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유진 메가공무원학원 국어 대표 강사
1. 국어 암기 꿀팁 - 국어는 상도덕(?)을 지키기 위해 제가 만든 것만 올립니다.
① 음운론
소리 내는 위치에 따라 소리 내는 방법에 따라 |
입술소리 |
잇몸소리 |
센입천장 소리 |
여린입천장 소리 |
목청소리 |
||
안울림 소리 |
파열음 |
예사소리 |
ㅂ - 바 |
ㄷ - 다 |
|
ㄱ - 가 |
|
된소리 |
ㅃ |
ㄸ |
|
ㄲ |
|
||
거센소리 |
ㅍ |
ㅌ |
|
ㅋ |
|
||
파찰음 |
예사소리 |
|
|
ㅈ - 자 |
|
|
|
된소리 |
|
|
ㅉ |
|
|
||
거센소리 |
|
|
ㅊ |
|
|
||
마찰음 |
예사소리 |
|
ㅅ - 사 |
|
|
ㅎ - 하 |
|
된소리 |
|
ㅆ |
|
|
|||
울림 소리 |
비음 |
ㅁ - 마 |
ㄴ - 누 |
|
ㅇ - 양 |
|
|
유음 |
|
ㄹ - 라 |
|
|
|
▲ 안울림소리는 ‘바다사자가 하!’, 울림소리는 ‘마누라양!’
혀의 앞뒤 입술의 모양 혀의 높이 |
전설 모음 |
후설 모음 |
||
평순 |
원순 |
평순 |
원순 |
|
고모음 |
ㅣ - 키 |
ㅟ - 위 |
ㅡ - 금 |
ㅜ - 붕 |
중모음 |
ㅔ - 제 |
ㅚ - 외 |
ㅓ - 어 |
ㅗ - 좋 |
저모음 |
ㅐ - 해 |
|
ㅏ - 아 |
|
▲ 키위 / 제외 / 해 // 금붕 / 어조 / 아
- 음절의 끝소리 규칙의 대표음 7개: 가느다란물방울, 그녀다리만봐요
- ‘ㅎ’과 만나면 자음축약이 일어나는 자음 4개: 교동반점
② 한글맞춤법 사이시옷 중 한자어+한자어 6개:
찻간곳간툇간 3간, 횟수와 숫자 셋방에 넣어~ 전셋방 안 돼! 갯수도 안 돼! 셋방, 전세방, 전셋집 (작년에 출제됨!)
④ 표준어규정 숫- 3개, 수ㅎ- 9개:
- 숫양이랑 숫염소는 메에~ 우는데 숫쥐는 찍찍!
- 수캐는 수캉아지 아빠, 수탉은 수평아리 아빠, 수퇘지가 수탕나귀 낳겠니? 이것들은 기와랑 돌쩌귀로 만든 집에는 못 들어가는 수컷 짐승들이야.

2. 한국사 암기 꿀팁
* 고려 전시과 변천: 역시개경(역분전 - 시정전시 - 개정전시 - 경전전시)
* 조선 성종 때 저서: 동동동악국(동국통감 - 동문선 - 동국여지승람 - 악학궤범 - 국조오례의)
* 순한글 게재 신문: 독제대경(독립신문 - 제국신문 - 대한매일신보 - 경향신문)
* 고려 문한 기관: 춘한보비(춘추관, 한림원, 보문각, 비서성)
* 조선 문한 기관: 예교승성(예문관, 교서관, 승문원, 성균관)
* 조선 전후기 사신 파견: 조명반짝(전기 조천사 명 파견), 연청바지(후기 연행사 청 파견)
* 사화 - 무오사화: 김종직의 조의제문이 도대체 무오?
- 갑자사화: 갑자기 윤비가 폐출
- 기묘사화: 조광조의 기묘한 모험
- 을사사화: 척신들이 정국 운영을 으쌰으쌰
* 방곡령 사건(1889): 팔구 - 빵구 - 방구령
* 삼강행실도(세종): 세종대왕은 행실이 올바르신 분이다
* 홍경래의 난(순조) / 임술농민봉기(철종) - 순한 홍경래가 철철 술을 마시며 봉기 일으킴
* 옥저의 목곽, 민면느리제: 골목대장 민옥이(목곽 민며느리제)
* 여러 나라의 성장: 부영동무 ~ 고동따러 가자(부여 영고, 동예 무천, 고구려 동맹)
* 신석기 유물: 신봉선은 부산 사람인데 암사동에 살다가 온천으로 요양가요
신석기 봉산 지탑리 부산 동삼동 암사동 온천궁산리 양양
* 청동기: 청동 용이 여의주를 물고 있다.(청동기 여주, 혼암리 울주)
* 무신 정권: 정경이최최가 만든 방은 중도중도교정서
(정중부 경대승 의방 최충헌 최우가 만든 방은 중도중도교정서)
* 무신 정권의 난: 김조교는 망해서 전주관노 되었고(동북병마사 김보당의 난 - 서경유수 조위총의 난 - 귀법사 교종 승려의 난 - 망이망소이 - 전주 관노의 난) 김사미는 효심이 깊은 사람인데 많이 취했고(김사미 효심의 난 - 신라 부흥 - 만적의 난 - 이비패좌 - 신라 부흥 - 최광수의 난 - 고구려 부흥) 이년하다가 백번 사죄했다(이언년의 난 - 백제 부승)
* 법흥왕: 병들고 불나공 등골에 금이 가도 열공 기원(병부 설치 - 불교 공인 - 공복 제정 - 상대등 - 골품제 정비 - 금관가야 정복 - 율령 반포 - 건원)
* 고려 말 왜구 침입: 홍진황관/쓰(홍산 대첩, 진포 대첩, 황산 대첩, 관음포 대첩 / 쓰시마 토벌)
* 붕당 정치 - 기갑경기갑(기해예송 - 갑인예송 - 경신환국 - 기사환국 - 갑술환국)
- 서남서남서(서인 - 남인 - 서인 - 남인 - 서인)
* 고려 불교: 겸쟁이 의천(교관겸수, 성상겸학, 내외겸전)
* 성리학 호락 논쟁: 호이호위(호론 - 인물성 이론, 한원인, 위정척사)
* 임진왜란 순서: 옥사당한진평행 / 칠칙명량
(옥포해전, 사천해전, 당포해전, 한산도 대첩, 진주대첩, 평양성 탈환, 행주대첩 - 휴전 - 칠천량해전, 직산 전투, 명량대첩, 노량대첩)
* 위 내용은 유튜브 난공TV 이유진의 우월한 컨설팅 영상으로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https://www.youtube.com/live/NbDGuxEyjME?feature=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