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수첩> 공무원시험 정보, 비공개의 이유
상태바
<취재수첩> 공무원시험 정보, 비공개의 이유
  • 이인아 기자
  • 승인 2014.09.24 10:0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인아 기자

9월 말, 한해가 저물어가는 시점이라고 하면 아직 이르다고 할지 모르겠다. 그러나 내년 상반기 시험 준비에 분주한 수험생 입장에서는 이미 마음은 새해를 맞이해 시험을 몇 번이고 치른 기분일지도 모를 일이다.

국가직, 서울시, 지방직 등 최종합격자 발표 일정이 아직 완료되지 않은 상황에서 내년 일정을 장담하는 것은 매우 섣부른 판단이다. 매해 비슷한 시기에 시험이 진행돼 왔다면 당장 내년 3월부터 상반기 시험 일정에 돌입하게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올해 3월에는 사회복지직과 경찰직, 법원사무직 시험이 있었다. 내년에도 이들 시험이 같은 달에 진행될지는 확신할 수 없지만 얼추 비슷하다면 지금부터 수험기간은 넉넉잡아 6개월가량 남았다고 볼 수 있다.

시험이 있을 때마다 선발규모, 지원자 수, 경쟁률, 합격선, 응시율 등이 초미의 관심이다. 수험생입장에서 자신이 응시하는 시험의 현황을 파악하는 것은 매우 당연한 일이다.

그러나 아는 것은 당연하되, 선택에 있어서는 소신이 있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경쟁률이 낮은 지역만 찾아서 시험을 보다가는 죽도 밥도 안되는 경우가 더러 있다.

노력은 배신하지 않는다는 위로의 말은 그냥 위로일지도 모르지만 시험에 합격해 일선에서 일하고 있는 다수 공무원은 합격에 있어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이 결국 ‘피나는 노력’이라고 전하고 있다.

복권에 당첨되는 것이야 말로 천운을 타고 난 사람이며, 똑같이 기회를 갖고 점수매기기에 따라 희비가 갈리는 시험에서는 억지로라도 노력이라는 것을 동반해야 천운을 가지게 될 수 있는 것이다. 노력하지 않은 사람이 거저 먹으려는 것은 도둑 심보가 아니고 무엇일까.

기자가 이 말을 꺼낸 이유는 낮은 경쟁률을 보인 지역에만 응시하는 수험생이 많고, 이에 따른 불이익은 결국 수험생들에게 돌아간다는 것을 전하고 싶어서다.

이른바 눈치작전이 필요한 지방직이나 경찰직 시험에서 특히 두드러지게 발생하는데, 지방직은 지자체별 거주지제한으로, 경찰직은 거주지제한이 없어 자신이 원하는 지역에 원서접수를 할 수 있다는 것에 수험생들은 더 경쟁률이 낮은 곳에 응시하려는 습성을 보이고 있다.

지방직은 현재 그 지역에 주민등록 주소지로 돼 있거나, 과거 3년 이상 거주했던 흔적이 있으면 응시가 가능하다. 현재 경기도에 살아도 과거 부산에 3년 이상 살았다면 부산지역 응시가 가능한 것이다.

경찰직은 자신이 어디에 살든 간에 원하는 지역에 응시할 수 있다. 현재 경기도에 살아도 서울지역에 응시가 가능하다는 얘기다. 국가직과 서울시 시험은 직렬 선택에 따른 눈치게임이 필요하다면 지방직이나 경찰직은 직렬보다는 지역 선택에 있어 수험생들의 눈치작전이 필요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기자는 수험생이 국가직이나 서울시 시험의 직렬 선택기준은 전년도 합격선을 위주로 한다면, 지방직이나 경찰직 시험의 지역 선택 기준은 전년도 경쟁률로 가늠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특히 지방직과 경찰직의 경우 전년도 선발규모, 경쟁률, 응시율 등이 합격선보다 더 크게 수험생의 지역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데 이에 따라 지자체 등 기관들은 현황 발표에 대해 비공개도 검토해 볼 수 있는 사항이라는 분위기다.

선발규모나 경쟁률, 합격선은 공식적으로 드러나는 게 맞다고 하지만, 응시율 현황을 공개하는 것에는 검토가 필요할 수 있는 부분이라고 한 기관 관계자는 귀띔했다. 응시율 공개를 꺼려하는 이유는 단 하나, 응시율이 높으면 다음 해에 수험생들 지원이 줄기 때문이다.

오히려 응시율이 낮으면 기관 입장에서는 썩 좋은 것만은 아니지만 다음해에 수험생들의 유입을 활발하게 할 수도 있다는 점에서 크게 동요하지도 않는 듯 하다.

경찰직은 수험생의 지역 선택 쏠림이 일반직 시험보다 더 심한 모습이다. 경찰시험은 지난 2012년 이후부터 합격선이나 응시율 등을 비공개석상에서라도 공개하지 않고 있다.

경찰 관계자는 이를 두고 합격선을 공개하니 수험생들이 다음해에 합격선이 가장 낮은 지역에 대거 몰려 여러 부작용이 있는 것으로 판단이 들었다고 귀띔했다. 정부의 경찰인력 2만 명 증원이 현실화 되면서 이같은 상황은 더 심해진 것 같다는 게 그의 생각이다.

수험생들이 특정지역에 몰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합격선 공개는 불가피해졌다고 그는 강조했다. 또한 경찰시험 합격 후 5년간 전보가 이뤄지지 않는데 내년부터는 그 기간이 7년으로 늘어난다고 경찰 관계자는 전하고 있다.

합격선이 낮은 곳을 찾아 연고지에서 멀어진 지역에 응시하고, 합격했다고 할 경우 합격할 당시에는 문제될 것이 없지만 근무를 하면서 결국 점차 의욕이 저하되고 다시 연고지를 찾게 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다.

경쟁률이나 합격선이나 응시율이나 수험생이라면 당연히 궁금해 하는 것이지만 기관 입장에서 볼 때는 앞서 말한 측면에서 보자면 재고가 필요할 수도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수험생은 물론 어떻게든 어디로든 합격이 우선이 되는 것이겠지만, 넓게 보면 이기적인 면도 배제할 수 없다.

내년 시험을 준비하는 수험생들은 시험, 지역 선택 시 근무지, 합격 후 생활 반경 등도 함께 고려해 소신 지원하길 바라는 바다. 

gosilec@lec.co.kr  

xxx

신속하고 정확한 정보전달에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이 기사를 후원하시겠습니까? 법률저널과 기자에게 큰 힘이 됩니다.

“기사 후원은 무통장 입금으로도 가능합니다”
농협 / 355-0064-0023-33 / (주)법률저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공고&채용속보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