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경식 공경단 학원
근세 문헌 조선 중기 ( 17 c 초 광해군 시대 )
273. 동국지리지 (東國地理誌) 2014.4.19 안전행정부 9급 / 2014.6.28 서울시 역사학연구사 2016.6.25 서울시 9급 |
✻ ❶ 【 】 이 지은 ❷ 【 】 지리서 ✻ 1615 ( ❸ 【 】 7 ) ✻ 저자 : ❹ 【 】 ( 1552 ~ 1615 ) 실학의 선구자. 실증적, 고증학적 방법으로 조선의 역사ㆍ지리를 연구 ✻ 부족국가 / 삼국 / 고려의 3부분으로 구성 ▸ 부족국가 : 중국의 사서 (史書) 인용 부족국가의 위치ㆍ강역ㆍ종족 등 언급 ▸ 삼국 : 고구려ㆍ백제ㆍ신라의 순으로 국도 (國都), 봉강 (封疆. 영역), 형세ㆍ관방 (形勢ㆍ關防. 전투지ㆍ요충지 등) 설명 ▸ 고려 : 개성, 서경, 남경, 동경 등에 대한 설명 ✻ 우리나라 ❺ 【 】 지리학의 효시. 이후 ❻ 【 】 지리 연구에 많은 영향 ✻ 고구려의 발상지가 평안도 성천이라는 종래의 통설을 깨고 ❼ 【 】 지방이라는 것을 최초로 고증 |
정답
❶ 한백겸 ❷ 역사 ❸ 광해군 ❹ 한백겸 ❺ 역사
❻ 역사 ❼ 만주
274. 부상록 (扶桑錄) 2018.8.18 국가직 지역인재 9급 |
|
정의 |
이경직이 종사관으로 일본에 다녀온 후 기록한 견문록 |
시기 |
조선 1617 ( ❶ 【 】 9 ) |
저자 |
이경직 ( 李景稷 1577 ~ 1640 ) 호 : 석문 (石門) ▸ 조선 선조 ~ 인조 代의 문신. 이항복 (李恒福) 과 김장생 (金長生) 의 제자 ▸ 1613 (광해군5) ❷ 【 】 옥사 → 파직 ▸ 1617 (광해군9) 회답사 (回答使) 오윤겸 (吳允謙) 을 따라 종사관으로 일본에 다녀옴 ▸ 1618 (광해군10) 폐모론에 반대하여 사직 → ❸ 【 】 반정 후 형조참의, 의주부윤 ▸ 1627 (인조5) 정묘호란 → ❹ 【 】 도에서 인조를 호종 (護從 보호하며 따름) ▸ 1636 (인조14) 병자호란 → ❺ 【 】 산성으로 인조를 호종 |
내용 |
▸ 도쿠가와 이에야스 (德川家康) 가 오사카 (사망한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잔여 세력이 있던 곳) 를 평정한 데 대한 회답 사행으로 회답사 오윤겸을 따라 종사관으로 일본을 다녀오면서 1617 (광해군9) 7월 4일부터 10월 18일까지 104일간의 일정을 기록한 일기와 부록 ▸ 일기 : 사행의 목적은 임진왜란 때 포로로 끌려간 사람들을 데려오는 것이었기 때문에 포로자들의 생활과 그들을 데려오는 데 얽힌 사연이 자세히 기록됨 ▸ 부록 : 일본의 지리, 물산, 풍속, 의복, 음식, 가옥, 형정 (刑政), 관제 등을 기록 |
참고 |
▸ 국립 중앙도서관 소장 ▸ 부상 (扶桑) : 중국인들이 해 돋는 동쪽 바다에 있다고 믿었던 상상의 나무. 바다 건너 동쪽의 ❻ 【 】 지역을 가리키는 말. ▸ ❼ 【 】 관 (從事官) : 사행 (사신 행차) 에 정사 (正使 사행 대표), 부사 (副使 사행 부대표) 와 동행하며 이들을 보좌하면서 매일 매일의 사건을 기록하였다가 귀국 후 군주에게 견문한 바를 보고하는 관리. 1606 (선조39) 부터 서장관(書狀官)의 칭호가 종사관으로 바뀌어 통용됨 |
정답
❶ 광해군 ❷ 계축 ❸ 인조 ❹ 강화 ❺ 남한 ❻ 일본
❼ 종사
275. 호민론 (豪民論) |
✻ ① 【 】 세기 초 ✻ 저자 : ② 【 】 ( 許筠. 1569 ~ 1618 ) ✻ 백성을 ③ 【 】 민ㆍ④ 【 】 민ㆍ⑤ 【 】 민으로 분류 ⑥ 【 】 민 ( 恒民 ) : 일정 생활을 영위하는 백성. 윗사람에게 부림을 당하면서 얽매인 채 생활 ⑦ 【 】 민 ( 怨民 ) : 윗사람을 원망하는 백성 ⑧ 【 】 민 ( 豪民 ) : 기회를 엿보다가 궐기하는 백성 ✻ ⑨ 【 】 민이 궐기하면 ⑩ 【 】 민은 저절로 동참, ⑪ 【 】 민도 살기 위해 합류 ✻ 윗사람은 ⑫ 【 】 민을 두려워 할 줄 모르니 국가가 위태롭다. 두려운 형세를 알고 정치를 바로 해야 한다. ✻ ⑬ 【 】 의 문집 「성소부부고」 에 수록 ✻ “ 천하에 두려워 할 바는 ⑭ 【 】 이다. ” |
정답
① 17 ② 허균 ③ 항 ④ 원 ⑤ 호 ⑥ 항 ⑦ 원
⑧ 호 ⑨ 호 ⑩ 원 ⑪ 항 ⑫ 호 ⑬ 허균 ⑭ 백성
276. 홍길동전 (洪吉童傳) 2014.6.21 지방직 9급 / 2017.9.23 지방직 7급 / 2020.9.19 경찰 2차 |
✻ ❶ 【 】 이 지은 소설 ✻ 조선 ❷ 【 】 代 ✻ 저자 : ❸ 【 】 ( 許筠. 1569 ~ 1618 ) ✻ 홍판서와 노비 춘섬 사이에서 태어난 홍길동은 비범한 아이였으나 자신의 ❹ 【 】 신분 때문에 출세할 수 없음을 인식한다. 홍판서의 첩 초낭은 길동 모자에 대한 홍판서의 사랑을 시기하여 자객을 시켜 길동을 죽이려 하자 길동이 자객과 초낭을 죽이고 산으로 들어가 ❺ 【 】 당의 두목이 되어 의적 활동을 한다. 나라에서 길동을 잡으려 하지만 번번이 실패하고, 결국 길동은 조선을 떠나 율도국의 왕이 되어 이상적 정치를 펼치다가 홀연히 사라진다. ✻ 우리나라 최초의 ❻ 【 】 소설 ✻ 조선의 현실 문제 ( 적서 차별, 불의ㆍ비리가 만연한 당시의 사회적 모순 등 ) 를 강하게 제기한 사회 소설 |
정답
❶ 허균 ❷ 광해군 ❸ 허균 ❹ 서얼 ❺ 활빈 ❻ 한글
277. 어우야담 (於于野譚) 2018.8.18 국가직 7급 / 2020.7.11 국가직 9급 |
✻ ❶ 【 】 이 풍자적 내용들을 모아 편찬한 ❷ 【 】 집 ✻ 조선 1622 ( ❸ 【 】 14 ) ✻ 저자 : ❹ 【 】 ( 1559 ~ 1623 ) 호 : 어우당 (於于堂) ▸ 선조 ~ ❺ 【 】 代의 문신. 대사간 등 역임 ▸ 폐모론에 가담하지 않았기 때문에 1623 ❻ 【 】 반정 당시에는 화를 면하였으나, 같은 해 7 월 ❼ 【 】 복위 혐의를 받아 처형됨 ✻ 인간 생활의 여러 방면에서의 야사, 항담 등이 수록 ✻ 풍자적이고 기지에 찬 내용들이며 간결, 명쾌한 문체로 임진왜란 전후의 생활상이 투영되어 있음 ✻ 5 권 1 책 • 권 1. 인륜편 : 효열, 충의, 은둔, 붕우, 노비 등 • 권 2. 종교편 : 승려, 무격, 귀신, 풍수 등 • 권 3. 학예편 : 문예, 교양, 음악, 서화, 의약 등 • 권 4. 사회편 : 과거, 부귀, 치부, 붕당, 욕심, 재앙, 도적 등 • 권 5. 만물편 : 천지, 초목, 인류, 금수 등 |
정답
❶ 유몽인 ❷ 설화 ❸ 광해군 ❹ 유몽인 (柳夢寅) ❺ 광해군
❻ 인조 ❼ 광해군

현, 공경단 학원 공시 한국사 강사
전, EBS 중학프리미엄 한국사 강사
에듀윌 한국사 능력 검정시험 강사
학습문의) kyongshik@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