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경식쌤의 한국사 크로스핏 / Season1. 한국사 기출 문헌 집중 탐구(63)
상태바
이경식쌤의 한국사 크로스핏 / Season1. 한국사 기출 문헌 집중 탐구(63)
  • 법률저널
  • 승인 2023.07.18 10:5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경식 공경단 학원

근대 태동기 문헌 조선 후기 ( 18 c 숙종 시대 )
 

323.

2015.4.18 국가직 9/ 2017.3.18 사회복지직 9/ 2018.5.19 지방직 9

홍만선이 지은 농서 + 가정생활서 세기 초 ( )

저자 : 홍만선 ( 洪萬選 1643 ~ 1715 ) 실학자

복거 (卜居. 주택의 선정건축), 섭생 (건강), 곡식목화채소류화초담배약초류과수 재배법, 구급 (응급처리)구황벽온 (전염병을 물리치는 법) 등 총 16항목

농림축잠업을 망라하였고, 농촌생활 (주택건강의료취미흉년대비 ) 까지 논술

정답

❶ 산림경제 (山林經濟) 18 ❸ 숙종
 

산림경제 [사진 : 한국학중앙연구원]

 

324. 2012.8.25 경찰 2/ 2017.8.26 국가직 7

임상덕이 지은 삼국 ~ 고려 말의 한국 통사

1711 ( 37 ) 추정 편년체 ( + )

저자 : 임상덕 ( 林象德 1683 ~ 1719 )

: 노촌 (老村) 윤증의 제자 ( )

3 (기원전57) ~ 1374 (공민왕23) 1431년간의 역사 기록

<삼국기>, <신라기>, <고려기> 로 구성. 고려기가 가장 자세함

기자 조선과 마한을 정통으로 ❺ 인정 / 인정하지 않음

삼국 시대를 무통 (無統) 의 시대로 간주 ( 삼국 무통론 )

→ 삼국을 신라 중심이 아닌 대등한 시각에서 인식

→ ❻ 의 「동사강목」 에 영향을 줌

발해사에 대한 언급이 ❼ 있음 / 없음

정답

❶ 동사회강 (東史會綱) ❷ 숙종 ❸ 강목 ❹ 소

❺ 인정하지 않음 ❻ 안정복 ❼ 없음

 

325.

홍세태가 편찬한 위항인들의 시집 1712 ( 38 )

저자 : 홍세태 ( 1653 ~ 1725 ) 중인 출신 시인

중종 ~ 당시의 200년간의 이름난 위항시인 48인의 시 230수 수록

여항 (閭巷) 한시집 (漢詩集) 위항 시집의 효시로 평가됨

✻ ❸ ( 委巷人 거리에 내버려진 자. Outsider )

: 능력은 있으나 신분적 제약으로 출세하지 못하고 있는 사람.

기술직 중인, 향리, 서얼, 여성 등

정답

❶ 해동유주 (海東遺珠) ❷ 숙종 ❸ 위항인

 

326. 백두산 (白頭山) (定界碑)

2012.8.25 경찰 2/ 2013.3.9 경찰 1/ 2014.3.22 사회복지직 9

2014.6.28 서울시 7/ 2016.9.3 경찰 2/ 2017.3.18 사회복지직 9

2017.6.24 서울시 7/ 2022.4.2 국가직 9

조선과 청나라의 국경을 확정하여 백두산에 세운 비석

조선 1712 ( 38 )

높이 67 cm , 너비 45 cm

1931.9 사변 직후 없어짐

압록강두만강 유역에서 인삼을 캐거나 사냥 목적으로 이 지역을 내왕하는 조선인과 중국인간의 충돌 발생 → 외교문제화

1712.2 청나라에서 목극등을 백두산에 보내 국경을 사정 (査定 조사하여 확정) 하려 하니 협조해 달라는 공문을 조선 정부에 보냄 → 접반사 (接伴使 외국 사신을 접대하는 임시 관직) 박권, 함경 감사 이선부 등이 합류 → 10 일간 답사 후 백두산 천지 동남쪽 4 km 점의 분수령에 정계비를 세움 ( 박권과 이선부는 연로하여 백두산 답사에 동행하지 못하고 수행 조선관원들만 동행 )

비석 머리에 대청 (大淸) 이라는 글자를 크게 쓰고 내용 기록

오라총관 목극등이 황제의 뜻을 받들어 변경을 답사해 이곳에 와서  살펴보니 서쪽은 이 되고 동쪽은 이 되므로 분수령 위에 돌에 새겨 기록한다. ( 烏喇摠管穆克登 奉旨査邊 至此審視  西爲鴨綠 東爲土門 故於分水嶺上 勒石爲記 강희오십일년오월십오일 (康熙五十一年五月十五日)

비석에 청국인 수행원 이름과 조선 관원 6인의 이름도 함께 새김

청나라의 오라 (烏喇 길림) 총관 목극등 (穆克登) 등과 조선의 관원들이 직접 현지답사 후 세움

정계비 수립 후 청과 비문 해석 논쟁 발생

西爲鴨綠 東爲土門 (서위압록 동위토문)

청과 조선의 서쪽의 경계선은 압록강, 동쪽의 경계선은 토문강이므로 토문강 동쪽에 있는 간도는 조선의 영토가 분명한데 청이 비석문의  토문 (土門) 은 토문강 (土門江) 이 아니라 두만강 (豆滿江) 이라고 억지 주장 (1880)

→ 조선 조정은 관리를 파견하여 간도의 영유권 수호 노력

(조선) 1882 경략사 (어윤중) 파견

(조선) 1885 감계사 (이중하) 파견

(대한제국) 1902 간도시찰원 (이범윤) 파견

1903 이범윤이 간도 사에 임명됨

(대한제국) 1907 부가 간도파출소 (출장소) 설치

1909 협약 ( & 일본 ) 으로 청과 대한제국의 경계선이 백두산에서 ⑪ (石乙水 두만강으로 흘러들어가는 지류하천) 로 정해지면서 간도 상실

정답

① 정계 ② 숙종 ③ 만주 ④ 압록 ⑤ 토문 ⑥ 서북

⑦ 토문 ⑧ 관리 ⑨ 통감 ⑩ 간도 ⑪ 석을수

 

<strong>이경식</strong><br>현, 공경단 학원 공시 한국사 강사<br>전, EBS 중학프리미엄 한국사 강사<br>에듀윌 한국사 능력 검정시험 강사<br>학습문의) kyongshik@naver.com
이경식
현, 공경단 학원 공시 한국사 강사
전, EBS 중학프리미엄 한국사 강사
에듀윌 한국사 능력 검정시험 강사
학습문의) kyongshik@naver.com

 

 

 

 

 

 
 
 
 
 
xxx

신속하고 정확한 정보전달에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이 기사를 후원하시겠습니까? 법률저널과 기자에게 큰 힘이 됩니다.

“기사 후원은 무통장 입금으로도 가능합니다”
농협 / 355-0064-0023-33 / (주)법률저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공고&채용속보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