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시영의 세상의 창
상태바
오시영의 세상의 창
  • 법률저널
  • 승인 2006.09.29 10:4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오시영 숭실대 법대교수/변호사/시인

 

도비순설과 발끈주의

 

이 가을에 시 한 편을 생각한다. “눈독 들일 때, 가장 아름답다/하마,/손을 타면/단숨에 굴러 떨어지고 마는,/토란잎 위/물방울 하나”(이인원 시인의 “사랑은...” 전문). 이인원 시인은 소중한 사랑을 눈독 들일 때 가장 아름답다라고 감탄하고 있다. 순수한 사랑은 어느 누구의 손도 타지 않는, 그래서 토란잎 위 물방울이 동그랗게 충일되어 있는 상태라고 느낀 것이다. 이처럼 사랑은 가만히 들여다보고 있기만 해도 좋고, 제 모습 그대로 있게 할 때 가장 아름답다. 그렇지만 그 사랑은 부정한 손이 타게 되면 곧 바로 제 형체를 잃고 굴러 떨어지고 만다. 산산이 부서지고 만다. 부정은 이처럼 무섭고 잔인한 것이다.


가을에 만나는 시인들의 언어는 아름답다. 발표된 지 오래된 오탁번 시인의 “토요일 오후”라는 시의 한 부분은 이러하다. “....../세 살 난 여름에 나와 함께 목욕하면서 딸은/ 이게 구슬이냐? 내 불알을 만지작거리며 물장난하고/아니 구슬이 아니고 불알이다 나는 세상을 똑바로/가르쳤는데 구멍가게에 가서 진짜 구슬을 보고는/아빠 이게 불알이냐? 하고 물었을 때/세상은 모두 바쁘게 돌아가고 슬픈 일도 많았지만/나와 딸아이 앞에는 언제나 무진장의 토요일 오후/......” 구슬과 불알의 구별과 혼동이 겹치면서 아빠와 어린 딸아이는 정겹게 소통하고 있다. 구슬이 불알이 되고, 불알이 구슬이 되는 것은 딸아이의 순수가 있기 때문이다. 세 살 아이의 순수 앞에서 독자는 빙긋 웃을 수가 있는 게다. 그렇지만 아무리 진실을 이야기하여도 소통되지 않는 사람들에게서는 웃음이 나오지 않는다. 사랑의 불통은 웃음조차 부재중이다. 

 

지금의 대한민국에는 호시탐탐 발끈주의가 경계주의보를 발동 중이다. 이미 싫어하는 누군가를 상정하고, 그의 입에서 떨어지는 말 한 마디에 발끈 화를 내기 위해서 대기 중인 사람들이 많다. 옳은 소리를 해도 모든 것을 거두절미하고, 한 대목을 잘라 내어 발끈한다. 긴 대목 중 한 대목 잘라내는 것을 “동짓달 기나긴 밤 한 허리 베어내어/봄바람처럼 따뜻한 이불 속에 서리서리 넣었다가/정든 님 오신 밤이면 굽이굽이 펴리라”라는 황진이의 절창처럼 사랑하는 마음을 한 허리 잘라내면 오죽이나 좋으랴만 요즈음 한국의 정치가나 식자층의 거두절미는 진실을, 본질을 호도하는 수준에 이르렀으니 오호 통재라 하지 않을 수 없다.


그 사람이 싫고, 그 사람의 철학이 싫고, 그 사람의 사상이 싫고, 그 사람의 가까운 이들조차 싫으니, 그 사람이 하는 말과 행동 모두가 싫은 것이다. 그래서 사소한 말실수나 말꼬리를 잡고 늘어져, 그 사람이 표현하고자 했던 본질은 어디로 사라져버리고, 아니 의도적으로 왜곡 축소하거나 감추어버리고 그 말꼬리를 물고 늘어지거나 말실수를 물고 늘어지는 발끈주의 문화에 절어 있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오죽 하면 옛 속담에 “말로써 말 많으니 말 말을까 하노라”라고 했을까마는 본질을 왜곡한 채 소통을 일부러 거부하는 식자층이 늘어나고 있으니 이 또한 문제라고 하지 않을 수 없다. 

 

사랑이라는 것이 얼마나 순수한 것인지, 누군가를 존경하고 사랑한다는 것이 얼마나 아름다운 것인지 대부분의 사람들은 가족이든, 이성이든, 사물이든, 어떠한 대상을 통해 깨닫게 된다. 그런데 현재의 대한민국에는 왠지 상대방의 심장에 칼을 겨누고 있는 듯한 절망감을 느끼게 되는 것은 무슨 까닭일까? 그러한 적대감이 가진 자들의 눈빛에서 더 서슬이 퍼렇고, 점차 가지지 못한 자들의 눈빛으로 전이되는 듯한 느낌이 들어 마음이 불안해진다. 더불어 살아가기를 포기한 듯, 서로 자기 몫을 챙기기에만 혈안들이다. 완전 소통 부재 속에서 여당은 여당대로, 야당은 야당대로, 법원과 검찰, 변협은 각기 제멋대로, 예술가들의 집단도 마찬가지이고, 학술단체들의 떼거리문화도 마찬가지이고, 전교조와 전공노도 마찬가지이고, 민노총이나 한노총도 마찬가지이다. 모두들 죽 끓듯이 펄펄 끓고 있다. 여기서 불끈, 저기서 불끈거리고 있다. 그리하여 상대방이 무언가 귀에 거슬리는 한 마디 말만 내뱉으면 기다리고 있었다는 듯이 발끈 들고 일어나 상대방을 무차별적으로 공격하고 사생결단을 내어야 되겠다는 듯이 설쳐댄다. 발끈주의에 사로잡혀 있는 사람들은 자신의 말에 대해서 상대방도 발끈할 준비가 되어 있다는 사실을 망각하고 있다. 거두절미라는 말은 별로 중요하지 않는 부분을 잘라내고 핵심사항으로 접근하는 방식을 말한다. 단도직입이라는 말도 같은 의미이다. 단독으로 칼을 빼들고 적진으로 곧장 공격해 들어간다는 단도직입이라는 말은 군말이나 허두를 빼고 본질적인 문제를 직접 거론하는 것을 말한다. 그러니 거두절미를 하든지 단도직입을 하고자 할 경우에는 핵심적이고 본질적인 중요내용을 가지고 거론을 해야 하는데, 요즘의 우리를 보면 거두절미를 반대로 활용함으로써 도비순설(徒費脣舌)의 잘못을 범한 채 발끈주의의 망령에 사로잡혀 있으니 문제인 것이다. 도비순설이라 함은 본질에는 접근하지 못한 채 입술과 혀만 수고스럽게 한다는 의미이다. 장황설을 늘어놓거나 왼쪽 다리가 가려운데도 오른쪽 다리를 긁는 화법을 이른다. 모르고 하는 도비순설이야 귀엽기나 하지만, 뻔히 알면서도 도비순설의 함정에 빠져 순수를 잃고 있는 수많은 사람들을 보고 있자면, 그들의 시꺼먼 속이 다 드려다 보여서 나 역시 발끈주의의 포로가 되지 않을까 심히 두려울 뿐이다. 어떠한 경우에도 합리적 이성을 놓쳐서는 아니 될 것이다. 이게 네 불알이냐?

xxx

신속하고 정확한 정보전달에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이 기사를 후원하시겠습니까? 법률저널과 기자에게 큰 힘이 됩니다.

“기사 후원은 무통장 입금으로도 가능합니다”
농협 / 355-0064-0023-33 / (주)법률저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공고&채용속보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