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경식 공경단 학원
근세 문헌 조선 전기 ( 15 c 후반 ~ 16 c 초 성종 ~ 중종 시대 )
214. ❶ 【 】 |
✻ 거문고 등의 연주법을 여러 약자로 표시한 악보 ✻ 조선 ❷ 【 】 세기 후반 (성종 代) ✻ 저자 : ❸ 【 】 ( 1439 ~ 1504 ) 호 : 용재 (慵齋). 성종 때 「악학궤범」 편찬 주도 ✻ ❹ 【 】 의 「오주연문장전산고」 에 의하면 ❺ 【 】 이 박곤, 김복근과 함께 중국의 「사림광기 (事林廣記)」, 「대성악보」 등을 참조해서 ❻ 【 】 를 편찬하였다고 함 ✻ 왼손 짚는 법, 오른손의 탄법 (彈法), 줄 이름, 괘의 순서 등 표시 |
정답
❶ 합자보 (合字譜) ❷ 15 ❸ 성현 (成俔) ❹ 이규경
❺ 성현 ❻ 합자보
제 11 대 중종 ( 재위 1506 ~ 1544 )
215. 묵포도도 (墨葡萄圖) 2017.8.26 국가직 7급 |
✻ ❶ 【 】 이 ❷ 【 】 를 그린 수묵화 ✻ 조선 ❸ 【 】 세기 ✻ 저자 : ❹ 【 】 ( 1533 ~ ? ) ▸ 조선 중기의 선비 화가 ▸ ❺ 【 】 를 잘 그려 ❻ 【 】 의 묵죽 (墨竹), ❼ 【 】 의 묵매(墨梅)와 함께 삼절 (三絶) 로 일컬어짐 ✻ 가로 22.1 cm, 세로 27 cm. 모시에 수묵 |
정답
❶ 황집중 ❷ 포도 ❸ 16 ❹ 황집중 (黃執中)
❺ 포도 ❻ 이정 ❼ 어몽룡
216. 월매도 (月梅圖) 2017.8.26 국가직 7급 |
✻ ❶ 【 】 의 ❷ 【 】 그림 ✻ 조선 ❸ 【 】 세기 ✻ 저자 : ❹ 【 】 ( 1566 ~ ? ) ▸ 조선 중기의 문인 화가 ▸ 1604 (선조37) 진천 현감을 지냄 ▸ ❺ 【 】 나무의 이정, ❻ 【 】 의 황집중과 더불어 삼절 (三絶) 로 일컬어짐 ✻ 가로 53.6 cm, 세로 119.4 cm. 비단에 수묵 ✻ 둥근 달을 배경으로 곧게 서 있는 ❼ 【 】 나무 |
정답
❶ 어몽룡 ❷ 매화 ❸ 16 ❹ 어몽룡 (魚夢龍) ❺ 대
❻ 포도 ❼ 매화

217. 초충도병 (草蟲圖屛) |
|
✻ 조선 ❶ 【 】 세기 ✻ 저자 : ❷ 【 】 ( 1504 ~ 1551 ) ▸ ❸ 【 】 세기 시, 글씨, 그림에 능했던 여류 예술가 ▸ 율곡 ❹ 【 】 의 어머니 ✻ ❺ 【 】 이 그린 초충도 ( 풀ㆍ벌레의 그림 ) |
![]()
|
✻ 원래는 8 점의 화첩이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현재는 10 폭의 병풍으로 제작되어 있음 ( 그림 8 폭 + 발문 2 폭 ) • 오이와 메뚜기 • 물봉선화와 쇠똥벌레 • 수박과 여치 • 가지와 범의땅개 • 맨드라미와 개구리 • 가선화와 풀거미 • 봉선화와 잠자리 • 원추리와 벌 |
정답
❶ 16 ❷ 신사임당 (申師任堂) ❸ 16 ❹ 이이 ❺ 신사임당
218. ❶ 【 】 2017.9.23 지방직 7급 |
✻ 조선 중기의 농서 ✻ 조선 1517 ( ❷ 【 】 12 ) ✻ 저자 : 조선 조정. 김안국 (金安國) 이 편찬 주도 ✻ 농사에 필요한 기술을 10 여 항목으로 나누어 설명. 경지 (耕地 땅을 갈기), 수곡종 (收穀種 곡식 거두기), 대소맥 (大小麥 보리ㆍ밀), 수도 (水稻 논벼), 한도 (旱稻 밭벼), 대소두 (大小豆 콩ㆍ팥), 녹두, 교맥 (蕎麥 메밀), 호마 (胡麻 깨), 마 (麻 삼) 등 ✻ ❸ 【 】 의 농서인 「농상집요 (農桑輯要)」 에서 발췌한 농법을 한문으로 싣고, 한국의 독자적 농법을 이두로 번역, 상세 설명 ✻ ❹ 【 】 세기 초의 한국 농법 (農法) 의 실제를 알려주는 유일한 농서 ✻ 「농사직설」 (1429 ❺ 【 】 11) 에 없는 새로운 농법이 다수 수록 |
정답
❶ 농서집요 (農書輯要) ❷ 중종 ❸ 원 (元) ❹ 16 ❺ 세종
219. ❶ 【 】 |
✻ 조선 중기의 한글 번역 농서 ✻ 조선 1518 ( ❷ 【 】 13 ) 찬집청에서 간행 ✻ 저자 : 조선 조정. 김안국 (金安國) 이 편찬 주도 ✻ 김안국이 경상도 감사 (관찰사) 로 있을 때 농업에 관한 책을 우리말로 쉽게 엮은 책 ✻ 김안국 ( 金安國 1478 ~ 1543 ) 호 : 모재 (慕齋) ▸ 조광조 (趙光祖), 기준 (奇遵) 과 함께 ❸ 【 】 (金宏弼) 의 제자 ▸ 1501 (연산군7) 생진과 (소과) 합격, 1503 별시 문과 급제 ▸ 대사간, 공조판서 등 역임 ▸ 1517 (중종12) 경상도 관찰사로 파견되어 「소학」 권장 및 「농서언해」, 「 ❹ 【 】 향약 언해 」 등 간행, 보급 ▸ 1519 ❺ 【 】 사화 → 파직 → 경기도 이천에서 후진 양성 ▸ 1532 재등용 → 대사헌, 대제학, 예조판서, 병조판서 등 역임 |
정답
❶ 농서언해 (農書諺解) ❷ 중종 ❸ 김굉필 ❹ 여씨 ❺ 기묘

현, 공경단 학원 공시 한국사 강사
전, EBS 중학프리미엄 한국사 강사
에듀윌 한국사 능력 검정시험 강사
학습문의) kyongshik@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