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정구의 꼬리를 무는 영어(138)-help 
상태바
강정구의 꼬리를 무는 영어(138)-help 
  • 강정구
  • 승인 2022.04.05 10:3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강정구
강정구 영어 연구소 대표
공단기 영어 대표 강사

★ help 

help oneself는 "자조(自助)하다, 필요한 일을 자기 스스로 하다"는 뜻이다. 흔히 쓰는 Help yourself는 "좋을 대로 하시오"로 번역하면 무난하다. Help yourself to the fruit은 "과일을 마음대로 드십시오"란 뜻이 된다. 여기서 한 걸음 더 나아가면 "착복하다"는 부정적인 의미도 있다. He helped himself to the money는 "돈을 착복했다"는 뜻이다.
 

자신의 불행한 어린 시절을 쓴 여러 권의 책으로 베스트셀러 작가가 된 데이브 펠저(Dave Pelzer, 1960~)는 2000년에 출간한 『좋을 대로 하시오(Help Yourself: Celebrating the Rewards of Resilience and Gratitude)』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If I learned anything from my unfortunate childhood it is that there is nothing that can dominate or conquer the human spirit. This is the essence of the message I wish to present to you(내가 나의 불행한 어린 시절에서 배운 게 있다면 그것은 인간의 정신을 지배하거나 정복할 수 있는 것은 없다는 사실이다. 이것이 독자에게 주고 싶은 메시지의 핵심이다)."

펠저는 캘리포니아 주, 아니 미국에서 가장 학대받은 아이였던 걸로 유명하다. 친어머니였음에도 알코올 중독자였던 어머니는 그를 굶기고 가두고 때리고 칼로 찌르는 등 상상을 초월하는 방법으로 학대했다. 오랜 세월 학대당한 그는 결국 학교와 경찰에 의해 구출되었지만, 임시로 맡아 키워주는 집을 다섯 곳을 거치면서 10대 시절을 내내 불행하게 보냈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그가 정상적인 사람이 되기 어려울 것이며 범죄자가 될 것이라고 보았지만, 그는 올바르게 커 모범적인 시민이 되었다.

God will help those who help themselves라는 말이 있다. God helps them that help themselves거나 God helps those who help themselves라고도 쓴다. "신은 스스로 돕는 자를 돕는다"는 말이다. 『이솝우화』에 나오는 말이지만, 영국 역사가 제임스 하월(James Howell, 1594~1666)이 1659년 처음으로 영어에 편입시켰다. 프랑스에서는 시인이자 fabulist(우화 작가)인 장 드 라퐁텐(Jean de La Fontaine, 1621~1695)이 처음 썼고, 1824년 프랑스에서 중산층의 반정부 운동을 선동한 정치 결사체의 슬로건으로 이용되기도 했다.

Self-help is the best help(자조가 최상의 도움이다). self-help는 "자립(自立), 자조(自助)"를 뜻한다. 1833년 영국 역사가 토머스 칼라일이 『의상철학(衣裳哲學, Sartor Resartus)』에서 처음 쓴 단어다. 1859년에 출간된 스코틀랜드 작가 새뮤얼 스마일(Samuel Smile)의 『Self Help』는 "Heaven helps those who help themselves"라는 말로 시작한다. 이 책이 베스트셀러가 되면서 훗날 미국을 비롯하여 전 세계를 휩쓸 'self-help 열풍'의 원조 격이 되는데, 2006년 미국의 경영 컨설턴트 마커스 버킹엄(Marcus Buckingham, 1966~)은 그런 '열풍'을 다음과 같이 비판했다.

"The whole self-help schtick has it that you can be anything you want to be if you just work at it. My argument has always been that, well, you can't! As you grow you don't become someone else. You become more who you are, which is why you have to focus on the strongest patterns in your life(모든 자조 타령은 당신이 애쓰기만 하면 원하는 그 어떤 것이든 성취할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 제 주장은 시종일관 그건 불가능하다는 것이지요. 사람이 성장한다고 해서 다른 사람이 되는 건 아닙니다. 더욱 자신의 본 모습을 갖게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자신의 인생에서 가장 자신 있는 행동 방식에 집중해 그걸 발전시켜 나가야 합니다)."

helpmate는 "아내, 동료, 협조자", a model helpmate는 "양처(良妻)"를 뜻한다. 구약성경 창세기 2장 18절에 나오는 "help meet"를 "help mate"로 잘못 인용한 데서 나온 말이다. "The LORD God said, It is not good that the man should be alone; I will make him a help meet for him(여호와 하나님이 가라사대 사람의 독처하는 것이 좋지 못하니 내가 그를 위하여 어울리는 조력자를 지으리라 하시니라)."

여기서 meet는 형용사로 suitable(적당한, 적합한, 어울리는)이라는 뜻이지만, 성경을 큰 소리로 읽으면서 help meet→helpmeet→helpmate로 변했다는 것이다. 읽는 방식으론 아무래도 mate가 meet보다 더 말이 통하는 것 같은 느낌이 들었기 때문일 것이다. 그래서 최근 성경들은 '조력자' 대신 '배필'로 기록하고 있으며, 영어사전에서도 helpmate와 helpmeet를 같은 단어로 다루고 있다.

"When a person is down in the world, an ounce of help is better than a pound of preaching(사람이 의기소침해 있을 때 작은 도움이 큰 설교보다 더 낫다)." 영국 작가 에드워드 불워-리튼의 말이다. 1온스는 16분의 1파운드다. 1파운드는 453그램이다.

"Every great man is always being helped by everybody; for his gift is to get good out of all things and all persons(모든 위대한 사람은 늘 모든 사람에 의해 도움을 받는다. 그의 재능은 모든 것들과 모든 사람들로부터 가치를 끌어내는 것이기 때문이다)." 영국 예술평론가 존 러스킨(John Ruskin, 1819~1900)의 말이다.

"Nothing makes one feel so strong as a call for help(도움을 요청받는 것만큼 사람을 강하다고 느끼게 만드는 건 없다)." 스코틀랜드 작가 조지 맥도널드(George MacDonald, 1824~1905)의 말이다.

xxx

신속하고 정확한 정보전달에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이 기사를 후원하시겠습니까? 법률저널과 기자에게 큰 힘이 됩니다.

“기사 후원은 무통장 입금으로도 가능합니다”
농협 / 355-0064-0023-33 / (주)법률저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공고&채용속보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