주관에 좌우되지 않게 한다든지 하는 방법이 그것이다. 이를테면, 7급·5급 공채의 경우는 각 평정 요소에 대해서 우수·보통·미흡의 3단계의 평정을 하게 하고, 우수를 2개 이상의 평정 요소에서 받으면 필기 성적과 무관하게 합격하며, 위원의 과반수가 평정요소 5개 중 2개 항목 이상을 “하(미흡)”로 평정한 경우와 위원의 과반수가 어느 하나의 동일 평정요소에 대하여 “하(미흡)”로 평정한 경우에는 필기 성적과 무관하게 불합격시키고 있으며, 그 이외의 경우에는 필기 성적순으로 합격자를 결정하고 있다.
 

그러나, 수험생의 궁극적 목적은 ‘합격’이기 때문에 ‘그러면 나는 무엇을 해야 하나’를 놓고 고민하지 않을 수 없다. 면접의 공정성, 객관성에 대한 문제보다 수험생 개인에게 더 중요한 것은 본인의 합격이기 때문이다. 그러면 나는 무엇을 하여야 할까? 공무원 면접, 로스쿨 면접, 대학 입시 면접, 취업 면접 그 어떠한 면접이든 가장 좋은 학습법은 다음 3가지 정도이다.

첫째는 유경험자의 경험담을 듣고 참고하는 것, 둘째는 실제 상황을 상정하고 면접 연습을 하고 타인의 피드백을 받는 것, 셋째는 자기소개, PT 답안틀, 전형적인 질문에 대한 답변 등 사전에 준비할 사항을 정리하고, 준비하는 것이다. 학생들은 이를 위해 스터디를 짜서 준비하는 편인데, 권장할만한 방법이다. 스터디 내에서는 다양한 정보를 공유할 수 있고, 자신에 대한 냉혹하고 객관적인 상호 평가가 행해지게 되기 때문이다. 스터디원 중에 과거에 면접을 경험한 사람이 있다면 그 경험 자산이 공유되는 것은 스터디원들에게 소중한 것이 되는데, 면접 현장에서의 분위기, 면접관의 질문의 강도와 깊이 등에 대한 생생한 정보를 얻게 되기 때문이다. 물론 모든 면접이 해마다 같은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다. 인사혁신처는 내년부터 공무원 면접의 평가기준도 종전에서 변경된다고 고지했으며(개정안에 따르면 평가 기준은 소통·공감, 헌신·열정, 창의·혁신, 윤리·책임으로 변경된다), 문제의 구성도 지속적으로 변경을 고민하고 있다. 면접관은 면접자의 준비되지 아니한 모습을 보고 싶어 하기 때문이고, 수험생의 겉모습이 아닌 진정한 속내를 보고 싶어 하기 때문이다.

면접을 준비하는 분들에게 한마디 더 첨언을 하자면 면접에서 PT나 지식 그 자체의 비중은 생각만큼 높지 않다는 것이다. 그렇다 하여 이를 소홀히 할 수험생도 없겠지만, 채용이나 임용의 경우 면접관들은 대체로 지원자의 인성, 조직적합성, 문제해결력 등에 더 관심을 두고 보는 편이다. PT나 상황면접 등에 대한 답안, 답변이 기본적인 수준에도 밑돈다면 면접관들의 두 눈이 반짝일지는 모르겠으나, 일정 수준에 도달한다면 주 관심사는 수험생의 「인성, 기본자세, 갈등과 문제 상황에 대한 태도」에 놓여있다. 필자가 면접에 직면한 수험생에게 ‘마음 곱게 먹고 매사에 대해 긍정적, 윤리적 마음과 헌신하는 태도로 임하세요’라고 종종 말하기도 하는 것도 그런 데서 연유한다. 면접을 준비하는 과정에서는 자신과 세상에 대해서 토론도 하고 숙고도 하는 시간을 가져보는 것도 좋다.

김용욱 인바스켓 대표, 변호사
citizen@hanmail.net

<* 외부 필자의 원고는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xxx


신속하고 정확한 정보전달에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이 기사를 후원하시겠습니까? 법률저널과 기자에게 큰 힘이 됩니다.

“기사 후원은 무통장 입금으로도 가능합니다”
농협 / 355-0064-0023-33 / (주)법률저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공고&채용속보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