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경식 공경단 학원
근대 태동기 문헌 조선 후기 ( 17 c 효종 ~ 현종 시대 )
294. ❶ 【 】 |
✻ 정유재란 때 일본의 포로가 되었다가 돌아온 강항의 체험을 기록한 책 ✻ 조선 1656 ( ❷ 【 】 7 ) 간행 ✻ 저자 : 강항 ( 姜沆 1567 ~ 1618 ) ▸ 성혼의 제자. 정유재란 때 왜군의 포로가 되어 일본으로 끌려가 억류 생활하다가 1600 년 포로 생활에서 풀려나 가족과 함께 귀국 ▸ 억류 시기 일본 ❸ 【 】 학에 큰 영향을 줌. ✻ 「적중봉소 (賊中封疏)」 : 적중에서 올리는 상소. 일본의 지리, 지세, 군제, 형세 등 ✻ 「적중문견록 (賊中聞見錄)」 : 적중에서 듣고 본 것의 기록 ✻ 「섭란사적 (涉亂事迹)」 : 난리를 겪은 사적 ✻ 「고부인격 (告俘人檄)」 : 포로인들에게 고하는 격문 ✻ 「예승정원계사 (詣承政院啓辭)」 : 승정원에 올리는 계사. 고국에 도착하여 당시 군주 ❹ 【 】 에게 적의 사정을 설명하기 위해 올린 글 |
정답
❶ 간양록 (看羊錄) ❷ 효종 ❸ 성리 ❹ 선조
![간양록 [사진 : 한국학중앙연구원]](/news/photo/202305/743383_77799_1730.jpg)
295. 동국여지지 (東國輿地誌) 2013.9.7 서울시 7급 |
✻ ❶ 【 】 이 편찬한 전국지리지 ✻ 조선 1656 ( ❷ 【 】 7 ) ✻ 저자 : ❸ 【 】 ( 1622 ~ 1673 ) 호 : ❹ 【 】 ✻ 저자가 경기도, 강원도, 평안도, 함경도, 영남, 호서 등 여러 지역을 두루 답사한 경험을 바탕으로 저술 ✻ 9권 10책 • 권1 : 경도 (京都), 한성부, 개성부 • 권2 : 경기 • 권3 : 충청도 • 권4 : 경상도 • 권5 : 전라도 • 권6 : 황해도 • 권7 : 강원도 • 권8 : 함경도 • 권9 : 평안도 ✻ 책 앞부분에 < 동국여지지총서 >, < 동국여지지목록 > 등을 수록하여 책의 체제, 항목, 참고서적, 목차 등을 밝힘. 특히 < 동국여지지총서 > 는 우리나라 역대 강역의 변천을 서술한 ❺ 【 】 지리 총론에 해당 ✻ 전제 개혁을 중시한 저자는 토지 단위를 당시 사용하던 ❻ 【 】 법(結負法) 대신 ❼ 【 】 법 (頃畝法) 을 채택 ✻ 지역의 실상에 접근하는 군현별 지지 (地誌) 편찬 ✻ 우리나라 최초의 ❽ 【 관찬 / 사찬 】 전국 지리지 ✻ 역사지리 중시 ✻ 실증적, 실용적 편찬 방식으로 지역의 사실을 정확히 파악, 체계화(저자가 상세하게 수정한 곳, 앞으로 보충해야 할 곳, 가보지 못한 곳 등을 나누어 표기) |
정답
❶ 유형원 ❷ 효종 ❸ 유형원 (柳馨遠) ❹ 반계 (磻溪)
❺ 역사 ❻ 결부 ❼ 경무 ❽ 사찬
![경기 여주 영릉 (효종릉)재실 (제사를 지내는 건물)[사진 : 한국학중앙연구원]](/news/photo/202305/743383_77800_1818.jpg)
제 18 대 현종 ( 재위 1659 ~ 1674 )

296. ❶ 【 】 |
✻ 위항시인 6인의 시를 모은 시집 ✻ 조선 1660 ( ❷ 【 】 1 ) 간행 ✻ 저자 : 위항시인 6인이 자신들의 시를 모아서 간행 정남수, 남응침, 최기남, 정예남, 김효일, 최대립(서리, 태의, 역관, 금루관 등) ✻ 정남수의 시 51수, 남응침의 시 43수, 최기남의 시 53수, 정예남의 시 21수, 김효일의 시 41수, 최대립의 시 51수 ✻ 5언 절구, 6언 절구, 7언 율시 등 각종 시 형식이 다양하게 나타남 ✻ 최초의 위항시집. 이후의 위항시집인 「해동유주」, 「소대풍요」 등 본격적인 위항시 선집과는 달리 자신들의 저작을 모아서 발표한 동인지적 성격을 띰 ✻ 금루관 (禁漏官) : 조선 시대 ❸ 【 】 감에 소속된 벼슬. 금루 ( 禁漏 ❹ 【 】 시계 ) 를 이용하여 시각을 알리는 일을 함 |
정답
❶ 육가잡영 (六家雜詠) ❷ 현종 ❸ 관상 ❹ 물
297. ❶ 【 】 2014.4.19 안전행정부 9급 / 2018.5.19 지방직 9급 |
✻ 허목이 단군 ~ 삼국의 역사를 서술한 ❷ 【 】 체 사서 ✻ 1667 ( ❸ 【 】 8 ) ✻ 저자 : 허목 ( 許穆 1595 ~ 1682 ) 호 : 미수 (眉叟) ✻ 서 (序)ㆍ세가 (世家)ㆍ열전 (列傳)ㆍ지승 (地乘)ㆍ외기 (外記) 로 구성하여 ❹ 【 】 체 형식을 취함 ✻ 세가에서 단군ㆍ기자ㆍ위만ㆍ삼국의 6국을 서술하고, 열전에서 부여ㆍ삼한ㆍ대가야ㆍ예맥ㆍ말갈 등 10국 서술 → 한국사를 독립된 천하 질서로 상정, 존화적 문화 인식을 탈피 ✻ ❺ 【 】 과 고구려 높이 평가 ✻ 허목의 문집인 ❻ 【 】 에 수록되어 있음 ✻ ❼ 【 】 체 형식 (다소 변형) |
정답
❶ 동사 (東事) ❷ 기전 ❸ 현종 ❹ 기전 ❺ 단군
❻ 기언 (記言) ❼ 기전

현, 공경단 학원 공시 한국사 강사
전, EBS 중학프리미엄 한국사 강사
에듀윌 한국사 능력 검정시험 강사
학습문의) kyongshik@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