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경식쌤의 한국사 크로스핏 / Season1. 한국사 기출 문헌 집중 탐구(79)
상태바
이경식쌤의 한국사 크로스핏 / Season1. 한국사 기출 문헌 집중 탐구(79)
  • 이경식
  • 승인 2023.12.01 11:2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경식 공경단 학원

근대 태동기 문헌 조선 후기 ( 18 c 말 정조 시대 )
 

394. 【 】

유득공이 지은 한사군 (漢四郡) 의 역사서 1795 ( 19 ) 추정

유득공 ( 1749 ~ 1807 ) 편찬, 서유구 ( 1764 ~ 1845 ) 교정필사

한사군 연혁을 표로 작성

위치 비정

낙랑 : 평양 ( 고조선의 수도 ) 진번 : 송화강 동쪽 ( 고구려의 땅 )

임둔 : 강릉 ( [] 의 땅 ) 현도 : 함흥 ( 옥저의 땅 )

고구려백제신라가 한사군을 장악하게 되는 과정 기술

한사군 지역의 인물, 방언, 토산물, 비문 소개

유득공의 기타 저작

▸ 「가상루집 (歌商樓集) : 유득공의 문집

▸ 「난양록 (灤陽錄) : 유득공이 1790 서호수, 박제가와 함께 ❸

( 燕行. 조선의 외교 사절로서 청을 방문하는 것 ) 을 다녀온 후 저술한 연행록 (燕行錄). 「열하기행시주」 라고도 함.

▸ 「연대재유록 (燕臺再游錄) : 유득공이 1801 박제가와 함께 연행을 다녀온 후 저술한 연행록

정답

❶ 사군지 (四郡志) ❷ 정조 ❸ 연행

 

395. 【 】 전서 (靑莊館全書)

이덕무의 저술 총서 1795 ( 19 ) 편찬

이덕무 ( 1741 ~ 1793 ) 의 저작들을 아들 이광규가 편집

이덕무가 지은 책과 글을 종합하여 편찬

▸ 영처고 ( 이덕무가 소년 시절에 지은 시문을 모음 )

▸ 예기억 ( 「예기」 의 자의 [字義] 를 고증비판 )

▸ 아정유고 ( 각체의 시문을 모음 ) ▸ 청비록 ( 고금의 시화 [詩話] 를 수록 )

▸ 사소절 ( 선비부녀자아동의 예절수신 규범 )

▸ 뇌뢰낙락서 ( 중국 인물지 )

▸ 이목구심서 ( 귀로 들은 것, 눈으로 본 것, 입으로 말한 것, 마음으로 생각한 것을 적은 것 )

▸ 앙엽기 ( 소논문집, 소백과사전 )

▸ 청정국지 ( 일본의 풍속언어물산 등 )

▸ 서해여언 ( 황해도 기행문 ) ▸ 입연기 ( 북경 기행문 )

(靑莊館) : 이덕무의 호

정답

❶ 청장관 ❷ 정조 ❸ 청장관

 

396. 【 】

이덕무 등이 편찬한 한자 운서 (韻書) 조선 1796 ( 20 ) 간행

저자 : 이덕무가 1792 ( 16 ) 까지 주로 편찬하고, 윤행임서영보, 이서구, 이가환, 유득공, 박제가 등이 교정함

13,345 자 수록

운서 안에 한자를 나열할 때 한글 자모의 순서에 따라 한자음을 분류, 배열

() : 한자의 음에서 성모 (聲母 = 초성) 를 제외한 부분.

< > (kwan) 에서 성모 (초성) k 를 뺀 wan 이 운 ().

(韻書)

한자의 운 () 을 분류하여 일정한 순서로 배열한 사전. 모든 한자를 사성 (四聲) 으로 나누고, 같은 성조의 한자들을 같은 운 () 끼리 모은 다음, 성모가 같은 한자들을 또 모아서 사성별 → 운별 → 성모별로 한자를 배열함

「전운옥편 (全韻玉篇) 이 본서의 부록으로 추정됨

정답

❶ 규장전운 (奎章全韻) ❷ 정조 ❸ 정조 ❹ 운서

 

397. 【 】

「규장전운 (奎章全韻) 의 부록으로 추정되는 옥편

조선 1796 ( 20 ) 추정

저자 : 「규장전운 (奎章全韻) 의 편찬자들 ( 이덕무  ) 이 「규장전운」 의 후속 사업으로 편찬간행 (추정)

한자의 부수에 따라 글자를 배열하고, 각 글자마다 독음, , 그 글자에 해당하는 운 (), 글자의 통자 (通字), 동자 (同字), 속자 (俗字) 를 표기

종래의 옥편은 운서의 부록으로서 운서 활용 시 편리하도록 색인 기능에만 충실하여 글자의 음과 뜻이 없는 경우가 일반적이었으나 본서는 글자마다 한글로 음을 표시하고 상세한 뜻을 달아 운서와 무관하게 옥편 (한자사전) 단독의 기능도 가능 하게 구성되었음

[사진 : 한국학중앙연구원]
[사진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답

❶ 전운옥편 (全韻玉篇) ❷ 정조
 

398. 【 】

송석원시사 (松石園詩社) 가 편찬한 위항시집

1797 ( 21 ) 정사년 (丁巳年) 저자 : 천수경 등

「소대풍요」 가 간행된 지 1주갑 (60주년) 이 되는 1797년에 송석원시사

(松石園詩社) 가 중심이 되어 「소대풍요」 이후의 위항시인 333명의 시

723수를 수록, 간행

정사년 (丁巳年) 마다 그들의 시집을 간행하는 전통을 수립

송석원 시사 = 옥계 시사 (玉溪詩社)

정답

❶ 풍요속선 (風謠續選) ❷ 정조

 

399. 【 】

2015.10.17 지방직 7/ 2017.3.18 경찰특공대 / 2017.6.17 지방직 9

정약용이 지은 마진 ( 痲疹. 홍역 ) 연구서

1798 ( 22 ) 저자 : 정약용 ( 1762 ~ 1836 )

홍역에 관한 국내외 서적 가운데 잘못된 것을 비판하고,

홍역에 대한 새로운 이론과 치료법을 밝힘

영국인 제너가 발명한 ❸ 법을 처음으로 소개

정답

❶ 마과회통 (麻科會通) ❷ 정조 ❸ 종두
 

마과회통 [사진 : 한국학중앙연구원]
마과회통 [사진 : 한국학중앙연구원]

 

<strong>이경식</strong><br>현, 공경단 학원 공시 한국사 강사<br>전, EBS 중학프리미엄 한국사 강사<br>에듀윌 한국사 능력 검정시험 강사<br>학습문의) kyongshik@naver.com
이경식
현, 공경단 학원 공시 한국사 강사
전, EBS 중학프리미엄 한국사 강사
에듀윌 한국사 능력 검정시험 강사
학습문의) kyongshik@naver.com

 

 

 

 

 

 
 
 
 
 
 
 
xxx

신속하고 정확한 정보전달에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이 기사를 후원하시겠습니까? 법률저널과 기자에게 큰 힘이 됩니다.

“기사 후원은 무통장 입금으로도 가능합니다”
농협 / 355-0064-0023-33 / (주)법률저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공고&채용속보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