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탐관오리를 공개처형했던 혜정교를 아십니까?
상태바
조선시대 탐관오리를 공개처형했던 혜정교를 아십니까?
  • 법률저널
  • 승인 2010.04.06 04:0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울 광화문우체국 북쪽에 혜정교(惠政橋)라는 다리가 있었습니다. 세종 16년(1434) 10월 2일자에 보면 오목해시계인 앙부일구(仰釜日晷)를 처음으로 혜정교와 종묘(宗廟) 앞 거리에 설치하여 백성으로 하여금 보고 시각을 알게 하였습니다. 그런데 이 다리 위에서는 부정부패를 저지른 탐관오리를 벌주는 팽형 곧 끓는 가마솥 속에 죄인을 닮아 삶는 공개처형을 하기도 했지요.
 
이 팽형 절차를 보면 혜정교 한 가운데에 임시로 높다란 부뚜막을 만들고, 사람이 들어갈 수 있을만한 큰 가마솥을 겁니다. 솥에는 물을 붓고 아궁이에는 불을 땔 수 있도록 장작을 넣습니다. 그 앞쪽에 천막을 치고, 포도대장이 앉으면 팽형이 시작됩니다. 그러나 진짜 팽형을 하는 건 아니고 죄인을 가마솥에 담고 솥뚜껑을 닫은 다음 구령에 따라 장작불을 지피는 시늉만 하고 실제로 불을 붙이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솥 속에 든 죄인은 그 순간부터 삶아져서 죽은 시체처럼 시늉을 해야 합니다. 그런 다음 꺼낸 "살아있는 시체"를 식구들에게 넘기면 식구들은 미리 준비해간 칠성판에 이 "살아있는 시체"를 뉘여 집으로 데리고 가 격식대로 장례를 치릅니다. 이렇게 장례가 끝나면 호적이나 족보에 죽은 사람으로 오르는 것이지요. 물론 먹고사는 일은 할 수 있고 아이도 낳을 수 있지만 "살아있는 시체"의 아이는 태어나도 아비 없는 사생아가 됩니다. 요샛말로 생매장시키는 셈이지요. 살아있으되 산 사람이 아닌 팽형은 부정부패를 저지른 탐관오리에게는 죽음과 같은 벌이라는 경고성 형벌이며 이로써 부정부패의 근원을 뿌리 뽑으려는 효과를 노린 형벌로 생각됩니다. 요즈음은 탐관오리보다 더한 사람들한테도 솜방망이 벌을 내려 국민을 실망시키는 것에 견주면 조선시대 형벌은 상당히 의미가 있었던 듯합니다. 탐관오리가 날뛰는 세상이다 보니 혜정교의 팽형이 다시 떠오릅니다.
 
xxx

신속하고 정확한 정보전달에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이 기사를 후원하시겠습니까? 법률저널과 기자에게 큰 힘이 됩니다.

“기사 후원은 무통장 입금으로도 가능합니다”
농협 / 355-0064-0023-33 / (주)법률저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공고&채용속보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