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유진의 '국문학과 국사의 입맞춤'(6)-유배의 한을 담은 항가계 고려가요 정과정 - 의종의 실정과 무신정변 발생
상태바
이유진의 '국문학과 국사의 입맞춤'(6)-유배의 한을 담은 항가계 고려가요 정과정 - 의종의 실정과 무신정변 발생
  • 이유진
  • 승인 2017.03.21 12:3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유진 남부고시학원 국어

국사전공지식 : 이재혁

의종이 즉위한 해, 인종과 동서 간이어서 오랫동안 총애를 받던 정서(鄭敍)가 모함을 받아 고향인 동래로 유배되었습니다. 의종은 정서에게 다시 소환하겠다고 약속했으나 오래도록 소식이 없었습니다. 기다림 끝에 정서는 왕을 그리는 노래를 부르게 됩니다. 억울함과 기다림을 담은 이 노래에 자신의 호인 과정(瓜亭)을 붙여 정과정곡이라 하였습니다.
 

▲ 이유진 강사와 공무원국어에 대해 더 깊이 공감하고 싶다면 이유진 강사 카페:http://cafe.daum.net/naraeyoujin에서 더 많은 이야기를 나누세요^^

 

 

 

시 대▶고려 의종 때
성 격▶충신연주지사, 유배시
짜 임▶1~4행:자신의 처지와 결백 토로
         5~8행:결백의 해명
         9~10행:간절한 애원
주 제▶임금을 그리는 정

의종은 이후로도 정서를 부르지 않았습니다. 그것은 아마 처음부터 그럴 생각이 없었기 때문일 것입니다. 의종은 충신보다는 간언을 하는 신하들을 아꼈고 그들과 함께 즐기기를 좋아했습니다. 이런 한심한 정국을 지켜보던 무신들이 결국 난을 일으키면서 의종은 정서를 부르지 못한 채 폐위되었습니다. 이것이 의종 24년의 무신정변이었습니다. 그렇다면 무신정변은 단순히 한심한 왕을 폐위하기 위해 일어난 것일까요?

의종이 왕이 된 시기는 고려 역사에서 겉으로 보기에는 평화로운 시기라 할 만한 때였습니다. 성종 이래로 잦았던 외부의 침입은 금-남송 체제로 중원이 정리되면서 잠잠해졌습니다. 안으로도 묘청의 난이 성공적으로 진압되면서 내란도 일단은 수면 아래로 가라앉았죠. 경제적으로는 금나라와 남송의 사신과 무역상들이 빈번히 벽란도를 드나들기 시작했습니다. 향료, 비단, 장신구 등의 사치품들이 끊임없이 흘러들어왔죠. 의종은 이를 애용하는데 앞장섰을 뿐만 아니라 궁궐을 새로 짓고 지방을 유람하며 잔치를 벌이는 일로 세월을 보냈습니다. 이러한 의종의 실정으로 세금은 나날이 높아지고, 백성들은 무리한 요역에 동원되는 일이 잦아져 불만이 쌓여갔습니다.

하지만 실상 고려의 귀족 사회는 내부 모순으로 무너지기 일보 직전이었습니다. 문벌귀족들은 정치적 권력을 독점하고 대토지를 확대하여 특권적 지위를 향유하였는데, 이를 놓고 귀족들 사이에 치열한 이권 다툼이 벌어졌습니다. 특히 기성 문벌귀족에 대한 지방 출신 신진 관료의 도전이 치열하였습니다. 이런 지배 세력 내부의 권력 다툼으로 귀족 사회는 심각하게 동요되었고, 이자겸의 난과 묘청의 난은 이러한 모습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사건이었습니다.

이렇게 귀족들이 안으로 무너지고 있을 때, 다른 쪽에서는 무신들이 성장하고 있었습니다. 이들은 오래전부터 문신들에게 차별을 받고 있었죠. 법제적으로 문반과 무반은 동일한 관계체계 안에 있었지만, 실제로는 숭문 천무의 정책에 따라 문반에 비해서 무반에 대한 차별이 심하였습니다. 귀족들은 문반직을 가지고 정치권력을 차지하였고 심지어 군대를 지휘, 통솔하는 병마권까지도 장악하여, 무반은 다만 문신귀족정권을 보호하는 호위병으로 여겨지게 되었습니다. 이런 차별 대우에도 불구하고 무신들은 거란, 여진과의 전쟁으로 점차 현실적인 세력을 축척해 나갔습니다. 덕분에 1076년(문종 30) 개정된 전시과에서 무반의 대우가 좋아지고, 1109년(예종 4)에는 무학재가 설치되었습니다. 이렇게 점진적으로 무반의 현실적 지위가 상승한 것이 무신정변을 일으켜 무신정권을 세울 수 있는 기반이 된 것입니다.1)

문반귀족들은 무반과 군인들을 업신여기고 있었습니다. 이를 단적으로 보여준 것이 김부식의 아들 김돈중이 무신 정중부의 수염을 불로 그슬린 사건이었습니다. 이를 계기로 무신들은 의종과 문신관료 귀족들의 세상을 뒤엎어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무신 정중부, 이의방, 이고 등은 의종이 보현원으로 놀러갈 때 호위를 명목으로 따라가 문신들을 살해하고 의종을 폐한 후 왕제인 명종을 옹립하였습니다. 이리하여 무신들은 스스로 정부의 요직을 차지하고 정권을 잡아 무신정권을 수립하였던 것입니다.2)

문신들이 무신에게 행해온 오래된 차별과 의종의 실정, 그리고 문신 귀족정치의 누적된 모순이 필연적으로 무신정변을 불러온 것입니다. 정서는 의종이 폐위되고 명종이 즉위하면서 유배에서 풀려났으니 의종과 의리는 끝까지 지켜지지 않은 셈이죠.

[2014 경찰직 1차]
※ 고려 시대의 무신정권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무신들은 중방을 중심으로 권력을 행사하면서 주요 관직을 독차지하였다.
② 최충헌은 최고 집정부 구실을 하는 교정도감을 설치하였고, 도방을 확대하여 군사적 기반을 확립하였다.
③ 최우는 문무백관의 인사 행정을 담담하는 서방과 능력 있는 문신을 등용하기 위한 정방을 설치하였다.
④ 삼별초는 좌별초와 우별초 및 몽골에 포로로 잡혀갔다가 돌아온 병사들로 조직된 신의군으로 구성되었다.
정답 ③ 최우가 문무백관의 인사행정을 장악하기 위해 설치한 기구는 ‘정방’이며 문신 중용을 위해 설치한 기구는 ‘서방’이다.

------------------------------------------------------
1) 한국사통사, 변태섭 ,삼영사
2) 고등학교 국사, 국사편찬위원회, 교육인적자원부

 

xxx

신속하고 정확한 정보전달에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이 기사를 후원하시겠습니까? 법률저널과 기자에게 큰 힘이 됩니다.

“기사 후원은 무통장 입금으로도 가능합니다”
농협 / 355-0064-0023-33 / (주)법률저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공고&채용속보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