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경식 공경단 학원
근대 태동기 문헌 조선 후기 ( 18 c 전반 영조 시대 )
331. ❶ 【 】 |
✻ 김천택이 수집, 편찬한 시조ㆍ가사집 ✻ 1728 ( ❷ 【 】 4 ) ✻ 저자 : 김천택 ( 金天澤 1680년대 말 ~ ? ) 호 : 남파 (南坡). 시조 작가ㆍ가객 ✻ 고려 말 ~ 당시의 시조ㆍ가사들을 모아 엮음 ✻ 국왕부터 기생까지 140여명의 작품을 수록 ✻ 시조 998수, 가사 17편 (육당본의 경우) ✻ 「 해동 ❸ 【 】 」, 「 가곡 ❹ 【 】 」 와 더불어 3대 가집으로 불림 ✻ 육당본 (최남선), 오씨본 (오장환), 일석본 (이희승) 등 여러 이본 (異本) 이 있음 |
정답
❶ 청구영언 (靑丘永言) ❷ 영조 ❸ 가요 ❹ 원류
332. 금강전도 (金剛全圖) 2016.9.3 경찰 2차 |
|
✻ ❶ 【 】 이 그린 금강산의 전도 ✻ 조선 1734 ( ❷ 【 】 10 ) ✻ 저자 : ❸ 【 】 ( 1676 ~1759 ) ▸ 호 : 겸재 (謙齋), 겸초 (兼艸), 난곡 (蘭谷) ▸ 조선 18 세기의 양반 출신 화가 ▸ ❹ 【 】 산수화 (眞景山水畵) 의 대표자 ▸ 영조의 총애를 받음 ✻ 가로 94.5 cm, 세로 130.8 cm ✻ 내금강의 실경을 수묵 담채로 묘사 ✻ 1734 겨울, 작가가 만폭동 (萬瀑洞) 을 중심으로 금강내산 (金剛內山) 의 전체 경관을 그림 |
![]() ✻ 소장 : 삼성미술관 리움
|
정답
❶ 정선 ❷ 영조 ❸ 정선 (鄭敾) ❹ 진경
333. ❶ 【 】 2018.8.18 국가직 7급 |
✻ 위항인들의 시집 ✻ 1737 ( ❷ 【 】 13 ) 간행 ✻ 저자 : 고시언, 채팽윤 ✻ 위항인 162인 ( 중인, 서인, 상인 등 ) 의 시 685수 수록 ✻ 홍세태의 ❸ 【 】 를 증보 |
정답
❶ 소대풍요 (昭代風謠) ❷ 영조 ❸ 해동유주
334. 우서 (迂書) 2014.6.28 서울시 9급 / 2017.4.8 국가직 9급 |
✻ 실학자 ❶ 【 】 이 사회 개혁안을 제시한 책 ✻ 1737 ( ❷ 【 】 13 ) ✻ 저자 : ❸ 【 】 ( 1694 ~ 1755 ) ✻ 사민일치 (四民一致). 신분제 질서를 타파하고, 국민을 각자의 취향ㆍ능력에 따른 전문적 직업인으로 양성하자 ✻ 사ㆍ농ㆍ공ㆍ상의 직업적 ❹ 【 】 , 전문화 주장 ✻ 농기구 개량, 상업적 농업 장려, 상공 발전 강조 ✻ 국민 각자 자신의 취향ㆍ능력에 맞는 일을 하여 이용 ❺ 【 】 을 달성하자 |
정답
❶ 유수원 ❷ 영조 ❸ 유수원 (柳壽垣) ❹ 평등 ❺ 후생
![우서 [사진 : 한국학중앙연구원]](/news/photo/202307/743836_78813_2418.jpg)
335. 임관정요 (臨官政要) |
✻ ❶ 【 】 이 ❷ 【 】 (수령이 힘써야 할 7가지 일) 를 중점 설명한 책 ✻ 1738 ( ❸ 【 】 14 ) ✻ 저자 : ❹ 【 】 ( 1712 ~ 1791 ) 호: 순암 ✻ 정어ㆍ정적ㆍ시조의 3편으로 구성 ▸ 정어 (政語) : 성현의 훈계 ▸ 정적 (政蹟) : 관리의 행적의 효과 ▸ 시조 (時措) : 필자의 사상을 담은 정치의 요체. 위정 (爲政), 지신 (持身), 처사 (處事) 등 21개의 항목으로 나누고 관리의 자세를 중점적으로 논함 ✻ ❺ 【 】 (守令七事) : 수령이 힘써야 할 7가지 일 ▸ 농상성 (農桑盛) : 농상 ( ❻ 【 】 업 ) 을 성하게 한다 ▸ 호구증 (戶口增) : 호구를 늘린다 ▸ 학교흥 (學校興) : 학교를 일으킨다 ▸ 군정수 (軍政修) : 군정을 다스린다 ▸ 부역균 (賦役均) : ❼ 【 】 의 부과를 균등하게 한다 ▸ 사송간 (詞訟簡) : 사송 (소송) 을 간명하게 한다 ▸ 간활식 (奸猾息) : 간사하고 교활함을 없앤다 |
정답
❶ 안정복 ❷ 수령칠사 ❸ 영조 ❹ 안정복 ❺ 수령칠사
❻ 농 ❼ 역 (役)
![임관정요 [사진 : 한국학중앙연구원]](/news/photo/202307/743836_78814_2453.jpg)

현, 공경단 학원 공시 한국사 강사
전, EBS 중학프리미엄 한국사 강사
에듀윌 한국사 능력 검정시험 강사
학습문의) kyongshik@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