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경식 공경단 학원
근대 태동기 문헌 조선 후기 ( 17 c 전반 인조 시대 )
286. 오우가 (五友歌) 2020.5.30 경찰 1차 |
![]() ✻ ❶ 【 】 가 지은 6 수의 연시조 ✻ 조선 1642 (인조20) ✻ 저자 : ❷ 【 】 ( 1587 ~ 1671 ) 호 : 고산 (孤山) ▸ ❸ 【 】 인. 기해예송 (1659) 당시 ❹ 【 】 인과 예송 → 유배 ▸ 정철, 박인로와 함께 조선 3대 가인 (歌人) ✻ 작자가 해남 금쇄동에 은거할 무렵에 지은 「산중신곡 (山中新曲)」 속에 들어있는 6 수의 시조 ✻ 수 (水)ㆍ석 (石)ㆍ송 (松)ㆍ죽 (竹)ㆍ월 (月) 을 다섯 벗으로 삼아 서시(序詩) 다음에 각각 1 수씩 읊음 ✻ 각 자연물들의 특질을 들어 자신의 자연애 (自然愛) 와 관조를 표현 ✻ 오우가 원문 내버디 멋치나 니 수석(水石)과 송죽(松竹)이라 동산(東山)의 오르니 긔더옥 반갑고야 두어라 이다 밧긔 또 더야 머엇리 〈序〉 구룸빗치 조타나 검기 로다 람소 다나 그칠적이 하노매라 조코도 그츼뉘 업기 믈뿐인가 노라 〈水〉 구즌 므스닐로 퓌며셔 쉬이디고 플은 어이야 프르 누르니 아마도 변티아닐 바회뿐인가 노라 〈石〉 더우면 곳픠고 치우면 닙디거 솔아 너얻디 눈서리 모다 구천(九泉)의 불희 고줄을 글로야 아노라 〈松〉 나모도 아닌거시 플도 아닌거시 곳기 뉘 시기며 속은 어이 뷔연다 뎌러코 사시(四時)예 프르니 그를 됴하 노라 〈竹〉 쟈근거시 노피떠서 만물을 다비취니 밤듕의 광명(光明)이 너만니 또잇냐 보고도 말아니니 내벋인가 노라 〈月〉 |
정답
❶ 윤선도 ❷ 윤선도 (尹善道) ❸ 남 ❹ 서
![전남 해남 금쇄동 (윤선도가 은거한 지역)[사진 : 한국학중앙연구원]](/news/photo/202305/743251_77554_5629.jpg)
287. ❶ 【 】 |
✻ 허임이 지은 침구 (침과 뜸) 에 관한 의서 ✻ 1644 (인조22) ✻ 저자 : 허임 ( 許任 1570 ~ 1647 ) ▸ 노비 출신의 내의원 침의 (鍼醫) ▸ 허준의 추천으로 선조의 편두통을 침 (鍼) 으로 치료하여 당상관에 오름 ▸ 광해군의 총애 받음 → ❷ 【 】 반정으로 삭탈관직 ▸ 후진 양성 및 본서 저술 ✻ 침구학 기초 이론 (총론 + 각론으로 구성) ✻ 허임이 자신의 임상 치료 경험을 종합하여 70여개 항목으로 편찬. ▸ 총론 : 잘못 잡을 수 있는 혈 (穴. 침 놓는 자리) 들의 위치. 치료에 많이 쓰이는 138개의 혈의 위치와 작용, 침뜸법 등 ▸ 각론 : 머리에서 다리로 내려오면서 해당 부위와 장기들에 생기는 병들의 원인, 증상, 침뜸 치료법. 내과ㆍ외과ㆍ전염병ㆍ부인병ㆍ소아병 등 계통별 침뜸치료 설명 |
정답
❶ 침구경험방 (鍼灸經驗方) ❷ 인조
![침구경험방[사진 : 한국학중앙연구원]](/news/photo/202305/743251_77555_5719.jpg)
288. 유원총보 (類苑叢寶) |
✻ ❶ 【 】 이 편찬한 백과사전 ✻ 1646 ( ❷ 【 】 24 ) ✻ 저자 : ❸ 【 】 ( 1580 ~ 1658 ) ✻ 천도 (天道), 천시 (天時), 제왕 (帝王), 관직 (官職), 이ㆍ호ㆍ예ㆍ병ㆍ형ㆍ공부, 인륜, 문학, 음식, 미곡, 조수 (鳥獸), 충어 (蟲魚) 등 25문 (門) 으로 나누어 편집 ✻ 부록으로 사이 (四夷), 신귀 (神鬼) 2문 추가 |
정답
❶ 김육 ❷ 인조 ❸ 김육 (金堉)
<저자 소개>
2016.3.19 경찰 1차
2021.3.6 경찰 1차

1580 ~ 1658
호 : 잠곡 (潛谷)
✻ 조선 후기의 문신, 실학자
✻ 기묘 8현 (己卯八賢 기묘사화 때 사망한 여덟 명의 사림)의 한 사람인 김식 (金湜 당시 성균관 대사성) 의 4대손
✻ 서인 (성혼과 이이를 계승)
✻ 1605 (선조38) 사마시 (司馬試 소과) 합격 → 성균관 수학
✻ 1609 (광해군1) 성균관 유생들과 함께 청종사오현소 (김굉필, 정여창, 조광조, 이언적, 이황의 5현을 문묘에 배향할 것을 청하는 상소) 를 올려 문과 응시자격 박탈됨 → 경기도 가평 잠곡 청덕동에 은거
✻ 1623 인조반정 → 의금부 도사가 됨
✻ 1624 문과 장원급제 → 이후 승진 → 대사헌, 예조판서 등 주요 관직 역임
✻ 1649 효종 즉위 후 우의정 → 대동법 확대에 노력 → 충청도 시행 성공
✻ 1654 영의정 → 대동법 전라도 확대 노력(전라도는 그의 사망 후 실시됨)
✻ 1658 사망
✻ 10년간의 잠곡에서의 은거 → 백성의 곤궁 체험, 4번의 중국 사행 → 실학 추구
✻ 대동법 시행, 상평통보 주조, 시헌력 사용 등 개혁 추진
✻ 저서 :「유원총보」,「해동명신록」,「잠곡유고」, 「청풍세고」등

현, 공경단 학원 공시 한국사 강사
전, EBS 중학프리미엄 한국사 강사
에듀윌 한국사 능력 검정시험 강사
학습문의) kyongshik@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