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석훈 한국사 강사
[ 가로열쇠 ]
1. 육군 내 사조직인 하나회를 중심으로 제5공화국의 권력을 장악한 군인 집단을 가리키는 말로, 박정희 대통령 시대의 군부와 대비하여 이 이름으로 부른다.
3. 조선 중기의 문신. 소윤의 영수이며, 중종의 제2계비 문정왕후의 동생이다. 을사사화의 공으로 공신으로 책록되었으며, 1547년 양재역 벽서사건을 계기로 대윤의 잔당을 모두 숙청한 인물이다.
5. 조선 중기 학자. 출사를 거부하고 평생을 학문과 후진 양성에 힘썼다. 경상우도의 특징적인 학풍을 이루었으며, 퇴계 이황의 경상좌도 학맥과 더불어 영남 유학의 양대 산맥을 이룬 인물.
7. 삼면이 구릉으로 둘러싸인 소분지로, 동북부의 공산성터는 급준한 산과 계곡을 끼고, 북은 금강에 면한 단애절벽이다. 백제의 두 번째 도읍으로 웅진으로 불렸다.
9. 고려시대 최고 정무기관인 중서문하성의 수상 직으로 종1품에 해당되었다. 신라 때는 747년(경덕왕 6)에 집사부의 중시(中侍)를 이 관직명으로 고쳤다.
[ 세로열쇠 ]
1. 조선 후기인 1791년에 시전 상인들만 할 수 있었던 상업 활동을 다른 상인들에게도 허용한 조처이다. 하지만 시전 상인들의 육의전은 예외로 두었다.
2. 조선시대 지방관청인 부의 우두머리. 종2품 문관의 외관직으로 관찰사와 동격이다. 경상도 경주부, 전라도 전주부, 함경도 영흥부, 평안도 평양부, 의주부에 두었다.
4. 조선시대 관서로 육조(六曹)의 하나이다. 추관 또는 추조라고도 한다. 의금부·한성부와 아울려 삼법사(三法司)라고 일컬어지고, 사헌부·사간원과 함께 삼성(三省)이라해 의금부에서 국문할 때는 삼성이 동참하기도 하였다.
6. 조선시대에 3년마다 정기적으로 시행된 과거시험으로 정기시를 말한다. 12지 가운데 자(子) ·묘(卯) ·오(午) ·유(酉)가 드는 해가 3년에 한 번씩 돌아오는데 이 해에 정기적으로 과거시험을 치러서 이렇게 불렸다.
8. 고려 숙종 때 화폐주조를 위하여 설치되었던 관서이다. 1102년 12월에 해동통보 15,000관(貫)을 최초로 주조했고, 이어 삼한중보, 동국통보, 동국중보, 해동중보 등을 만들었다.
[실전 연습]
61회 한국사 능력 검정시험(심화)
1. 다음 자료에 나타난 민주화 운동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적중 예상문제
2. 다음의 사건과 관련된 사실로 옳은 것은?
신군부 세력이 지휘계통을 무시하고 병력을 동원하여 계엄사령관 등 군부 온건파를 제거하고 군권과 정치적 실권을 장악하였다.
① 사회적 혼란을 틈타 반공과 경제재건을 명분으로 군사정변이 일어났다.
② 민주 헌정 체제 회복 등을 요구하는 5. 18 광주 민주화 운동이 일어났다.
③ 대통령 긴급조치권을 통한 강압적 통치가 이루어졌다.
④ 자유당이 몰락하고 이승만 대통령이 하야하였다.
[정답 및 해설]
한국사 능력 검정시험(심화 61회 차)
1. 정답 ⑤
제시된 자료의 ‘광주’, ‘공수 부대 투입’ 등의 문구로 보아 1980년에 일어난 5·18 광주 민주화운동이다.
⑤ 5.18 기록물은 2011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오답 체크]
① 허정 과도 정부가 출범하게 된 계기는 1960년 4.19 혁명
② 굴욕적 한일 국교 정상화에 반대한 시위는 1964년 6.3 사건
③ 호헌철폐 등의 구호를 외친 것은 1987년 6월 항쟁
④ 3.15 부정 선거 반대 등을 외친 것은 1960년 4.19 혁명
적중 예상문제
2. 정답 ②
제시된 사건은 전두환 등 신군부 세력이 당시 계엄 사령관 이었던 정승화 육군 참모총장을 납치한 1979년 12.12 사태이다.
② 이듬해인 1980년 광주에서는 민주 헌정 체제 회복 등을 요구하는 5. 18 광주 민주화 운동이 일어났다.
[오답 체크]
① 반공과 경제재건을 명분으로 일어난 군사정변은 1960년 박정희가 일으킨 5.16 군사쿠데타
③ 대통령 긴급조치권은 1970년대 박정희의 유신정권
④ 자유당이 몰락하고 이승만 대통령을 하야시킨 건 1960년 4.19 혁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