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경식 공경단 학원
근세 문헌 조선 중기 ( 16 c 선조 시대 )
제 14 대 선조 ( 재위 1567 ~ 1608 )
245. ❶ 【 】 2013.4.13 기상직 9급 / 2013.9.7 서울시 9급 / 2014.6.21 지방직 9급 2015.3.7 법원직 9급 / 2014.6.28 서울시 7급 / 2015.8.29 국가직 7급 2017.4.8 기상직 9급 / 2018.6.23 서울시 제2회 9급 / 2018.8.18 국가직 7급 2021.4.17 국가직 9급 |
✻ 이황이 선조에게 바친 성리학 그림책 ✻ 조선 1568 (선조1) ✻ 저자 : 이황 ( 李滉 1501 ~ 1570 ) ▸ 성리학의 대가. 영남학파의 종조 (宗祖) ▸ 풍기군수, 대제학 등 역임 ( 일평생 학문 연구. 관직 기간 짧음 ) ▸ ❷ 【 주리 / 주기 】 론. 이 (理) 의 능동성을 ❸ 【 강조 / 부정 】 ✻ 17 세의 나이로 즉위한 선조를 위해 저술 ✻ 선조가 성군이 되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성리학의 핵심을 총 10 개의 ❹ 【 】 으로 설명 ✻ 주자, 권근 등 선현의 저작과 자신의 독자적 작품을 합쳐 10 도 (圖) 완성 ✻ 제 1 ~ 5 도 : ❺ 【 천도 / 심성 】 를 바탕으로 성리학 설명 • 제 1 태극도 (太極圖) : 우주의 기원 • 제 2 서명도 (西銘圖) : 우주와 인간 • 제 3 소학도 (小學圖) : 인간의 타락과 교육의 필요성 • 제 4 대학도 (大學圖) : 수신 → 제가 → 치국 → 평천하 • 제 5 백록동규도 (白鹿洞規圖) : 학교에서의 생활 규범 ✻ 제 6 ~ 10 도 : ❻ 【 천도 / 심성 】 을 바탕으로 성리학 설명 • 제 6 심통성정도 (心統性情圖) : 마음의 구조 • 제 7 인설도 (仁說圖) : 인 (仁) 의 본질 • 제 8 심학도 (心學圖) : 마음의 수련법 • 제 9 경재잠도 (敬齋箴圖) : 일상 생활에서 ❼ 【 】 ( 마음에 흔들림이 없는 상태 ) 을 지켜나가는 노력 • 제 10 숙흥야매잠도 (夙興夜寐箴圖) : 시간별, 일과에 따른 ❽ 【 】 의 실천법 ✻ 본래 명칭 : 진성학십도차병도 (進聖學十圖箚幷圖) |
정답
❶ 성학십도 (聖學十圖) ❷ 주리 ❸ 강조 ❹ 그림
❺ 천도 (天道) ❻ 심성 (心性) ❼ 경 (敬) ❽ 경 (敬)

246. ❶ 【 】 2013.9.7 서울시 9급 / 2017.6.17 지방교행직 9급 / 2017.6.24 서울시 7급 2019.8.17 지역인재 9급 / 2022.6.18 지방직 9급 |
✻ 이이가 왕도 정치의 이상을 문답 형식으로 서술하여 선조에게 바친 책 ✻ 조선 1569 (선조2) ✻ 저자 : 이이 ( 李珥 1536 ~ 1584 ) ✻ 이이가 34 세에 홍문관 교리로 동호독서당에서 ❷ 【 】 독서 (讀書) 하면서 지은 책. ✻ 총 11 편 • 논군도 (論君道) : 임금의 도리, 통치의 방법을 논함 • 논신도 (論臣道) : 신하의 도리 • 논군신상득지난 (論君臣相得之難) : 어진 임금과 어진 재상이 만나기 어려웠던 역사적 사례 열거 • 논동방도학불행 (論東方道學不行) : 우리나라에서 도학이 행해지지 못했던 예 • 논아조고도불복 (論我朝古道不復) : 우리나라에서 고도 (古道) 가 행해지지 못했던 예 • 논당금지세 (論當今之勢) : 우리나라의 당시 형세 • 논무실위수기지요 (論務實爲修己之要) : 무실 (務實. 실용에 힘씀) 하여 모든 폐해를 혁신 • 논변간위용현지요 (論辨姦爲用賢之要) : 간신과 충신을 가리어 간신을 멀리 하고 현인을 등용 • 논안민지술 (論安民之術) : 부국과 안민의 방법 • 논교인지술 (論敎人之術) : 경제적으로 부유하고 평화롭게 된 후에 윤리, 도덕을 교육시킬 것을 강조 • 논정명위치도지본 (論正名爲治道之本) : 안민은 정명 (正名. 자신의 역할에 충실) 으로 이룰 수 있다. 정명이 나라를 다스리는 근본. ▸ 동호독서당 (東湖讀書堂) : 1517 ( ❸ 【 】 12 ) 두모포 (현재의 서울 옥수동) 에 지은 독서당. 기존 용산의 독서당은 ❹ 【 】 독서당 (讀書堂) 이라 함 ▸ ❺ 【 】 독서 (讀書) : 젊은 문신에게 휴가를 주어 학문에 전념토록 한 제도. 세종 代 시작 → 세조 代 집현전과 함께 폐지 → 성종 代 부활, 용산에 독서당 정비 → 연산군 代 폐지 → 중종 代 부활, 동호독서당 건립 → 정조 代 규장각이 설치되면서 제도 폐지 |
정답
❶ 동호문답 (東湖問答) ❷ 사가 (賜暇) ❸ 중종 ❹ 남호 (南湖)
❺ 사가 (賜暇)
247. 만언봉사 (萬言封事) 2017.6.24 서울시 7급 |
✻ ❶ 【 】 가 ❷ 【 】 에게 올린 상소문 ✻ 조선 1574 ( ❸ 【 】 7 ) ✻ 저자 : ❹ 【 】 ( 1536 ~ 1584 ) 호 : ❺ 【 】 ✻ 당시의 정치의 문제점 7항과 대안 9항을 실제 상황을 열거하며 체계적으로 논술 ✻ 기묘사화, 을사사화 때 이루어진 나쁜 습성, 규칙을 개혁해야 한다. ✻ 상하의 신뢰, 관리들의 책임 소재와 책임감, 경연의 운영, 인재 등용, 재해 대책, 백성의 복리 증진, 인심의 교화에 있어 실 (實) 이 없다. ✻ 수신의 요체 (분발, 학문, 공정, 어진 선비 가까이), 안민의 요체 (개방적 의견 수렴, 사치 풍조 개혁, 군정 개혁) 등을 논술 ✻ 별칭 : 「갑술만언봉사」, 「만언소」 ✻ 1만 2천자가 넘는 장편의 상소 ( → 만언 [萬言] 소 ) |
정답
❶ 이이 ❷ 선조 ❸ 선조 ❹ 이이 (李珥) ❺ 율곡 (栗谷)

현, 공경단 학원 공시 한국사 강사
전, EBS 중학프리미엄 한국사 강사
에듀윌 한국사 능력 검정시험 강사
학습문의) kyongshik@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