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민준 노무사의 인사노무관리론8

2016-05-26     김민준 노무사















안녕하세요?

김민준 노무사입니다.

이번 주제는 확보관리과정 중 선발의 Bio-data입니다.


Ⅰ. Bio-data의 개념

개인의 전기(轉記)적 정보이며 지원자 개인에 관련된 것으로 지원자의 이력서, 면접 등을 통해 획득한 개인 신상에 관한 모든 것을 말합니다. 여기에 검증 가능한 것 뿐만 아니라 검증 불가한 것도 포함 됩니다.


Ⅱ. Bio-data의 중요성

전기적 정보는 개인의 독특한 행동, 생활정보가 담겨 있기 때문에 위조하기 어렵고 정보의 정확도가 높은 편입니다. Tucker는 약학 연구원 151명을 대상으로 바이오데이터-창의력 간 상관관계를 연구한 바 있는데 직무적합성과 직무태도간에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오늘날 많은 기업에서 해당 자료를 계량하여 사용하는 방법을 개발하고 인사실무에서 유용하게 활용하고 있습니다.


Ⅲ. Bio-data의 특징

- 증명 가능(기록의 진위여부로 판명)

- 과거 행동 기반(과거 지향적)

- 실제 수행 행동 기록(사실중심)

- 지원자 기억에 의존(경험중심)

- 내용의 구체성
 


Ⅳ. Bio-data의 구성내용

- 인적사항(연령, 결혼여부, 부양가족 수)

- 교육 정도(학력, 선호과목, 학교성적)

- 사회 경제적 위치(SES : social economic status, 거주형태, 거주지역)

- 취미 및 관심사

- 직업경험(이전 직장 정보, 재직기간)

- 개인적 성격 및 성향(희망 근무지, 이동가능성)

- 기타사항(군 복무, 특이사항 등)


Ⅴ. Bio-data의 개발

어떤 항목에 예측력이 있으며, 어느 정도 가중치를 둬야 하는지 활용목적을 밝혀야 합니다.

<1단계> 성과관련 변수 결정(회사에서 무엇을 중점적으로 고려하는지)

<2단계> 조사대상 집단의 선정(고/저 성과 집단)

<3단계> 분석할 지원서 항목 선택

<4단계> 개별항목의 등급별 빈도수

<5단계> 개별항목의 등급별 가중치

<6단계> 지원자 그룹 적용

<7단계> 합격자 결정

개인 정보에 대한 정확도가 높아 정보 신뢰성이 있으며, 사실에 근거한 구체적인 기술로 구성되어 위조가 어렵고 지원자의 객관적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과거의 정보고 지원자의 미래 성공을 예측할 수 없는 예측타당성 문제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