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시식당도 급식사고 안전지대 아니다
상태바
고시식당도 급식사고 안전지대 아니다
  • 법률저널
  • 승인 2006.06.30 11:5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울의 중고교 4곳에서 설사환자 324명이 발생한 것으로 27일 추가 확인됐다는 보도다. 지난 22일 서울, 인천, 경기지역 중고교에서 1천500명의 환자가 발생한 것으로 밝혀진 이후 또 다시 불거져 나온 급식사고다. 보건당국이 수도권 지역 급식 대란을 야기한 원인물질로 의심하던 지하수에서 이번 사고의 원인균으로 지목된 노로 바이러스를 검출하지 못하는 등 원인물질 규명에 상당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운데 언제 어디서 또 학교급식 사고가 터져 나올지 몰라 학교와 학부모들이 연일 전전긍긍하고 있는 모습이다. 해마다 여름철만 되면 되풀이되는 이 후진국성 사고에서 언제나 벗어날 수 있을까.

해당 급식업체의 전면 철수, 도시락 수업, 그리고 단축 수업과 시험 연기 등 학사 혼란까지 빚고 있는 이번 사고를 맞아 정부는 감사원 감사까지 벌이겠다고 밝히고 있다. 이번 사고를 계기로 먹거리 담당부처를 통합, 식품안전처를 신설하는 방안도 준비중이라고 한다. 그러나 이런 조치들은 역시 임시방편에 그칠 뿐 근본적인 해결책은 될 수 없어 보인다. 학교급식이란 게 우리 사회와 동떨어진 체계에서 이뤄지는 게 아니기 때문이다. 이런 대형 사고 외에도 알려지지 않은 채 넘어가는 식품관련 사고는 하나 둘이 아니다. 결혼식장이나 장례식장 등에서 발생하는 식중독사고 뿐만 아니라 시중 식당 등에서 상한 음식을 먹고 탈이 나는 사람이 거의 매일 있다고 보아서 크게 틀린 말은 아닐 것이다. 다만 피해자들이 관습적으로 '관대하게' 넘기기 때문에, 그리고 해당 관청이 크게 문제 삼지 않기 때문에 그냥 넘어갈 뿐이다. 요는 우리 사회의 식품안전에 대한 의식 부재가 문제인 셈이다.

이번 학교의 급식 대란이 남의 일로만 보이지 않는다. 수만명이 상주하는 고시촌의 고시생 먹거리를 책임지고 있는 고시식당도 급식사고의 안전지대가 아니기 때문이다. 고시식당은 '한 끼 2000원' 안에서 이익을 내기 위해 값싼 식자재를 사용할 가능성이 있어 식중독 사고의 개연성이 높다. 또한 많은 물량을 동시에 처리하다 보니 위생 점검도 소홀해질 여지가 크다. 대기업마저 대형 사고를 일으키는 판에 고시식당에 납품하는 영세·중소업체의 위생관리에 의문이 드는 건 당연하다. 식자재 구입-수송-조리-배식 과정에서 돈 때문에 안전·위생 규정을 어긴 점이 없는지 철저히 따져야 할 이유다. 특히 고시식당의 식기류의 위생 문제는 수험생들의 입방아에 자주 오르내릴 정도다. 단체급식의 경우는 철저한 위생관리가 필수며 그 중에는 음식물을 담는 식기류의 위생도 빠질 수 없는 중요 요소이지만 세척이 제대로 되지 않거나 음식물에 의한 착색으로 밥을 넘기기 힘들었다는 수험생들의 불평이 적지 않다.

고시식당도 이번 학교급식 사태를 계기로 위생 관리 강화에 나서는 등 확실한 안전판을 구축해야 한다. 특히 하절기에는 냉장·냉동 상품의 적정 온도 관리를 비롯해, 조리도구에 대한 위생관리, 원부재료에 대한 신선도 등이 특별 점검대상이다. 날씨가 더워짐에 따라 식재료가 빨리 상할 수 있어 오전·오후 식사 시간전 식자재 검식, 식기류 소독의 원칙도 준수해야 한다. 식당·급식업체 관련자들은 안이한 대응과 시스템이 큰 화를 키운다는 사실을 명심하고 예방과 점검이 겉핥기에 그치지 않도록 각별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싱싱한 식재료를 사고 정성 들여 조리한 음식으로 아침 일찍부터 밤늦게까지 공부하는 수험생들에게 '식사시간이 유일한 즐거움'이 되도록 관련 종사자들의 획기적인 의식전환이 필요하다.  

 

xxx

신속하고 정확한 정보전달에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이 기사를 후원하시겠습니까? 법률저널과 기자에게 큰 힘이 됩니다.

“기사 후원은 무통장 입금으로도 가능합니다”
농협 / 355-0064-0023-33 / (주)법률저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공고&채용속보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