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경식 공경단 학원
중세 문헌 고려 중기 ( 12c 중ㆍ후반 )
76. 삼국사기 (三國史記) 2012.4.7 국가직 9급 / 2012.9.22 지방직 9급 하반기 / 2013.7.27 국가직 9급 2014.3.8 법원직 9급 / 2014.6.28 서울시 7급 / 2014.7.26 국가직 7급 2014.10.11 방재안전직 9급 / 2015.3.14 사회복지직 9급 / 2015.6.13 서울시 9급 2015.6.27 지방직 9급 / 2015.10.17 지방직 7급 / 2016.3.5 법원직 9급 2016.4.9 국가직 9급 / 2016.6.18 지방직 9급 / 2016.9.3 경찰 2차 2017.3.18 경찰특공대 / 2017.6.24 서울시 9급 / 2017.9.2 경찰 2차 2018.4.7 국가직 9급 / 2019.4.6 국가직 9급 / 2019.8.17 국가직 7급 2019.8.17 지역인재 9급 / 2019.8.31 경찰 2차 / 2020.9.19 경찰 2차 2021.6.5 지방직 9급 / 2022.4.2 국가직 9급 |
✻ 김부식 등이 ① 【 】 체로 편찬한 ② 【 】 시대의 ③ 【 관 / 사 】 찬 역사서 ✻ 1145 ( ④ 【 】 23 ) ✻ 저자 : 김부식 ( 金富軾 1075 ~ 1151 ) 등 11인의 편사관 ✻ 문하시중 김부식이 ⑤ 【 】 의 명으로 편찬한 정사 (正史) ✻ 「고기」, 「구삼국사」 등과 ⑥ 【 】 의 「고승전」, 「화랑세기」, 「계림잡전」, 및 ⑦ 【 】 의 「제왕연대력」 등 국내 문헌과 「삼국지」, 「후한서」, 「구당 서」, 「신당서」, 「자치통감」 등 중국 문헌을 참고하여 구성. ✻ 총 50권 ⑧ 【 】 ( 제왕을 기록 ) 28 권 ⇒ 고구려 10권, 백제 6권, 신라ㆍ통일신라 12권. 삼국의 정치적 흥망과 변천을 서술 ⑨ 【 】 ( 인물을 기록 ) 10 권 ⇒ 김유신전 3권 + 을지문덕, 거칠부, 이사부, 흑치상지, 장보고 등 68인의 열전 7권. 위국충절의 인물이 중심. ⑩ 【 】 ( 제도ㆍ문물을 기록 ) 9 권 ⇒ 제사, 악 (樂), 색복 (色服), 지리 등 제도ㆍ문물. 지리지가 가장 비중이 크고, 신라 제도에 치중함 ⑪ 【 】 ( 연대기 ) 3 권 ⇒ 박혁거세 즉위년 (B.C 57) 부터 경순왕 9년 (A.D 935) 까지의 연표 ▸ 고조선, 부여, 발해 등의 기록이 ⑫ 【 있음 / 없음 】 → ⑬ 【 보수 / 진취 】 적, ⑭ 【 사대 / 자주 】 적, ⑮ 【 고구려 / 신라 】 중심적 ▸ ⑯ 【 불교 / 유교 / 도교 】 적 ⑰ 【 】 주의 사관 술이부 ⑱ 【 】 (述而不作) : 서술할 뿐 지어내지 않는다. 무징불 ⑲ 【 】 (無懲不信) : 근거가 없으면 믿지 않는다. 불어 ⑳ 【 】 (不語怪力亂神) : 괴이한 일과 귀신에 관한 일은 서술하지 않는다. → 단군 신화 ㉑ 【 있음 / 없음 】. 신화ㆍ설화ㆍ민담ㆍ불교ㆍ도교ㆍ풍수지리 관련 기록 거의 없음. ✻ 현존 최고 (最古) 의 역사서 |
정답
① 기전 ② 삼국 ③ 관 ④ 인종 ⑤ 인종 ⑥ 김대문
⑦ 최치원 ⑧ 본기 ⑨ 열전 ⑩ 지 ⑪ 표 ⑫ 없음
⑬ 보수 ⑭ 사대 ⑮ 신라 ⑯ 유교 ⑰ 합리 ⑱ 작
⑲ 신 ⑳ 괴력난신 ㉑ 없음

77. ❶ 【 】 2014.6.28 서울시 역사학연구사 / 2015.9.19 경찰 3차 / 2016.6.25 서울시 7급 2022.4.2 국가직 9급 |
✻ 김부식이 ❷ 【 】 에게 「삼국사기」 를 진헌하면서 올린 표 (表) ✻ 1145 ( ❸ 【 】 23 ) ✻ 저자 : 김부식 ( 金富軾. 1075 ~ 1151 ) ❹ 【 】 의 난 (1135) 진압, 「삼국사기」 편찬 ✻ ❺ 【 】 의 말을 빌어 중국의 역사에는 정통하지만 우리나라 역사에는 무지한 당시 사대부의 병폐를 논박 ✻ 왕조의 역사를 정확하고 상세히 기록함으로써 군주의 선악과 신하의 충사 (忠邪. 충직함과 간사함), 국가의 안위와 백성의 치란 (治亂. 다스려 짐과 어지러움) 을 드러내고 그로써 권계 (勸戒. 타이르고 훈계함) 를 삼 아야 한다고 주장 (교훈적 역사의식) ✻ 구성 : • 삼국사기 편찬의 어명을 받은 소감 • 삼국사기 편찬의 동기, 목적 • 삼국사기 편찬의 완성 및 그 소감 ✻ ❻ 【 】 (表) : 신하가 임금에게 올리는 글. 자신의 심중을 임금에게 표현한다는 의미에서 ‘표’ 라 함 |
정답
❶ 진삼국사기표 (進三國史記表) ❷ 인종 ❸ 인종 ❹ 묘청
❺ 인종 ❻ 표
78. ❶ 【 】 2015.6.13 서울시 7급 |
✻ 김관의가 편찬한 편년체 역사서 (현존하지 않음) ✻ 고려 12 세기 (의종代) ✻ 저자 : 김관의 ✻ 「편년통재」 와 「편년통재속편」 을 개찬한 것 ✻ 태조 ❷ 【 】 의 조상부터 12 세기 중엽까지의 고려 왕조 역사를 연대순으로 기술. 태조 ❸ 【 】 의 가계에 대한 설화가 상세히 서술 ✻ 설화 중심의 신이 (神異) 한 내용의 야사를 유교적 ❹ 【 】 주의 역사관을 가지고 정리 ✻ 신선 사상, 풍수지리 사상, 숭룡 (崇龍) 사상이 담겨 있음 ✻ 고려 왕권을 신성화하려는 의도에서 편찬 ( 왕권 ❺ 【 강화 / 약화 】 ) |
정답
❶ 편년통록 (編年通錄) ❷ 왕건 ❸ 왕건 ❹ 합리 ❺ 강화
외국 문헌 79. 근사록 (近思錄)
|
✻ ❶ 【 】 학 생활ㆍ학문 지침서 ✻ 중국 ❷ 【 북송 / 남송 】 1175 ✻ 저자 : 주희 (朱熹 주자) 와 여조겸 (呂祖謙) 이 편집 ✻ 주희 (주자) 와 여조겸 (주희의 동료) 이 자신들의 선배인 북송의 유학자 주돈이 (周敦頤), 정호 (程顥), 정이 (程頤), 장재 (張載) 의 저술 중 학문 의 중심문제들과 일상생활에 요긴한 부분을 뽑아 주제별로 분류, 편집 ✻ 622조의 항목이 14권으로 분류됨 도체 (道體), 위학 (爲學), 치지 (致知), 존양 (存養), 극기 (克己), 가도 (家 道), 출처 (出處), 치체 (治體), 치법 (治法), 정사 (政事), 교학 (敎學), 경 계 (警戒), 변이단 (辨異端), 관성현 (觀聖賢). ✻ 학문하는 사람이 그 단서를 구하고, 힘을 쓰며, 자기 몸을 처신하고, 사람을 다스리며, 이단을 구분하고, 성현을 보는 일 등으로 구성 ✻ 고려 말 신유학 ( ❸ 【 】 학 ) 이 수입될 때 국내에 들어와 1370 ( ❹ 【 】 왕 19) 진주 목사 이인민 (李仁敏) 이 4책으로 복간 ✻ 중종 代 ❺ 【 훈구 / 사림 】 에 의해 「소학」 과 함께 매우 중시되었고, 기묘사화 이후 잠시 엄금되었으나 ❻ 【 】 집권 이후부터 ❼ 【 】 학의 필수 문헌이 됨 ✻ 17세기 중반 정엽 (鄭曄) 의 「근사록석의 (近思錄釋疑)」, 18세기 이익 (李瀷) 의 「근사록질서 (近思錄疾書)」 등 많은 해설서가 나옴 |
정답
❶ 성리 ❷ 남송 ❸ 성리 ❹ 공민 ❺ 사림 ❻ 사림 ❼ 성리

현, 공경단 학원 공시 한국사 강사
전, EBS 중학프리미엄 한국사 강사
에듀윌 한국사 능력 검정시험 강사
학습문의) kyongshik@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