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경식 공경단 학원
근세 문헌 조선 전기 ( 16 c 명종 시대 )
239. ❶ 【 】 |
✻ 1554 ( ❷ 【 】 9 ) ✻ 저자 : 진휼청 간행 ✻ 흉년에 기근을 구제 ✻ 나무껍질 벗겨 즙 만드는 법, 솔잎죽 만드는 법, 빈사상태인 사람을 치료하는 법, 굶주려 종기난 사람을 치료하는 법 등 ✻ 목판본 ✻ 언해본 (한글) |
정답
❶ 구황촬요 (救荒撮要) ❷ 명종
240. ❶ 【 】 2018.6.23 서울시 제2회 9급 |
✻ 「주자대전」 을 요약한 성리학 이론서 ✻ 조선 1557 ( ❷ 【 】 12 ) 편찬 완성 ✻ 저자 : 기대승 ( 奇大升 1527 ~ 1572 ) 호 : 고봉 (高峰) ▸ 나주 출생. 이황의 제자 ▸ 1558 (명종13) 문과 급제 → 사관 (史官) 이 됨 ▸ 1563 (명종18) 사가독서 (賜暇讀書) ▸ 대사성, 대사간 역임 ▸ ❸ 【 】 과 12년간 서신을 교환하였으며 1559 (명종14) 부터 1566 (명종21) 까지 8년간 서신 왕래를 통해 ❹ 【 】 에 관해 논변함 ( 사칠논변 四七論辨 ) ▸ 저서 : 「주자문록 (朱子文錄)」, 「논사록 (論思錄)」, 「고봉집 (高峰集)」, 「이기왕복서」 등 ✻ ❺ 【 】 의 성리학 전집인 「주자대전 (朱子大全)」 ( 본편 100 권 ) 을 발췌하여 3권으로 요약 |
정답
❶ 주자문록 (朱子文錄) ❷ 명종 ❸ 이황 ❹ 사단칠정 ❺ 주희 (주자)
241. 조선방역지도 (朝鮮方域之圖) |
✻ 조선 전기에 제작된 우리나라 전도 ✻ 조선 1557 ~ 1558 ( ❶ 【 】 代 ) ✻ 저자 : 이이 (李頤. 율곡 이이와 다른 인물) 를 비롯한 12 명 ✻ 가로 61 cm, 세로 131.8 cm ✻ 국보 제 248 호 ✻ 전국의 군현과 병영ㆍ수영, 산맥이 묘사 ✻ 팔도를 색채로 구분 • 경기도 : 연황색 • 충청ㆍ전라도 : 황색 • 경상도 : 적색 • 강원도 : 연녹색 • 황해도 : 백색 • 평안도 : 녹색 • 함경도 : 청색 ✻ 만주, 대마도를 우리나라 영토로 명기 → 조선 초기 영토 의식 확인 ✻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 에 나타나는 이회의 ❷ 【 】 보다 두만강 등 북동부 지방이 ❸ 【 상세 / 빈약 】 함 |
정답
❶ 명종 ❷ 팔도도 ❸ 상세

|
✻ 중국 명나라 장군 척계광이 지은 병서 ✻ 1560 중국 (명) ✻ 저자 : 척계광 ( 戚繼光 1528 ~ 1588 ) • 명나라 말기의 장군 • 1555 ~ 1567 중국 남동부를 약탈하던 ❷ 【 】 를 격퇴 ✻ 척계광이 절강현 참장 (參將) 으로 있을 때 ❸ 【 】 를 소탕하기 위해 편찬 ✻ 임진왜란 중 조선 조정은 1593 ( ❹ 【 】 26 ) 1월 평양성 전투에서 명의 ❺ 【 】 의 군대가 본서의 전법으로 왜군을 격퇴했다는 소식을 듣고 책을 입수하여 연구 ✻ 본서의 삼수기법 (三手技法) 과 속오법 (束伍法) 에 따라 중앙군인 ❻ 【 】 도감과 지방군인 ❼ 【 】 군 설립 |
정답
❶ 기효신서 (紀效新書) ❷ 왜구 ❸ 왜구 ❹ 선조 ❺ 이여송
❻ 훈련 ❼ 속오
243. ❶ 【 】 2013.9.7 서울시 9급 / 2014.6.28 서울시 7급 / 2016.3.19 경찰 1차 2017.6.17 지방교행직 9급 / 2018.3.24 서울시 제1회 7급 2018.12.22 경찰 3차 |
✻ 이황이 「주자대전 (朱子大全)」 을 요약한 책 ✻ 조선 1561 ( ❷ 【 】 16 ) 초간본 간행 ✻ 저자 : 이황 ( 李滉 1501 ~ 1570 ) ▸ ❸ 【 】 학의 대가. 영남학파의 종조 (宗祖) ▸ 풍기군수, 대제학 등 역임 ( 일평생 학문 연구. 관직 기간 짧음 ) ▸ ❹ 【 주리 / 주기 】 론. 이 (理) 의 능동성을 ❺ 【 강조 / 부정 】 ▸ 이기 ❻ 【 】 설 주장 ✻ 이황이 「주자대전」 중에서 중요한 부분을 뽑아 편찬 ✻ 「주자대전」 중 ❼ 【 】 가 학자, 공경대부, 문인 등 각계의 인사들과 의견을 주고받은 서간문 ( 그의 사상이 함축되어 있음 ) 을 연구하여 정리 ✻ ❽ 【 】 의 사상을 총정리한 책 → 조선 중기 이후 ❾ 【 】 학 발달에 근간이 됨 |
정답
❶ 주자서절요 (朱子書節要) ❷ 명종 ❸ 성리 ❹ 주리 ❺ 강조
❻ 호발 (互發) ❼ 주희 (주자) ❽ 주희 (주자) ❾ 성리

244. ❶ 【 】 |
✻ 어숙권이 지은 설화ㆍ수필집 ✻ 조선 ❷ 【 】 세기 (명종 代) ✻ 저자 : 어숙권 ( 魚叔權 ? ~ ? ) ▸ 「 ❸ 【 】 촬요 」 저자 ▸ 서얼 출신. 중국어에 뛰어나 외교에 공헌 ▸ ❹ 【 】 ( 「훈몽자회」 저자 ) 의 제자 ✻ 한국의 각종 설화, 시화를 모아 해설을 붙임. 총 6 권 ✻ 우리나라 풍속 및 중국, 일본, 유구 등 외국 관계 일화도 수록 ✻ 패관 문학의 대표작 |
정답
❶ 패관잡기 (稗官雜記) ❷ 16 ❸ 고사 ❹ 최세진

현, 공경단 학원 공시 한국사 강사
전, EBS 중학프리미엄 한국사 강사
에듀윌 한국사 능력 검정시험 강사
학습문의) kyongshik@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