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민준 노무사의 인사노무관리론19
상태바
김민준 노무사의 인사노무관리론19
  • 김민준 노무사
  • 승인 2016.08.11 16:0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김민준 노무사(23회 합격)
現)합격의법학원 인사노무관리론 전임
前)한림법학원 인사노무관리론 전임

안녕하세요?

김민준 노무사입니다. 금주 주제는 MBO평가입니다.

Ⅰ. MBO(management by objectives)의 개념 및 근거이론

1. MBO(management by objectives)의 개념

목표관리(MBO)에 의한 평가는 6개월 또는 1년의 기간 내 달성할 특정 목표를 평가자와 피평가자의 협의에 의해 설정하고 그 기간이 종료된 후에 목표를 양적, 질적으로 달성하였는지 평가하는 결과지향적 평가방법이다.

회사 전체 목표가 설정되면 그에 따라 사업본부 및 부서의 목표가 할당되고 개인은 부서에 할당된 성과 목표 가운데 달성할 수 있는 일정한 목표를 협의에 의해 설정하게 된다.

2. MBO 근거이론 : Locke의 목표설정이론(goal setting theory)

<Locke>는 동기이론 중 내용이론(욕구기반)을 비판하며 목표설정이론을 주장하였는데 목표설정이란 종업원이 직무를 수행함에 있어 달성해야 할 목표를 분명히 해주는 것을 말한다. 개인의 행동은 개인이 그의 의식적인 목적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형성되며, 개인의 가치관과 의도는 그의 행동동기에 직접적인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이론이다.

Ⅱ. MBO 목표설정의 원칙 : CbA, SMART

∙S : Specific(목표의 구체성)

∙M : Measurable(측정 가능성)

∙A : Achievable(달성 가능하면서 도전적 : CbA원칙 적용)

∙R : Result-oriented(결과 지향적)

∙T : Time-bound(시간 제약적)

Ⅲ. MBO 평가 제도의 구성 : CSF, KPI관계 설정

1. CSF(critical success factor)

기업 또는 단위 사업영역의 존재 목적을 달성하고 목표시장에서 만족할 만한 성과를 거둘 수 있도록 하는 요소 및 요구조건을 말한다. CSF는 주로 개념이나 추상명사 형태로 존재하는 경우가 많으며, MBO평가 관련하여 주로 비계량적 목표를 세울 때 도움이 되는 전략개념이다.

2. KPI(key performance indicator)

CSF를 구체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기준으로 KPI는 금액, 시간, 빈도, 정도 등 객관적 측정수치로 제시되는 경우가 많다. 측정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어 기업이나 부서 전략적 의사결정에 핵심적 역할을 하는 단위가 되며, 조직과 개인을 위한 책임경영과 목표관리를 가능케 하는 역할을 한다.

Ⅳ. MBO 도입절차

1. 직무기술서 검토

피 평가자의 직무기술서를 상급자와 하급자가 함께 검토하여 직무의 범위와 핵심 활동을 파악한다.

2. 성과 표준의 개발

상 하급자가 성과 표준을 공동으로 개발한다. 예로 매월 5대 승용차 판매하는 것이 자동차 회사 영업의 표준적 성과인지 여부를 검증하여 표준을 정하는 것이다.

3. 목표의 합의

평가자와 피 평가자가 협의를 거쳐 목표를 합의하는 과정이다. 가령 전년도 대비 개선된 수준을 목표로 정하든지, 전략적 목표를 설정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급자는 하급자를 잘 설득하고 위험이 높은 과업 목표는 그만큼 평가점수나 수익도 높다는(high risk-high return)원칙을 적용하여 적절한 자극과 동기부여를 한다.

4. 목표달성의 중간점검 및 지속적 논의

일단 목표가 설정되었다 하여도 평가시점 이전 수시로 중간목표 달성 여부 및 근무여건 변화를 점검하여 상하간 지속적으로 논의할 수 있다.

5. 최종 평가

실제로 달성한 성과를 목표와 비교하여 그 차이와 원인을 공동으로 분석 평가하여 앞으로의 목표와 계획에 대해 토의하고 이것을 차기 목표 설정과 연계시킴으로서 목표에 의한 관리과정이 계속 진행되어 나간다. 여기서 주 목적은 목표 적절성, 목표설정 방식의 개선점, 개인 능력 개선점을 중점적으로 한다.

Ⅴ. MBO 도입 시 장단점

1. 장점

∙전사적 목표 또는 조직 목표와 개인 목표 연계 가능

∙관리자와 부하직원의 노력을 목표달성에 집중 가능

∙과정관리(process management)를 통한 성과향상 기여 가능

∙목표설정(goal setting)에 참여시킴으로서 종업원 동기부여

∙개인과 팀이 평가기간 동안 해야 할 일을 명확화

∙권한위임(empowerment)이 빈번히 발생

2. 단점

∙평가와 관련하여 행정적 업무(paperwork) 증가

∙경영환경 급변 시 목표설정이 어려움.

∙전략적 목표보다 당장 시급한 업무적 목표가 우선시 되는 경향

∙평가 기준선(bottom line) 없이 막연히 ( )% 향상이라는 성과 기준 설정 → 경쟁력 향상과 괴리가

발생할 가능성 有

∙비 정형적 업무가 많아 업무계획을 세우기 어려운 조직에서는 적용하기 어려움.

∙양적 질적 목표를 구분하지 않을 시 질적 목표는 우선순위에서 밀리는 경향 有

∙평가자 교육에 많은 시간과 비용 투입

다음 주에 찾아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xxx

신속하고 정확한 정보전달에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이 기사를 후원하시겠습니까? 법률저널과 기자에게 큰 힘이 됩니다.

“기사 후원은 무통장 입금으로도 가능합니다”
농협 / 355-0064-0023-33 / (주)법률저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공고&채용속보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