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경식쌤의 한국사 크로스핏 / Season1. 한국사 기출 문헌 집중 탐구(83)
상태바
이경식쌤의 한국사 크로스핏 / Season1. 한국사 기출 문헌 집중 탐구(83)
  • 이경식
  • 승인 2023.12.29 10:4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경식 공경단 학원

근대 태동기 문헌 조선 후기 ( 19 c 초 순조 시대 )
 

413. 【 】

화성 (華城) 축조의 과정과 의식 등을 기록한 책

조선 1801 ( 1 ) 인쇄, 발간

저자 : 김종수 ( 金鍾秀 1728 ~ 1799 ) 정조 의 문신

▸ 정조가 왕세손일 때 필선 (弼善) 으로 정조 보필

▸ 정조 代 좌의정. 이후 봉조하 (奉朝賀) 가 됨

화성 축조 (1794.1 ~ 1796.8) 의 공사 내용에 관한 자세한 기록을 남기라는 ❸ 의 명을 받아 봉조하 (奉朝賀) 김종수가 1796.11 완성

권수 (卷首) 1, 본편 6, 부편 3

• 권수 (卷首) : 본편과 부편의 총목록, 성곽 축조 일지, 성곽 축조 및 의궤 편찬에 관한 관리 이름과 담당 업무, 성곽 공사에 사용된 기계도구에 대한 도설 (圖說 그림과 설명)

• 본편 : 성곽 축조 계획, 왕의 전교윤음, 왕에게 올린 장계, 공사에 동원된 기술자 이름과 종사 일수, 공사에 사용된 물품의 종류와 수량, 사업 경비에 대한 예산결산 내용 등

• 부편 : 화성에 소속된 건물 위치, 시설규모 등

필선 (弼善) : 세자 (世子侍講院 세자를 교육하는 관서) 의 4품 관직

봉조하 (奉朝賀) : 조선시대 관직에서 물러난 고관에게 임명되는 명예관직.

전직 고급관료를 대우하는 일종의 훈호 (勳號) 로서 재직 시의 품계에 따라 소정의 녹 () 지급

본서가 포함된 「조선왕조의궤」 는 유네스코 (UNESCO)세계 ❺ 유산으로 등재되어 있음

정답

❶ 화성성역의궤 (華城城役儀軌) ❷ 순조 ❸ 정조 ❹ 시강

❺ 기록
 

화성성역의궤 中 거중기 [사진 : 한국학중앙연구원]
화성성역의궤 中 거중기 [사진 : 한국학중앙연구원]
수원 화성 [사진 : 한국학중앙연구원]
수원 화성 [사진 : 한국학중앙연구원]

 

414. 【 】

2012.2.25 경찰 1/ 2014.6.28 서울시 한국문화사연구사

2015.6.27 지방직 9/ 2017.3.18 경찰 1/ 2017.6.24 서울시 9

2017.6.24 서울시 7

이종휘가 고조선 ~ 고려의 역사를 기전체로 엮은 역사서 (통사)

1803 ( 3 )

저자 : 이종휘 ( 李種徽 1731 ~ 1797 ) : 수산 (修山). 양명학자

본기 (本紀)세가 (世家)열전 (列傳)연표 (年表) () () 로 구성

고조선부여고구려삼한발해의 역사, 문화를 조명

부여, 고구려, 백제 등을 ❸ 의 후예로 간주 → 단군 격상

한국사 서술에서 최초로 「 단군 를 설정

우리나라 역사는 중국의 제후국가의 역사가 아니라 중국과 마찬가지로 천하를 포용하는 역사 → 단군기자위만조선을 3조선이라 하여 본기(本紀) 에 넣고 삼한 또한 삼한 로 서술

고구려는 단군의 혈통 세력과 기자의 문화를 동시에 계승하였다.

발해는 ❻ 유민에 의해 성립된 국가이다. → 발해를 말갈 계통 으로 인식하는 견해를 부정. 발해사를 보다 확실하게 한국사로 편입

만주와 요서요동을 우리 영토로 인식

우리나라 고대사를 세가 (世家) 가 아닌 ❼ (本紀) 에 수록. (자주성)

그의 문집 「 (修山集) 에 수록

신채호는 이종휘의 역사 인식을 매우 높이 평가

정답

❶ 동사 (東史) ❷ 순조 ❸ 단군 ❹ 본기 ❺ 본기

❻ 고구려 ❼ 본기 ❽ 수산

 

415. 【 】

빙허각 이씨가 편찬한 가정살림 백과사전

조선 1809 (순조9)

저자 : 빙허각 (憑虛閣) 이씨 (李氏) ( 1759 ~ 1824 )

▸ 조선 후기 여성 실학자

▸ 실학자 서유본 (徐有本 1762 ~ 1822. 서호수 [해동농서 저자] 의 장남이며 서유구 [임원경제지 저자] 의 형) 과 결혼

1806 (순조6) 서영수 (서유본의 숙부) 의 옥사에 연루되어 남편이

관직을 잃어 가세가 기울자 집안을 일으키기 위해 직접 밭을 가꾸며 생활함

▸ 자신의 생활지식과 실학서의 내용을 종합하여 가정 백과사전인 「규합총서」 편찬

일상 생활에 필요한 의식주의 지혜를 한글로 수록

주사의 (主食議), 봉임측 (縫紝則), 산가락 (山家樂), 청낭결 (靑囊訣), 술수략 (術數略) 으로 구성

「주사의」 : 장담그기, 술빚기, 반찬 제조관리법 등

「봉임측」 : 옷만드는 법, 길쌈, 염색, 수놓기, 바느질 방법, 누에치기 등

「산가락」 : 밭갈기, 대나무 관리, 닭 기르기 등

「청낭결」 : 태교, 아기 기르는 방법, 구급법 등

「술수략」 : 부적주술로 악귀 쫓는 방법, 무당에게 속지 않는 방법 등

의식주 관련 내용을 쉽게 풀어 쓴 실학 서적으로 평가됨

20세기 초까지 조선의 여성들에게 가장 널리 읽혀진 생활백과사전

정답

규합총서 (閨閤叢書)

 

<strong>이경식</strong><br>현, 공경단 학원 공시 한국사 강사<br>전, EBS 중학프리미엄 한국사 강사<br>에듀윌 한국사 능력 검정시험 강사<br>학습문의) kyongshik@naver.com
이경식
현, 공경단 학원 공시 한국사 강사
전, EBS 중학프리미엄 한국사 강사
에듀윌 한국사 능력 검정시험 강사
학습문의) kyongshik@naver.com

 

 

 

 
 
 
 
xxx

신속하고 정확한 정보전달에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이 기사를 후원하시겠습니까? 법률저널과 기자에게 큰 힘이 됩니다.

“기사 후원은 무통장 입금으로도 가능합니다”
농협 / 355-0064-0023-33 / (주)법률저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공고&채용속보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