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 태동기 문헌 조선 후기 ( 18 c 중반 영조 시대 )
345. 인왕제색도 (仁王霽色圖) 2014.6.21 지방직 9급 / 2014.8.30 경찰 2차 / 2016.9.3 경찰 2차 |
✻ ❶ 【 】 이 그린 ❷ 【 】 산의 진경산수화 ✻ 조선 1751 ( ❸ 【 】 27 ) ✻ 저자 : ❹ 【 】 ( 1676 ~ 1759 ) ▸ 호 : 겸재 (謙齋), 겸초 (兼艸), 난곡 (蘭谷) ▸ 조선 ❺ 【 】 세기의 양반 출신 화가 ▸ 진경산수화 (眞景山水畵) 의 대표자 ▸ 영조의 총애를 받음 ✻ 가로 138.2 cm, 세로 79.2 cm ✻ 비온 뒤 안개가 피어오르는 ❻ 【 】 산의 제색 (霽色 비 개는 풍경) 을 현재의 효자동 방면에서 바라보고 ❼ 【 사실 / 추상 】 적으로 표현 ✻ 진경산수화 (眞景山水畵) • 대상 장소를 답사하여 ❽ 【 사실 / 추상 】 적으로 그려냄 • 중국 ❾ 【 】 종화와 ❿ 【 】 종화를 고루 수용하여 우리의 고유한 자연과 풍속에 맞춘 새로운 화법 ✻ 국보 216 호 ✻ 소장 : 삼성미술관 리움 |
정답
❶ 정선 ❷ 인왕 ❸ 영조 ❹ 정선 ❺ 18 ❻ 인왕
❼ 사실 ❽ 사실 ❾ 북 ❿ 남

346. ❶ 【 】 2014.6.28 서울시 역사학연구사 / 2018.3.24 서울시 제1회 9급 2022.2.26 서울시 9급 |
✻ 실학자 이중환이 30년간 전국을 답사하고 지은 우리나라 지리서 ✻ 1751 ( ❷ 【 】 27 ) ✻ 저자 : 이중환 ( 李重煥 1690 ~ 1756 ). 호 : 청담 (淸潭) ✻ ❸ 【 】 총론 (四民總論) 사농공상 (士農工商) 의 유래, 사대부의 역할, 사대부가 살만한 곳 등 ✻ ❹ 【 】 총론 (八道總論) 우리나라의 산세와 위치를 중국의 고전 「산해경 (山海經)」 을 인용하여 논술. 팔도의 위치와 역사적 배경 요약. 경상도 : 변한ㆍ진한의 땅 함경ㆍ평안ㆍ황해도 : 고조선, 고구려의 땅 강원도 : 예맥의 땅 ✻ ❺ 【 】 총론 (卜居總論) 주거 선정 기준으로 지리ㆍ생리ㆍ인심ㆍ산수를 제시. 모두 합당한 지역을 ❻ 【 】 (可居地) 라 함. 지리 : 풍수지리 생리 : 경제 조건 인심 : 지역 사람들의 인성, 당색 (黨色) 산수 : 자연 경치 ✻ 1912 조선 광문회에서 인쇄, 간행 |
정답
❶ 택리지 (擇里志) ❷ 영조 ❸ 사민 ❹ 팔도 ❺ 복거
❻ 가거지
347. ❶ 【 】 2012.2.25 경찰 1차 / 2014.4.19 안전행정부 9급 2014.6.28 서울시 역사학연구사 / 2017.7.22 국회직 9급 / 2018.4.7 국가직 9급 / 2022.2.26 서울시 9급 |
✻ 18세기 ( ❷ 【 】 代 ) ✻ 저자 : 정상기 ( 鄭尙驥 1678 ~ 1752 ) ✻ 9장의 지도첩 [ 조선총도 (1:112만) + 도별도 8첩 ] ✻ 도별도는 1:44만의 대축척 지도로, 여러 장을 연결하여 조선 전도가 되도록 제작 ✻ 우리나라 최초로 ❸ 【 】 을 사용. ❹ 【 】 척 (百里尺) : 100리를 1자 (尺) 로, 10리를 1치 (寸) 로 표시 ✻ 도별로 채색 구별 : 경기도 황색, 충청도 분홍색 등 ✻ 조선 후기 대축척 지도 발달에 획기적 역할 |
정답
❶ 동국지도 (東國地圖) ❷ 영조 ❸ 축척 ❹ 백리
348. ❶ 【 】 |
✻ 1721 (경종1) 부터 1755 (영조31) 까지의 사실을 해명하여 영조의 왕위 계승 및 통치의 정당성을 천명한 책 ✻ 조선 1755 (영조31) 인쇄, 간행 ✻ 저자 : 영조의 명으로 김재로 (영중추부사), 이천보 (영의정) 등이 편찬 ✻ 1721 (경종1) 영조가 왕세제로 책봉된 이후부터 1755 (영조31) 나주괘서 (벽서) 사건까지의 일련의 사건들을 서술 ▸ 권 1 : ❷ 【 】 사화 (1721 ~ 1722) 의 전말. 연잉군 (영조) 의 세제 책봉부터 목호룡의 고변으로 ❸ 【 】 론 4대신이 사사될 때까지의 사실 ▸ 권 2 : 1724 경종 사망하고 영조 즉위하여 김일경 ( ❹ 【 】 사화 주도한 소론 영수 ) 과 목호룡 등이 처형되고 소론이 실각하는 과정 ▸ 권 3 : ❺ 【 】 환국 (1727) 으로 ❻ 【 】 론 실각하고 소론이 집권하는 과정과 ❼ 【 】 의 난 (1728) 의 전말 등 ▸ 권 4 : 1755 나주 괘서 (벽서) 사건으로 소론 윤지 등 소론과 남인이 연루되어 처형된 사실 수록 ✻ 중추부 (中樞府) 고려의 ❽ 【 】 이 변화되어 문무 당상관으로 소임이 없는 고위 관리를 대우하는 기관이 됨. 장관은 영중추부사 (領中樞府事 정1품), 차관은 판중추부사 (判中樞府事 종1품 2인) ✻ ❾ 【 】 환국 (1727 영조3) 영조가 정쟁의 폐단을 없애기 위해 당색이 온건한 인물로 인사 개편을 단행한 일. ❿ 【 】 론들이 파면되고 소론 정권이 성립됨 ✻ 나주 괘서 사건 (1755 영조31) 1724 소론이 몰락할 때 고문으로 죽은 훈련대장 윤취상의 아들 윤지(尹志) 가 나주에서 일으킨 역모사건. 민심을 동요시키고자 나주에 나라를 비방하는 괘서를 붙이고 소론을 규합하여 거사를 준비하다가 괘서가 발각되어 서울로 압송되어 처형당함. 소론은 큰 타격을 입고 이후 재기 불가능해졌으며 영조는 이를 계기로 본서를 편찬하게 함 |
정답
❶ 천의소감 (闡義昭鑑) ❷ 신임 ❸ 노 ❹ 신임 ❺ 정미
❻ 노 ❼ 이인좌 ❽ 중추원 ❾ 정미 ❿ 노

현, 공경단 학원 공시 한국사 강사
전, EBS 중학프리미엄 한국사 강사
에듀윌 한국사 능력 검정시험 강사
학습문의) kyongshik@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