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변호사회 “서울대·연세대 로스쿨, 지원자 연령 밝혀야”
상태바
서울변호사회 “서울대·연세대 로스쿨, 지원자 연령 밝혀야”
  • 이성진 기자
  • 승인 2016.02.12 11:41
  • 댓글 12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인권위 자료 공개 요청에 대한 거부는 위법 주장 

[법률저널=이성진 기자] 2011년부터 2015년까지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로스쿨의 신입생 중 30세 이하 비율이 최저 93.7% 최고 100%로 나타났고 이는 같은 기간 전국 로스쿨 신입생 중 30세 이하의 비율이 최저 79.6% 최고 83.8%인 것과 비교하면 현저하게 높은 비율이다.

이에 서울지방변호사회(회장 김한규)는 지난해 11월, 이들 세 로스쿨이 ‘나이’를 입학전형의 중요한 기준으로 삼고 있는 것으로 보고 학생 선발 시 응시자 제출 서류에서 지원자 나이를 알 수 있게 하는 항목을 삭제해 달라고 인권위에 진정했다.

하지만 지난 10일 국가인권위원회에 따르면 이 중 서울대, 연세대 로스쿨은 “관련 자료는 개인정보에 해당하고, 인권위가 자료를 요구할 권리가 없다”며 인권위의 수차례에 걸친 요구에도 자료 제출을 거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같은 사실이 드러나자 서울지방변호사회는 12일 이들 로스쿨에 국가인권위의 자료 제출 요구에 응할 것을 촉구하고 나섰다.

서울회는 “법조인이 되고자 로스쿨에 진학한 학생들에게 본보기가 돼야 할 로스쿨 스스로가 오히려 위법 행위를 저지르고 있는 작금의 사태에 과연 서울대, 연세대 로스쿨이 법조인 양성기관으로서의 자격이 있는지 깊은 의구심이 든다”며 “로스쿨은 기본적 인권을 옹호하고, 사회정의를 바로 세우는 법조인을 양성하는 기관이기에 어느 기관보다도 엄격하게 법을 준수하고, 수호해야 할 의무를 갖는다”고 꼬집었다.

현 국가인권위원회법에 따르면 인권위는 업무 수행에 필요한 경우 관계 기관 등에 필요한 자료 제출을 요구할 수 있고, 해당 기관은 지체 없이 협조할 의무가 있으며 불응한 경우 1,000만 원 이하의 과태료 처분을 받게 된다. 또한 개인정보보호법에 따르더라도 인권위법처럼 다른 법에서 자료 제출을 요구하는 규정이 있다면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럼에도 서울대, 연세대 로스쿨은 본분을 망각하고 실정법을 정면으로 무시하고 있는 것.

특히 로스쿨은 단순한 직업훈련 기관이 아니라 판사, 검사라는 공무원 임용 대상이 되는 자들을 양성하는 공직자 훈련 기관으로서의 특질도 갖는다는 점에도 서울회는 주목했다.

로스쿨 입학은 보다 투명하고 공정하게 이뤄져야 함에도 법조인으로서의 능력과 자질과는 상관없는 ‘나이’가 로스쿨 입학의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수 있는 만큼 이에 대한 명확한 해명과 사실 확인이 필요하다는 이유에서다.

서울회는 “만약 서울대, 연세대 로스쿨이 학생 선발과정에서 나이로 차별을 했다면 단지 법조인이 될 수 있는 기회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나이가 많은 지원자를 차별하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다”면서 “다양한 사회경력과 배경을 통해 복잡다기한 법적 분쟁을 전문적·효율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법조인을 양성하겠다는 로스쿨 설립 취지를 정면으로 위반하는 것”이라고 우려했다.

5년간 전체 로스쿨 입학생 연령비율(단위 : 명) 

구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합계

전체

2092

2092

2099

2072

2084

10439

30세 이하

1752

1751

1724

1650

1721

8598

비율(%)

83.8

83.7

82.1

79.6

82.6

82.4

 * 자료: 국회의원 김진태, 출처: 교육부

5년간 주요 법학전문대학원 입학생 연령비(단위 : 명) 

구분

연도

서울대

고려대

연세대

30세 이하

입학인원

30세 이하

입학인원

30세 이하

입학인원

2011

152(98.1%)

155

122(99.2%)

123

120(94.5%)

127

2012

151(98.7%)

153

123(100%)

123

117(95.9%)

122

2013

154(100%)

154

124(99.2%)

125

122(97.6%)

125

2014

145(94.8%)

153

126(99.2%)

127

124(99.2%)

125

2015

149(97.4%)

153

126(100%)

126

119(93.7%)

127

합계

751(97.8%)

768

621(99.5%)

624

602(96.2%)

626

 * 자료: 국회의원 김진태, 출처: 교육부

로스쿨 입학 단계에서부터 이같은 차별이 자행된다면 로스쿨을 통해 우리 사회의 다양한 경력을 보유한 자들의 풍부한 경험을 균형 있게 반영해 일반인의 상식에 맞는 합리적 판단을 내리는 법조인이 양성될 수 있을지 심각한 의문이 든다는 지적이다.

서울회는 “균형 있는 합격생 선발을 통해 사회의 균형추 역할을 감당할 수 있는 법조인이 양성될 수 있도록 서울대, 연세대 로스쿨은 인권위의 자료 제출 요구에 즉각 응해야 한다”면서 “학생 선발 시 ‘나이 차별’이 있었는지 명백히 밝힐 것은 밝히고 다시는 재발하지 않도록 엄정한 조치와 개선이 이루어질 것을 요구한다”고 주문했다.

xxx

신속하고 정확한 정보전달에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이 기사를 후원하시겠습니까? 법률저널과 기자에게 큰 힘이 됩니다.

“기사 후원은 무통장 입금으로도 가능합니다”
농협 / 355-0064-0023-33 / (주)법률저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12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윤진수 교수님 2016-02-14 03:47:26
"좋은 집안의 자녀가 로스쿨에 합격했다면, 이는 객관적으로 성적과 같은 좋은 평가요소를 갖추었기 때문에 그러한 것이지, 부모의 배경 때문이라고는 할 수 없다. 그런데도 예컨대 법조인의 자녀가 로스쿨에 들어오면 무조건 의심의 눈으로 보는 사람도 있다. 그렇다면 이러한 자녀는 로스쿨에 들어오면 안 되는가?"

"객관적으로 성적과 같은 좋은 평가요소를 갖추었기 때문에 그러한 것"이라고 단정짓는 근거는 어디에 있는 것일까요? 정말 현실을 모르시는 것일까요? 토익, 학점, 리트, 면접으로 사람의 운명이 결정되는 것은 타당한 것일까요?

법률저널 2016-02-14 03:32:00
"로스쿨 반수생’의 문제도 심각하다. 로스쿨 준비생들이나 로스쿨 재학생들 사이에서 보다 좋은 로스쿨에 가기 위해 반수의 행렬이 이어지면서 사회적 지출비용이 발생하는 것은 결국 로스쿨이 다양성은 커녕 학벌주의를 답습한 결과에 기인한다. 주요 로스쿨의 경우 학벌차별도 모자라 나이차별까지 심하다. 일부 대학과 일부 전공 출신, 사회 경험이 거의 없는 대학 졸업자가 편중되는 비정상적인 구조는 다양한 배경과 경험을 가진 법조인을 양성한다는 로스쿨의 원래 취지와 맞지 않는 심각한 문제를 낳고 있다."

역사 2016-02-14 00:13:08
기득권 세력들이 자신들의 기득권을 유지하기 위해 한 말의 공통적인 내용은 백성을 위한다거나 약자를 위한다는 말이었습니다. 지금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로스쿨 교수들은 새로운 기득권이 되어가고 있음을 본인들이 자각해야 합니다. 자신들의 문제를 모르거나 자신들의 문제점에 대한 비판을 들으려고 하지 않으니 "그러면 로스쿨 교수들의 자녀들은 로스쿨에 입학하지 말란 말이냐"라는 볼멘 소리를 하고 동문서답을 하는 것 같습니다. 투명성과 공정성을 보장하라는 비판에 대한 대답치고는 궁색하다는 생각이 드는 것이 일반 국민들의 입장입니다.

2016-02-13 21:15:57
로스쿨 만들기 위해 가져다 붙인 수많은 이유들이 결국 허구였다는 말이군요.
노무현과 그 추종세력들 그리고 그에 동조한 현재 새누리당 위정자들 모두
대가리 박으세요. 국민의 한사람으로서 추상같은 명령입니다.

진정한사법개혁 2016-02-12 23:34:23
"오늘날과 같은 자유경쟁사회에서 패자(敗者)가 실력이 아니라 학벌, 제도, 부모를 탓하는 사회구조가 되어가고 있는 것이다. 특히 법학전문대학원-변호사시험 체제는 변호사시험성적이 공개되지 아니하여 결과에 승복하지 못하는 구조로 되어가고 있는 점에서 크게 우려 된다. 이는 법학전문대학원-변호사시험 체제의 미래를 위하여도 결코 바람직하지 못하다. 변호사시험의 높은 합격률(매년 전체 법학전문대학원 입학정원 대비75% 이상)과 시험성적 비공개는 법학전문대학원을 기득권의 안정적 세습수단으로 만든다는 비판도 있다."

공고&채용속보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