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덕윤의 언어논리 이야기(8)
상태바
문덕윤의 언어논리 이야기(8)
  • 문덕윤
  • 승인 2015.06.19 11:3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문덕윤
베리타스 PSAT 언어논리 전임

Code No.6 나열관계 – 분석인지 종합인지에 따라 구별기준이 달라진다.

 

지난 시간에 보았던 나열관계를 표현한 그림이다. 나열 관계에서 구별 기준은 화살표가 위로 가는지(하위에서 상위 개념으로 일반화 : 종합) 아래로 가는지(상위에서 하위로 구체화 : 분석)에 따라 달라진다. 다음 예제를 통해 실제적인 독해 방법을 점검해 보겠다.

 

[예제]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VOD(Video on Demand)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서버가 네트워크를 통해 비디오 콘텐츠를 실시간으로 전송하고, 동시에 수신 측에서 이와 연동하여 이를 재생하는 서비스를 말한다. 콘텐츠가 실시간으로 전송될 때는 허용 시간 내에 데이터가 전달되는 것이 중요하므로, 공중파 방송처럼 데이터를 통신망으로 퍼뜨리는 형태를 취한다. 콘텐츠의 전송은 소프트웨어적으로 정의되는 채널을 통해 일어나는데, 한 채널은 콘텐츠 데이터 블록의 출구 역할을 하며 단위 시간당 전송하는 데이터의 양을 의미하는 ‘대역’으로 그 크기를 나타낸다. 한편 한 서버가 가지는 수용 가능한 대역의 크기, 즉 최대 전송 능력을 ‘대역폭’이라고 하고 초당 전송 비트 수로 나타낸다.

VOD의 여러 방법 가운데 사용자의 요청마다 각각의 채널을 생성하여 서비스하는 방법을 ‘RVOD(Real VOD)’라고 한다. 각 전송 채널이 사용자별로 독립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직접 ‘일시 정지’, ‘빨리 감기’ 등과 같은 실시간 전송 제어를 할 수 있어 상대적으로 사용자의 편리성이 높고, 제한된 대역폭으로도 다양한 콘텐츠의 동시 서비스가 가능하다. 그러나 동시 접속 사용자의 수에 비례하여 서버가 전송해야 하는 전체 데이터의 양이 증가하므로, 대역폭의 제한이 있는 상황에서는 동시 접속이 가능한 사용자의 수에 한계가 있다.

이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제시된 NVOD(Near VOD)는 일정 시간 동안에 들어온 서비스 요청을 묶어 한 채널에 다수의 수신자가 동시에 접속되는 형태를 통해 서비스하는 방식이다. NVOD의 한 채널은 동시 접속 수신자 수에 상관없이 일정한 대역을 필요로 하므로 동시 접속 사용자 수의 제한을 극복할 수 있지만, 사용자가 서비스를 받기 위해 일정 시간을 기다려야 하는 불편이 있다. 서비스 제공자의 입장에서 볼 때 사용자가 서비스 요청을 취소하지 않고 참을 수 있는 대기 시간을 ‘허용 대기 시간’이라고 하는데, 이것은 VOD의 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시간 분할 NVOD’는 동일 콘텐츠가 여러 채널에서 시간 간격을 두고 반복 전송되도록 함으로써 대기 시간을 줄이는 방법이다. 사용자는 요청 시점 이후 대기 시간이 가장 짧은 채널에서 수신 대기하게 되고, 그 채널의 전송이 데이터 블록의 첫 부분부터 다시 시작될 때 수신이 시작된다. 이때 대기 시간은 서버의 채널 수나 콘텐츠의 길이에 따라 결정되는데, 120분 길이의 영화를 12개의 채널을 통하여 10분 간격으로 전송하면 대기 시간은 10분 이내가 된다. 대기 시간을 줄이려면 많은 수의 채널이 필요한데, 1분 이내로 만들려면 120개의 채널이 필요하다.

‘데이터 분할 NVOD’는 콘텐츠를 여러 데이터 블록으로 나누고 각각을 여러 채널에서 따로 전송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대기 시간을 조절한다. 첫 번째 블록을 적당한 크기로 만들어, 이어지는 블록의 크기가 순차적으로 2배씩 증가하면서도 블록 수가 이용 가능한 채널 수만큼 되도록 전체 콘텐츠를 나눈다. 각 채널에서는 순서대로 할당된 블록의 전송을 동시에 시작하고, 각 블록의 크기에 따라 주기적으로 전송을 반복한다. 수신 측은 요청 시점 이후 첫 번째 블록부터 순서대로 콘텐츠를 받게 되는데, 블록의 수신이 끝나면 이어질 블록이 전송되는 채널로 자동 변경되어 그 블록의 시작 부분부터 수신된다. 단, 채널의 대역이 콘텐츠의 재생에 필요한 것보다 2배 이상 커야만 이미 받은 분량이 재생되는 동안 이어질 블록의 수신이 보장되고 연속 재생이 가능하다.

이 방법은 첫 블록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아지므로 대기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앞선 예에서 120분 분량을 2배속인 6개의 채널을 통해 서비스하면 대기 시간은 1분 이내가 된다. 따라서 시간 분할 방법에 비해 동일한 대역폭을 점유하면서도 대기 시간을 90% 이상 감소시킬 수 있으며, 대기 시간 대비 사용 채널 수가 줄어들어 한 서버에서 동시에 서비스 가능한 콘텐츠의 종류를 늘릴 수 있다. 하지만 전체 콘텐츠의 전송에 걸리는 시간이 콘텐츠의 전체 재생 시간의 절반 이하이므로 각 채널이 2배 이상의 전송 능력을 유지해야 하며, 콘텐츠의 절반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이 수신 측에 반드시 필요하다.

NVOD는 공통적으로 대기 시간 조절을 위해 다중 채널을 이용하므로 서비스에 필요한 일정한 대역폭을 늘 확보해야 한다. 따라서 콘텐츠당 동시 접속 사용자가 적을 경우에는 그리 효율적이지 못하다. 극단적으로 한 명의 사용자가 있을 경우라도 위의 예에서는 6개의 채널에 필요한 대역폭을 점유해야 하므로 네트워크 자원의 낭비가 심하다.

1. 위 글의 내용과 일치하는 것은?

①RVOD에서 콘텐츠 전송에 필요한 대역의 총합은 동시 접속 사용자 수에 상관없이 일정하다.

②시간 분할 NVOD와 데이터 분할 NVOD에서는 모두 재생 중에 수신 채널 변경이 필요하다.

③시간 분할 NVOD에서는 크기가 다른 데이터 블록이 각 채널에서 반복 전송된다.

④데이터 분할 NVOD에서 데이터 블록의 크기는 사용 채널 수에 상관없이 결정될 수 있다.

⑤데이터 분할 NVOD에서 각 채널의 전송 반복 시간은 데이터 블록의 재생 순서에 따라 다음 채널로 넘어가면서 2배씩 증가한다.

2. 어느 지역에 VOD 서비스를 공급하기 위해 <보기>와 같이 기초 자료를 조사하였다. 이를 토대로 시간대별로 VOD 서비스 방식을 결정할 때, 가장 적절한 선택은?

 

<보 기>

 

 

 

시간

조사 항목

아침, 낮

저녁, 밤

심야

서비스 요청자 수는 얼마나 많은가?

많다

많다

적다

요청 콘텐츠의 수는 얼마나 많은가?

적다

보통

많다

허용 대기 시간은 얼마나 긴가?

길다

보통

짧다

 

아침, 낮

저녁, 밤

심야

RVOD

시간 분할

NVOD

데이터 분할

NVOD

시간 분할

NVOD

RVOD

데이터 분할

NVOD

시간 분할

NVOD

데이터 분할

NVOD

RVOD

데이터 분할

NVOD

RVOD

시간 분할

NVOD

데이터 분할

NVOD

시간 분할

NVOD

RVOD

 

세 문제 모두 난이도가 높아서 풀이에 시간이 걸렸을 것이라 생각한다. 과학기술 지문은 지문 내에 정의된 용어의 정확한 정의를 확인하고, 용어 사이의 관계를 짤막하게 메모해가면 따라가는 것이 도움이 된다. 이 지문의 문맥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정답 :⑤

①2문단을 보면 RVOD 방식은 동시 접속 사용자의 수에 비례하여 서버가 전송해야 하는 전체 데이터의 양이 증가한다. 따라서 대역의 총합은 동시 접속 사용자 수의 영향을 받는다.

②시간 분할 NVOD 방식은 재생 중에 수신 채널 변경을 할 필요가 없다.

③데이터 분할 NVOD 방식의 특징이다.

④5문단을 보면 데이터 분할 NVOD에서 데이터 블록의 크기는 사용 채널 수에 따라 결정된다.

⑤5문단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데이터 블록의 크기는 순차적으로 2배씩 증가한다. 데이터 블록이 전송되는 데 걸리는 시간은 데이터 블록의 크기에 비례하고, 채널의 크기인 대역(단위 시간당 전송하는 데이터의 양)이 일정하므로, 각 채널의 전송 반복 시간, 즉 각 채널에서 데이터 블록이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데 걸리는 시간도 2배씩 증가함을 알 수 있다.

2. 정답 : ③

VOD 서비스 방식 결정에 대한 새로운 상황을 제시하고 이를 지문의 개념 구조를 기준으로 해결하는 창의적 이해 문제이다. 문제 해결의 순서를 잘 잡는 것이 중요한 문제였다. 서비스 방식별 특성은 지문에 나와 있으므로 독해하면서 정확히 포착해 두어야 한다. 특히, 시험장에서는 생각의 동선을 효율적으로 줄이는 것도 중요하다. 그럼 생각의 순서대로 정답에 접근해 보겠다.

첫째, <보기>를 보면 서비스 요청자 수가 심야에만 적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심야는 NVOD 방식을 피해야 한다. → ①②④ 제거

둘째, 요청 콘텐츠 수와 허용 대기 시간의 특성을 살핀다. 저녁, 밤 시간은 아침, 낮 시간에 비해 허용 대기 시간이 짧다. 데이터 분할 NVOD는 시간 분할 NVOD에 비해 허용 대기 시간이 짧다. 따라서 아침, 낮에는 시간 분할 NVOD방식, 저녁, 밤에는 데이터 분할 NVOD 방식이 적합하다.

xxx

신속하고 정확한 정보전달에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이 기사를 후원하시겠습니까? 법률저널과 기자에게 큰 힘이 됩니다.

“기사 후원은 무통장 입금으로도 가능합니다”
농협 / 355-0064-0023-33 / (주)법률저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공고&채용속보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