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경식 공경단 학원
근대 태동기 문헌 조선 후기 ( 18 c 말 정조 시대 )
385. ❶ 【 】 2012.7.28 국가직 7급 / 2015.9.19 경찰 3차 / 2018.10.13 지방직 7급 |
✻ 대청ㆍ대일 외교문서를 집대성한 책 ✻ 1788 ( ❷ 【 】 12 ) ✻ 저자 : 조선 조정 (정창순 등) ✻ 인조 이후 사대ㆍ교린에 관한 외교 문서를 정리 ✻ 본서 이후 여러 차례의 속찬을 거쳐 1787 ~ 1881년의 내용을 수록한 속편 편찬 (1881. 고종18) |
정답
❶ 동문휘고 (同文彙考) ❷ 정조

386. ❶ 【 】 2015.9.19 경찰 3차 / 2020.5.30 경찰 1차 |
✻ ❷ 【 】 의 명에 따라 박일원이 호조의 사례를 정리한 책 ✻ 1788 ( ❸ 【 】 12 ) 간행 ✻ 저자 : 박일원 ✻ 호조의 사례를 모아 내편ㆍ외편으로 구성 ✻ 박일원은 형조좌랑 재임시 「 ❹ 【 】 관지 」 편찬 (1781) |
정답
❶ 탁지지 (度支志) ❷ 정조 ❸ 정조 ❹ 추
387. ❶ 【 】 2012.2.25 경찰 1차 / 2017.6.24 서울시 9급 / 2022.2.26 서울시 9급 |
✻ 역대 우리말, 외국어 (중국어, 거란ㆍ여진ㆍ일본어 등) 의 어휘를 모아 해설한 어휘 사전 ✻ 1789 ( ❷ 【 】 13 ) ✻ 저자 : ❸ 【 】 ( 李義鳳 1733 ~ 1801 ) 영ㆍ정조 代 의 문신. 좌승지, 대사간 등 역임 ✻ 우리나라 문헌에 나오는 어휘를 수집, 해설 ✻ 유교ㆍ불교ㆍ도교 어휘 해설 ✻ 중국어ㆍ몽골어ㆍ만주어ㆍ일본어 어휘 해설 ✻ 어항 (語項) 의 총수가 수만에 달하는 최대 어휘집 |
정답
❶ 고금석림 (古今釋林) ❷ 정조 ❸ 이의봉
388. ❶ 【 】 |
✻ 신라와 고려의 이두 (吏讀) 를 모아 풀이한 글 ✻ 1789 ( ❷ 【 】 13 ) ✻ 저자 : ❸ 【 】 ( 李義鳳 1733 ~ 1801 ) 영ㆍ정조 代 의 문신. 좌승지, 대사간 등 역임 ✻ 이두 어휘 총 172개 수록 ✻ 한글로 독음을 달고 풀이 ✻ 「 ❹ 【 】 (古今釋林) 」 의 부록 |
정답
❶ 나려이두 (羅麗吏讀) ❷ 정조 ❸ 이의봉 ❹ 고금석림
389. 해동 ❶ 【 】 통재 (海東輿地通載) |
✻ 정조 代에 편찬된 총 60권의 전국 ❷ 【 】 지 ✻ 조선 1788 (정조12) ~ 1790 (정조14) ✻ 저자 : ❸ 【 】 각 ( 서호수, 이가환, 이서구, 유득공, 이덕무, 박제가 등 ) ✻ 정조가 ❹ 【 】 각을 통해 전국에서 모은 읍지와 비변사에 있는 각종 읍지 자료를 기초로 편찬한 전국 ❺ 【 】 지 ✻ 호구 (戶口) 와 방리 (마을) 를 강조 ✻ 별칭 : 「 해동 ❻ 【 】 (海東邑誌) 」 ✻ 현존하지 않아 자세한 내용을 알 수 없음 |
정답
❶ 여지 ❷ 지리 ❸ 규장 ❹ 규장 ❺ 지리 ❻ 읍지
390. ① 【 】 2015.6.13 서울시 7급 / 2015.9.19 경찰 3차 |
✻ 정조 때 이덕무, 박제가 등이 편찬한 종합 무예 훈련 교범 ✻ 1790 ( ② 【 】 14 ) ✻ 저자 : 이덕무, 박제가, 백동수 등 ✻ 「 무예 ③ 【 】 (武藝諸譜) 」 ( 1598 ④ 【 】 31 ) 와 「 무예 ⑤ 【 】 (武藝新譜) 」 ( 1759 ⑥ 【 】 35 )를 집대성, 보완 ✻ 무예 ⑦ 【 】 의 곤봉ㆍ장창 등 6기예 + 무예 ⑧ 【 】 의 죽장창 (竹長槍)ㆍ예도 (銳刀) 등 12기예 + 마상ㆍ격구 등 6기 ⇒ 도합 24기의 도보 ( ⑨ 【 】 + 설명 ) ✻ 24기의 전투 기술을 중심으로 한 실전 훈련서 ✻ ⑩ 【 】 가 서문을 씀 ✻ 2017.10 ⑪ 【 】 의 UNESCO 세계 ⑫ 【 】 유산으로 등재 |
정답
① 무예도보통지 (武藝圖譜通志) ② 정조 ③ 제보 ④ 선조
⑤ 신보 ⑥ 영조 ⑦ 제보 ⑧ 신보 ⑨ 그림 ⑩ 정조
⑪ 북한 ⑫ 기록



현, 공경단 학원 공시 한국사 강사
전, EBS 중학프리미엄 한국사 강사
에듀윌 한국사 능력 검정시험 강사
학습문의) kyongshik@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