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경식 공경단 학원
근대 태동기 문헌 조선 후기 ( 18 c 말 정조 시대 )
380. 하학지남 (下學指南) |
✻ ❶ 【 】 이 저술한 생활 지침서 ✻ 조선 1784 ( ❷ 【 】 8 ) ✻ 저자 : ❸ 【 】 ( 1712 ~ 1791 ) 호: 순암 (順庵) ✻ 일상 생활에 지침이 되는 경구ㆍ격언을 모은 책 ✻ 수권 (首卷) : 일용 (日用) 1편. 상ㆍ하권에서 서술되어있는 내용 중에서 하루하루 실천해야 할 일을 정리ㆍ요약 ✻ 상권 : 독서, 위학 (爲學), 심술 (心術) 의 3편 ✻ 하권 : 위의 (威儀), 정가 (正家), 처기 (處己), 접인 (接人), 출처 (出處) 의 5편 |
정답
❶ 안정복 ❷ 정조 ❸ 안정복 (安鼎福)
381. 발해고 (渤海考) 2012.8.25 경찰 2차 / 2014.6.28 서울시 한국문화사연구사 2016.3.19 경찰 1차 / 2017.3.18 경찰 1차 / 2018.3.24 서울시 제1회 9급 2018.6.23 서울시 제2회 7급 / 2020.9.19 경찰 2차 / 2022.4.2 국가직 9급 2022.6.18 지방직 9급 |
✻ ❶ 【 】 이 쓴 발해의 역사서 ✻ 1784 ( ❷ 【 】 8 ) ✻ 저자 : ❸ 【 】 ( 1748 ~ 1807 ) ✻ 발해의 역사 서술 ▸ 서문 + 군고 (君考), 신고 (臣考), 지리고 (地理考) 등 9개 부문 ▸ 국서고 (國書考) 에서 일본에 보낸 국서 소개. 무왕, 문왕이 각각 일본의 성무 (聖武) 왕에게, 강왕이 환무 (桓武)왕에게 보낸 국서 수록 ✻ ❹ 【 】 의 「 동사 (東史) 」 와 함께 한반도 중심의 협소한 사관을 극복한 저작으로 평가 |
정답
❶ 유득공 ❷ 정조 ❸ 유득공 (柳得恭) ❹ 이종휘
382. ① 【 】 |
✻ 유득공이 지은 세시 풍속지 ✻ 조선 정조 代 ( ② 【 】 세기 말 ) ✻ 저자 : 유득공 ( 柳得恭 1748 ~ 1807 ) ▸ 호 : 영재 (泠齋), 영암 (泠庵), 가상루 (歌商樓), 고운당 (古芸堂) ▸ 조선 정조 代 의 북학파 실학자. 서얼 출신 ▸ ③ 【 】 각 4 검서관의 한 사람 ▸ 한시 4 가 (漢詩四家) 의 한 사람 ▸ 주요 저서 : 「 ④ 【 】 고 」, 「 ⑤ 【 】 도 ⑥ 【 】 시 」, 「 ⑦ 【 】 지 (四郡志) 」 ✻ 조선의 세시 풍속을 설명. 2권 1책 ✻ 권1. 풍속 : 건복 (巾服), 주식 (酒食), 다연 (茶烟), 문방 (文房), 시문, 서화 등 당시의 문물ㆍ제도를 19 항목으로 나누어 약술 ✻ 권2. 세시 : 원일 (元日. 설날), 입춘, 한식, 단오, 복 (伏), 중추 (中秋), 동지 등 한양의 세시를 19 항목으로 분류, 약술 ✻ 한국의 세시 풍속을 최초로 기록한 책 ✻ ⑧ 【 】 의 「열양세시기」, ⑨ 【 】 의 「동국세시기」 에 영향을 줌 ✻ ⑩ 【 】 각 4 검서관 : 이덕무, 박제가, 유득공, 서이수( 모두 ⑪ 【 】 출신 ) ✻ 한시 4 가 (漢詩四家) : 한시를 잘 짓는 4 명의 대가 이덕무, 박제가, 유득공, 이서구 |
정답
① 경도잡지 (京都雜誌) ② 18 ③ 규장 ④ 발해 ⑤ 이십일
⑥ 회고 ⑦ 사군 ⑧ 김매순 ⑨ 홍석모 ⑩ 규장 ⑪ 서얼
저자 소개 2012.8.25 경찰 2차 2016.3.19 경찰 1차 2017.3.18 경찰 1차 2018.3.24 서울시 제1회 9급 2020.7.11 국가직 9급 2022.2.26 서울시 9급 2022.6.18 지방직 9급 유득공 (柳得恭) 호 : 영재 (泠齋),영암 (泠庵),고운당 (古芸堂),가상루 (歌商樓) |
✻ 서얼 신분의 북학파 실학자 ✻ 1774 (영조50) 사마시 합격 → 생원 ✻ 1779 (정조3) 규장각 검서관으로 활약 ✻ 포천 현감, 양근 (양평) 군수, 풍천 부사 등 역임 ✻ 박제가, 이덕무, 이서구와 함께 한시사가 (漢詩四家) 로 꼽힘. 백탑파 (白塔派) 의 한 사람 ✻ 저서 「경도잡지」,「영재집 (泠齋集)」, 「고운당필기 (古芸堂筆記)」,「앙엽기 (盎葉記)」, 「사군지 (四郡志)」,「발해고 (渤海考)」, 「동시맹 (東詩萌)」,「가상루집 (歌商樓集)」, 「이십일도회고시 (二十一都懷古詩)」등 |
383. ❶ 【 】 2015.9.19 경찰 3차 / 2016.8.27 국가직 7급 / 2017.3.18. 경찰특공대 2019.8.31 경찰 2차 / 2022.4.2 국가직 9급 |
|
✻ 「경국대전」, 「속대전」 등을 통합해 편찬한 통일 법전 ✻ 1785 ( ❷ 【 】 9 ) ✻ 저자 : 찬집청 ( 본 법전 편찬을 위해 설치한 관청 ) ✻ 6전의 조문을 「경국대전」, 「속대전」, 그 뒤의 법령 순으로 수록하고 경국대전의 내용은 ❸ 【 】 (原), 속대전의 내용은 ❹ 【 】 (續),이후의 내용은 ❺ 【 】 (增) 자로 표시 ✻ 경국대전이나 속대전의 조문 중 폐지된 것은 ❻ 【 】 (今廢) 라고 표시 ✻ 경국대전 이후 300년만의 새로운 통일 법전 ✻ 찬집청 (撰集廳) : 조선 조정에서 문헌 자료의 편찬을 위해 설치하는 임시 관서. 「연산군일기」 찬집 위해 설치한 찬집청 ( 1513 ❼ 【 】 8 ) 이 최초 |
![]()
|
정답
❶ 대전통편 (大典通編) ❷ 정조 ❸ 원 ❹ 속 ❺ 증
❻ 금폐 ❼ 중종
외국 문헌 384. 삼국접양지도 (三國接壤之圖) 2017.4.8 국가직 9급 / 2020.7.11 국가직 9급 |
✻ 하야시 시헤이가 편찬한 「삼국통항도설」 의 부록 지도 ✻ 1785 ( ← 조선 ❶ 【 】 9 ) ✻ 저자 : 하야시 시헤이 (林 子平). 일본의 지리학자 ✻ 울릉도, 독도가 ❷ 【 】 과 함께 황색으로 채색되어 있음 ✻ 울릉도와 독도 부분에 ‘ ❸ 【 】 의 것 ’ 이라고 표기되어 있음 |
정답
❶ 정조 ❷ 조선 ❸ 조선

현, 공경단 학원 공시 한국사 강사
전, EBS 중학프리미엄 한국사 강사
에듀윌 한국사 능력 검정시험 강사
학습문의) kyongshik@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