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경식 공경단 학원
중세 문헌 고려 원간섭기 ( 14c 전반 ~ 중반 )
110. 세대편년절요 (世代編年節要) |
✻ ❶ 【 】 의 「천추금경록」 을 ❷ 【 】 왕의 명으로 민지, 권보가 증보한 역사서 ✻ 원 간섭기 ( ❸ 【 】 왕 代 ) ✻ 저자 : 민지 (閔漬), 권보 (權溥) ✻ 현존하지 않음 ✻ ❹ 【 】 대왕 (虎景大王 왕건의 시조) 이래 원종까지의 역사를 세술하고 세계도 (世系圖. 왕조의 계통을 표현한 그림) 를 첨가한 편년체 사서로 추정 |
정답
❶ 정가신 ❷ 충렬 ❸ 충렬 ❹ 호경
111. 본조편년강목 2015.6.13 서울시 7급 / 2018.3.24 서울시 제1회 7급 2018.6.23 서울시 제2회 9급 |
✻ 민지가 저술한 ❶ 【 】 왕조의 역사책 ✻ 1317 (충숙왕4) ✻ 저자 : 민지 ✻ 편년체 + 강목체 ✻ 문덕대왕 ( = 원덕대왕. 태조 ❷ 【 】 의 증조부 ) ~ 고종의 역사를 기록 ✻ 우리나라 역사서 중 최초의 ❸ 【 】 체 ( 그러나 현존 X ) ✻ ❹ 【 】 학적 역사 서술방식이 반영되어 있음 ✻ 별칭 : 「편년강목」 ✻ 현존하지 않음 ✻ 1346 (충목왕2) 이제현, 이곡 등이 증수하였으나 이 역시 현존 X |
정답
❶ 고려 ❷ 왕건 ❸ 강목 ❹ 성리
112. 관동별곡 ( 關東別曲. 안축 ) |
✻ 안축이 관동의 절경을 노래한 ❶ 【 】 체가 ✻ 고려 1330 (충숙왕17) ✻ 저자 : 안축 ( 安軸 1282 ~ 1348 ) 호 : 근재 (謹齋) ❷ 【 】 간섭기의 문신. ❸ 【 】 사대부 ✻ 저자가 강릉도 존무사로 있다가 돌아오는 길에 관동 지방의 아름다운 경치와 유적, 명산물을 노래한 ❹ 【 】 체가 ▸ 제 1 장 : 위풍당당한 순찰 (巡察) 의 정경 ▸ 제 2 장 : 학성 (鶴城) ▸ 제 3 장 : 총석정 ▸ 제 4 장 : 삼일포 ▸ 제 5 장 : 영랑호 ▸ 제 6 장 : 양양 ▸ 제 7 장 : 임영 (현재의 강릉) ▸ 제 8 장 : 죽서루 ▸ 제 9 장 : 정선 ✻ 작자의 문집인 「근재집 (謹齋集)」 에 전함 ✻ ❺ 【 】 사 (存撫使) : 고려 후기, 도 (道) 에 파견한 지방관 |
정답
❶ 경기 ❷ 원 ❸ 신진 ❹ 경기 ❺ 존무
113. 죽계별곡 (竹溪別曲) |
✻ 안축이 죽계 (경북 풍기) 의 아름다움을 노래한 ❶ 【 】 체가 ✻ 고려 1340 (충혜왕 복위1) 추정 ✻ 저자 : 안축 ( 安軸 1282 ~ 1348 ) 호 : 근재 (謹齋) ❷ 【 】 간섭기의 문신. ❸ 【 】 사대부 ✻ 총 5 장 • 제 1 장 : 죽계의 위치, 경관 • 제 2 장 : 누ㆍ대ㆍ정자 위에서 유흥하는 모습 • 제 3 장 : 향교에서 공자를 따르는 무리들이 봄에 경서를 외고 여름에 현 (絃) 을 뜯는 모습 • 제 4 장 : 천리 밖에서 죽계를 그리워하는 모습 • 제 5 장 : 성대 (聖代) 를 중흥하여 태평을 길이 즐기는 모습을 노래 ✻ 고려 ❹ 【 】 사대부의 의욕 넘치는 생활 감정을 나타냄 |
✻ 주요 구문 “ 죽령 남쪽 안동 북쪽 소백산 앞에 / 흥망은 끝 없으나 풍류롭게 살아온 순흥성 / 어느 땐지 취화봉에 왕의 태를 묻었다네 / 위, 중흥을 이룩하는 경긔 엇더하니잇고 / 옛날 벼슬아치 한가롭게 사는 정자 / 위, 산 좋고 물 맑은 경긔 엇더하니잇고 ........ ” ✻ 충숙왕 代에 내시의 미움을 받아 파직되었던 안축이 ❺ 【 】 왕 복위 후 상주 목사가 되어 고향 풍기에 있는 어머니를 방문했을 때 고향의 아름다 운 경치를 노래한 작품 |
정답
❶ 경기 ❷ 원 ❸ 신진 ❹ 신진 ❺ 충혜
114. 역옹패설 (櫟翁稗說) 2016.8.27 국가직 7급 / 2017.3.18 경찰 1차 |
✻ ❶ 【 】 이 쓴 시화 (시에 대한 비평), 잡록집 ✻ 1342 ( ❷ 【 】 왕 ) ✻ 저자 : ❸ 【 】 ✻ 역사, 인물 일화, 골계, 시화, 세태담 ✻ 무신 정권의 전횡, 폐단 비판 ✻ ❹ 【 】 나라에 대한 부당한 사대주의에 저항 ✻ 중국, 우리나라의 시에 대한 논평 |
정답
❶ 이제현 ❷ 충혜 ❸ 이제현 ❹ 원
115. 죽부인전 (竹夫人傳) |
✻ ❶ 【 】 를 의인화한 ❷ 【 】 체 작품 ✻ 원 간섭기 ( 14 세기 전반 ) ✻ 저자 : ❸ 【 】 ( 1298 ~ 1351 ) 호 : 가정 (稼亭) ▸ 이제현의 제자. 경학 (經學) 의 대가 ▸ 아들 : 이색 ( 李穡 1328 ~ 1396 ) ✻ ❹ 【 】 를 절개 있는 부인으로 의인화 ✻ 남녀 관계가 문란하였던 당시의 퇴폐적인 사회에 경종을 울리기 위해 저술한 열녀전 ✻ 주인공 죽부인의 높은 절개를 칭송하여 당시 음란한 궁중과 타락한 사회를 비판 ✻ 저자의 문집인 「가정집」 과 서거정의 「동문선」 에 수록 |
정답
❶ 대나무 ❷ 가전 (假傳) ❸ 이곡 (李穀) ❹ 대나무
외국 문헌 116. 대성악보 (大成樂譜)
|
✻ 원나라 임우가 지은 ❶ 【 】 악 ( 雅樂 궁중음악 ) 의 악보 ✻ 중국 원나라 14 세기 중반 ✻ 저자 : 임우 (林宇). 원나라 ✻ 조선 ❷ 【 】 代에 ❸ 【 】 이 ❹ 【 】 악을 정비할 때 참고한 악보 ✻ 「 ❺ 【 】 실록 」 권 137 에 「원조임우대성악보 (元朝林宇大成樂譜)」 라는 제목으로 전함 ✻ 별칭 : 「석전악보 (釋奠樂譜)」, 「임우대성악보 (林宇大成樂譜)」 |
정답
❶ 아 ❷ 세종 ❸ 박연 (朴堧) ❹ 아 ❺ 세종

현, 공경단 학원 공시 한국사 강사
전, EBS 중학프리미엄 한국사 강사
에듀윌 한국사 능력 검정시험 강사
학습문의) kyongshik@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