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유진의 '별이 빛나는 밤에'(14)-국어 단원별 질의응답(2)_음운론
상태바
이유진의 '별이 빛나는 밤에'(14)-국어 단원별 질의응답(2)_음운론
  • 이유진
  • 승인 2019.01.28 18:5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유진 남부고시학원 국어

질문. 음절의 끝소리 규칙과 자음군 단순화는 어떻게 다른가요?

이유진의 답변> ‘음절의 끝소리 규칙’은 받침(종성) 자리에서 모든 자음이 ‘ㄱ, ㄴ, ㄷ, ㄹ, ㅁ, ㅂ, ㅇ’ 중 하나로 소리 나는 현상입니다. 다시 말해, 자음 19개 중에서 ‘ㄱ, ㄴ, ㄷ, ㄹ, ㅁ, ㅂ, ㅇ’의 7개의 자음을 제외한 것들과 겹받침 소리의 자음 11개는 음절의 끝소리 자리에서 이 7개 자음(대표음) 중 하나로 바뀌어 발음된다는 것이죠. 개념상 ‘자음군 단순화’까지 포괄할 수 있으나 현재 학교 문법에서 ‘자음군 단순화’는 겹받침 소리(자음군) 중 하나는 포기한다는 점에서 ‘탈락’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 교체로 보는 음절의 끝소리 규칙

㉠ ‘ㅂ, ㅍ’ ⇨ [ㅂ] 󰃚 잎[입]

㉡ ‘ㄷ, ㅌ, ㅅ, ㅆ, ㅈ, ㅊ, ㅎ’ ⇨ [ㄷ] 󰃚 낮[낟], 낫[낟], 낯[낟], 히읗[히읃]

㉢ ‘ㄱ, ㄲ, ㅋ’ ⇨ [ㄱ] 󰃚 밖[박], 부엌[부억]

* 탈락으로 보는 자음군 단순화

㉠ ‘ㄳ, ㄵ, ㄶ, ㄽ, ㄾ ㅀ, ㅄ’은 첫째 자음만 발음된다.

󰃚 넋[넉], 앉다[안따], 곬[골], 핥다[할따], 값[갑]

㉡ ‘ㄻ, ㄿ’은 둘째 자음만 발음된다.

󰃚 앎[암ː], 읊다[읍따]

㉢ ‘ㄺ, ㄼ’은 불규칙적이다.

󰃚 닭[닥], 맑다[막따] / 맑고[말꼬], 맑게[막께]

- 겹받침 ‘ㄺ’은 어말 또는 자음 앞에서 [ㄱ]으로 발음하나, ‘ㄺ’이 용언의 어간 말음일 경우 ‘ㄱ’ 앞에서 [ㄹ]로 발음한다.

󰃚 밟다[밥ː따] / 넓다[널따], 넓둥글다[넙뚱글다], 넓적하다[넙쩌카다]

- ‘밟-’은 자음 앞에서 [밥ː]으로 발음한다.

‘넓-’은 [널]로 발음하여야 하나, 파생어나 합성어의 경우에 [넙]으로 발음한다.

 

관련 질문> 쌍자음 ‘ㄲ’이 받침에서 ‘ㄱ’으로 발음되는 것은 왜 탈락이 아닌가요?

이유진의 답변> 쌍자음은 본래 음운을 셀 때도 하나의 자음으로 봅니다. 따라서 두 자음 중 하나가 없어진 것으로 보지 않고, 하나의 음운이 하나의 음운과 교체된 것으로 봅니다.

관련 질문> ‘밖에’나 ‘닭이’를 발음할 때 연음이 되는 것도 음절의 끝소리 규칙입니까?

이유진의 답변> 먼저, ‘연음 현상’은 음운 변동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바뀌거나(교체), 줄어들거나(축약), 없어지거나(탈락), 덧붙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지요. 뒤에 오는 모음이 형식형태소(조사, 접사, 어미)인 경우에는 받침이 그대로 연음되기 때문에 음절의 끝소리 규칙, 즉 7개의 대표음 중 하나를 선택하는 과정을 거치지 않습니다. 따라서 ‘밖에’는 [바께]로 발음합니다. 같은 조건에서 겹자음 받침의 경우 두 자음 중 뒤에 있는 자음이 연음되어 ‘닭이’는 [달기]로 발음이 납니다. 두 양상 모두 음절의 끝소리 규칙이 아니라 그저 연음만 겪은 것입니다. 
 

 
xxx

신속하고 정확한 정보전달에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이 기사를 후원하시겠습니까? 법률저널과 기자에게 큰 힘이 됩니다.

“기사 후원은 무통장 입금으로도 가능합니다”
농협 / 355-0064-0023-33 / (주)법률저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공고&채용속보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