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경식 공경단 학원
중세 문헌 고려 원간섭기 ( 13c )
외국 문헌 104. 고려첩장불심조조 (高麗牒狀不審條條) 2014.4.19 안전행정부 9급 |
✻ 삼별초의 ❶ 【 】 도 정부가 일본에 보낸 외교문서를 가마쿠라 막부가 일본 조정에 보내면서 이상하게 여긴 내용을 정리한 문서 ✻ 고려 1271 ( ❷ 【 】 12 ) ✻ 저자 : 일본 가마쿠라 막부 ✻ 몽골과 고려 정부에 저항하여 ❸ 【 】 도에서 별도의 정부를 수립한 삼별초가 일본에 외교문서 (고려첩장) 를 보냄 → 첩장을 받은 가마쿠라 막부는 개경의 고려 정부가 국서를 보낸 것이 아니라 ❹ 【 】 도의 삼별초가 보낸 것임을 모르고 글의 내용에 매우 혼란스러워 함 ✻ 이전의 고려 국서 (1268) 는 ❺ 【 】 의 덕을 칭송하며 사대 (事大) 의 군신례 (君臣禮) 를 맺었다고 했는데, 이번에 온 국서는 ❻ 【 】 을 야만인으로 지칭하고 있는 점 등 의문시되는 내용을 12 조목으로 정리하여 일본 교토 (京都) 의 조정에 보낸 글 ✻ 삼별초의 ❼ 【 】 도 정부가 보낸 문서는 현존하지 않음 |
정답
❶ 진 ❷ 원종 ❸ 진 ❹ 진 ❺ 몽골 ❻ 몽골 ❼ 진
105. 삼국유사 (三國遺事) 2012.5.12 지방직 9급 상반기 / 2013.4.13 기상직 9급 / 2013.7.27 국가직 9급 2014.10.11 방재안전직 9급 / 2015.3.14 사회복지직 9급 / 2015.6.13 서울시 9급 2015.10.17 지방직 7급 / 2016.4.9 국가직 9급 / 2016.9.3 경찰 2차 2017.3.18 경찰 1차 / 2018.3.18 경찰특공대 / 2017.6.17 지방교행직 9급 2017.7.26 국가직 7급 / 2018.3.24 경찰 1차 / 2018.4.7 국가직 9급 2019.4.6 국가직 9급 / 2019.8.17 국가직 7급 / 2019.8.17 지역인재 9급 2020.5.30 경찰 1차 / 2021.6.5 지방직 9급 / 2022.4.2 국가직 9급 |
✻ 고려 후기의 승려 ❶ 【 】 이 편찬한 역사서 ✻ 1281 ( ❷ 【 】 왕 7 ) ✻ 저자 : ❸ 【 】 ( 1206 ~ 1289 ) ✻ 총 9편 144항목 ( 왕력ㆍ기이ㆍ흥법ㆍ탑상ㆍ의해ㆍ신주ㆍ감통ㆍ피은ㆍ효선 ) ▸ 왕력 (王歷) : 삼국ㆍ가락국ㆍ후고구려ㆍ후백제 등의 간략 연표 ▸ 기이 (紀異) : 고조선 ~ 후삼국의 단편적 역사 57항목 (우리 고유의 설화, 전래 기록) ▸ 흥법 (興法) : 삼국의 불교 수용 ▸ 탑상 (塔像) : 탑과 불상에 관한 사실 ▸ 의해 (義解) : 신라 고승들의 전기 ▸ 신주 (神呪) : 신라의 밀교 (密敎) 의 이적 (異蹟) 과 신이승 (神異僧) 전기 ▸ 감통 (感通) : 부처와 영적 감통을 이룬 신도들의 영검, 영이 (靈異) 등 ▸ 피은 (避隱) : 은둔한 일승 (逸僧) 들의 행적 ▸ 효선 (孝善) : 효도, 불교적 선행에 대한 미담 ✻ ❹ 【 】 를 중심으로 편집한 ❺ 【 】 체적 야사집 ✻ ❻ 【 】 에서 후삼국까지 우리 역사 전체를 다루고 있음 ✻ ❼ 【 】 신화 수록 ✻ ❽ 【 】 14수 수록 |
정답
❶ 일연 ❷ 충렬 ❸ 일연 ❹ 설화 ❺ 기사본말 ❻ 단군
❼ 단군 ❽ 향가
106. 고금록 ( 古今錄. 원부 ) 2018.3.24 서울시 제1회 7급 |
✻ ❶ 【 】 왕 代에 편찬된 ❷ 【 】 서 ✻ 1284 ( ❸ 【 】 왕 10 ) ✻ 저자 : 허공, 원부, 한강 등 ✻ 현존하지 않아 내용 알 수 없음 |
정답
❶ 충렬 ❷ 역사 ❸ 충렬
107. 제왕운기 (帝王韻紀) 2012.5.12 지방직 9급 상반기 / 2012.9.22 지방직 9급 하반기 2014.3.22 사회복지직 9급 / 2015.3.14 사회복지직 9급 / 2015.8.29 국가직 7급 2015.10.17 지방직 7급 / 2016.9.3 경찰 2차 / 2017.6.24 서울시 9급 2018.3.24 서울시 제1회 7급 / 2018.4.7 국가직 9급 / 2018.9.1 경찰 2차 2019.4.6 국가직 9급 / 2019.8.17 국가직 7급 / 2019.8.17 지역인재 9급 2020.7.11 국가직 9급 / 2022.4.2 국가직 9급 |
✻ ❶ 【 】 가 ❷ 【 】 과 우리나라 역사를 운율시 (韻律詩) 형식으로 읊은 책 ✻ 1287 ( ❸ 【 】 13 ) ✻ 저자 : ❹ 【 】 ( 1224 ~ 1300 ) ▸ 상권 : 천지개벽, 삼황오제에서 원나라에 이르는 ❺ 【 】 역사를 7언 고시로 읊음 ▸ 하권 : 동국군왕 개국년대 + 본조군왕 세계년대 동국군왕 개국년대 : ❻ 【 】 조선 ~ 발해의 역사를 7언 고시로 읊음 본조군왕 세계년대 : 작제건 설화 ~ ❼ 【 】 왕의 역사를 5언 고시로 노래 ✻ 단군의 ❽ 【 】 신화 수록 ✻ 발해사를 한국사로 인식한 최초의 역사서 ✻ ❾ 【 】 나라의 정치적 간섭에 저항 |
정답
❶ 이승휴 ❷ 중국 ❸ 충렬왕 ❹ 이승휴 ❺ 중국 ❻ 단군
❼ 충렬 ❽ 건국 ❾ 원
108. ❶ 【 】 |
✻ 중국 고전에 나오는 선현들의 금언 (金言), 명구 (名句) 를 편찬한 책 ✻ ❷ 【 】 간섭기 (충렬왕) ✻ 저자 : 추적 (秋適). 충렬왕 代 의 문신. ( 내용이 우수하여 명나라 범입본 [范立本] 이 재편했다고도 함 ) ✻ 계선편, 정기편, 효행편 등 20여편 ▸ 계선편 (繼善篇) : 선행을 권장하는 금언들을 모음 ▸ 정기편 (正己篇) : 일상 생활을 항상 반성하고, 홀로 있을 때 행동을 삼갈 것 ▸ 안분편 (安分篇) : 매사에 분수를 알고 만족할 것 ▸ 존심편 (存心篇) : 언제나 겸손하고 남을 용서하며, 자신에게는 끊임없이 반성할 것 ✻ 고려 말, 조선 초부터 가정, 서당에서 아동의 기본 교재로 널리 활용됨 ✻ 어린이가 천자문을 마친 후 그 다음 과정으로 배우는 도덕책 |
정답
❶ 명심보감 (明心寶鑑) ❷ 원
109. 천추금경록 (千秋金鏡錄) |
✻ 정가신이 편찬한 역사서 ✻ 원간섭기 ( ❶ 【 】 왕 代 ) ✻ 저자 : 정가신 ( 鄭可臣 1224 ~ 1298 ) 원 간섭기의 문신, 문장가 ✻ 현존하지 않아 명확히 알 수 없음 ✻ 고려 ❷ 【 】 대왕 ( 虎景大王. 태조 왕건의 5대조 ) 부터 원종까지의 역사 중 교훈이 될 만한 내용을 뽑아 편찬한 사서로 추정 ✻ 정가신의 「천추금경록」 을 ❸ 【 】 왕의 명으로 민지, 권보가 증보하여 「세대편년절요」 를 편찬함 |
정답
❶ 충렬 ❷ 호경 ❸ 충렬

현, 공경단 학원 공시 한국사 강사
전, EBS 중학프리미엄 한국사 강사
에듀윌 한국사 능력 검정시험 강사
학습문의) kyongshik@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