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유진의 '공감'(38)-<국가직 직전 국어 출제 포인트 99잡기! - 4편 >
상태바
이유진의 '공감'(38)-<국가직 직전 국어 출제 포인트 99잡기! - 4편 >
  • 이유진
  • 승인 2015.04.01 14:5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유진 KG패스원 국어

출제 포인트 82. 한자 성어 / 83. 속담 / 84. 관용구 ․ 관용어 - 무료특강 <어휘 마스터> 참고

※ 국가직은 단순히 성어, 속담, 관용 표현 자체의 의미를 묻기 보다는, 문맥 추론 능력을 활용하여 적절한 쓰임인지 판단하게 하는 문제가 나올 확률이 높습니다.

 

이유진 강사와 공무원국어에 대해서 더 깊이 공감하고 싶다면 이유진강사 카페:http://cafe.daum.net/naraeyoujin에서 더 많은 이야기를 나누세요^^

출제 포인트 85. 고유어
※ 국립국어원에서 매주 올리는 ‘정겨운 우리말’과 2014~2015년 추가 표제어 중 고유어입니다.

무르녹다 「동」 : 일이나 상태가 한창 이루어지려는 단계에 달하다.

예: 여럿이 둘러앉아 밥을 먹는 취미가 미상불 가정의 단란한 기분을 무르녹게 한다.

다라지다 「형」 : 여간한 일에 겁내지 아니할 만큼 사람됨이 야무지다.

예: 조금도 다라진 맛이 없는 것 같은 스물다섯이 채 되었을까 한 청년이다.

성그레 「부」 눈과 입을 천연스럽게 움직이며 소리 없이 부드럽게 웃는 모양.

예: 아이의 재롱을 보며 어머니가 성그레 웃는다. [참]썽그레․상그레.

가리다 「동」 곡식이나 장작 따위의 단을 차곡차곡 쌓아 올려 더미를 짓다.

예: 마당에 가려 놓은 장작은 겨울을 따뜻하게 보내고도 남을 만큼 많아 보였다.

틀수하다 「형」 성질이 너그럽고 침착하다.

풀치다 「동」 맺혔던 생각을 돌려 너그럽게 용서하다.

예: 할아버지께선 아이들의 장난을 풀치셨다.

보짱 「명」 마음속에 품은 꿋꿋한 생각이나 요량.

예: 유 선달이 먼저 이와 같은 호담을 보인 것은 비단 재산가들의 보짱을 크게 울렸을 뿐 아니라 학교 직원들에게도 적지 않은 충동을 주었다.

안쫑잡다 「동」 ①마음속에 품어 두다. ②겉가량으로 헤아리다.

예: 그녀는 노랫소리만 들어도 아버지의 주량을 안쫑잡을 수 있었다.

자늑자늑 「부」 동작이 조용하며 가볍고 진득하게 부드럽고 가벼운 모양.

예: 그는 그동안의 사정을 자늑자늑 설명하였다.

헌걸차다 「형」 매우 풍채가 좋고 의기가 당당한 듯하다.

예: 소리도 거쿨졌을 뿐만 아니라 허우대도 헌걸차서 그가 양반집에 태어났다면 그야말로 헌헌장부로 그 허우대만 가지고도 한몫 볼 풍신이었다.

맵짜다 「형」 성질 따위가 야무지고 옹골차다.

예: 보기보다 살림 솜씨가 맵짜다는 소리가 들리는 걸 보면….

나볏하다 「형」 몸가짐이나 행동이 반듯하고 의젓하다. [참]너볏하다.

예: 옆집 아들은 중학교 1학년인데, 나이에 비해 몸가짐이 나볏해서 고등학생인 줄 알았어요.

치매기다 「동」 번호나 순서 따위를 아래에서 위로 세어 가면서 값이나 차례를 정하다.

예: 쌓아 놓은 물건에 번호를 치매기면서 물량을 확인하였다.

산들다 「동」 바라던 일이나 소망이 틀어지다.

예: 비가 오는 바람에 어제 소풍은 산들어지고 말았다.

덤거리 「명」 못난 사람을 이르는 말.

♣ 새우젓 장수가 알 통과 덤통을 갖고 다니면서 덤을 줄 때는 질이 낮은 젓을 담은 덤통에서 내어 주었다는 데서 생긴 말이다.

탁탁하다 「형」 피륙 따위의 바탕이 촘촘하고 두껍다.

예: 탁탁하게 짠 천이라 촘촘한 올들이 보인다.

오쟁이 「명」 짚으로 엮어 만든 작은 섬.

예: 그는 해가 지기도 전에 소금 한 오쟁이를 다 팔아, 소금 값으로 받은 곡식을 지고….

허전거리다 「동」 다리에 힘이 아주 없어 쓰러질 듯이 계속 걷다. =허전대다.

예: 숟가락 쥔 손이 이따금 경련을 일으키고 허전거리며 눈물이 쏟아질 듯하여 참을 수 없었다.

포달 「명」 암상이 나서 악을 쓰고 함부로 욕을 하며 대드는 일.

예: 조석에 밥만 좀 질든지 하면, 숟갈을 집어 내던지고 포달을 부리었고….

각다분하다 「형」 일을 해 나가기가 힘들고 고되다.

예: 우선 당장은 각다분하겠지만 일을 당한 마당에는 역시 고향이 나을 터이었다.

누룽지튀각 「명」 누룽지를 말려서 기름에 튀긴 음식. ≒눌은밥튀각.

아가사창 「명」 ①내가 부를 노래를 사돈이 부른다는 뜻으로, 자기가 할 말을 상대편에서 먼저 함을 이르는 말.

②꾸짖음이나 나무람을 들어야 할 사람이 도리어 큰소리를 침을 이르는 말.

강치 「명」 ‘바다사자’를 일상적으로 이르는 말.

꼽꼽하다 「형」 ①조금 촉촉하다. ②날씨나 기온이 기분 나쁠 정도로 습하고 덥다.

다그다 「동」 [1] 물건 따위를 어떤 방향으로 가까이 옮기다.

예: 의자를 창 쪽으로 다가 두어라.

[2] 어떤 대상이 있는 쪽으로 몸을 움직여 그 대상과의 거리를 가깝게 하다.

[3] ①시간이나 날짜를 예정보다 앞당기다. ②어떤 일을 서두르다.

출제 포인트 86. 혼동하기 쉬운 어휘 (자료 : 교과서 부록 혼동 어휘)
- 나래국어 다음 카페 마무리 자료
출제 포인트 87. 생활용어 - 무료특강 <어휘 마스터> 참고
출제 포인트 88. 유의어인 한자어의 의미 - 나래국어 다음 카페 마무리 자료
출제 포인트 89. 외래어 표기법 - 무료특강 <어문규정 마스터> 참고
출제 포인트 90. 로마자 표기법 - 무료특강 <어문규정 마스터> 참고

- ‘ㅢ’는 ‘ㅣ’로 소리 나더라도 ‘ui’로 적는다.
- ‘ㄱ, ㄷ, ㅂ’은 모음 앞에서는 ‘g, d, b’로, 자음 앞이나 어말에서는 ‘k, t, p’로 적는다.
- ‘ㄹ’은 모음 앞에서는 ‘r’로, 자음 앞이나 어말에서는 ‘l’로 적는다. 단, ‘ㄹㄹ’은 ‘ll’로 적는다.
- 음운 변화가 일어날 때에는 소리나는 대로 반영하여 표기한다.
   예외> 체언에서 축약(거센소리되기)은 반영하지 않는다. / 된소리되기는 반영하지 않는다.
- 발음상 혼동의 우려가 있을 때에는 음절 사이에 붙임표(-)를 쓸 수 있다.
- 고유 명사는 첫 글자를 대문자로 적는다.
  (음식명은 소문자로 시작하는 것이나 주요 한식명 200개가 대문자로 시작하니 정답 판단의 우선 기
   준으로 삼지 않도록 한다.)
- 인명은 성과 이름의 순서로 띄어 쓴다. 이름은 붙여 쓰는 것을 원칙, 붙임표(-)를 쓰는 것을 허용한
   다. (이름의 음절 사이에서 일어나는 음운 변화는 표기에 반영하지 않는다.)
- ‘도, 시, 군, 구, 읍, 면, 리, 동’의 행정 구역 단위와 ‘가/길/로’는 각각 ‘do, si, gun, gu, eup, myeon, ri, dong, ga, gil, ro’로 적고, 그 앞에는 붙임표(-)를 넣는다. 붙임표(-)의 바로 앞뒤에서 일어나는 음운 변화는 표기에 반영하지 않는다.(‘시, 군, 읍’의 행정 구역 단위는 생략 가능)- 자연 지물명, 문화재명, 인공 축조물명은 붙임표(-) 없이 붙여 쓴다.
  (문화재청 주관의 ‘로마자 표기법’은 의미역 표기를 권장하지만, 국립국어원에서는 여전히 의미역
   을 반영하지 않고 있다. 즉, 의미역을 써도 되고 쓰지 않아도 표기에 어긋나는 것은 아니다.)

출제 포인트 91. 한자 독음에 주의 / 92. 한자 표기에 주의! / 93. 한자 혼동 어휘
- 나래국어 다음 카페 <한자 벼락치기> 자료

출제 포인트 94. 기미독립선언서 한자
- 무료특강 <고전지문과 고전문법> 참고

출제 포인트 95. 훈민정음 자모체계 - 무료특강 <고전지문과 고전문법> 참고

오음

기본자

상형 내용

가획자

이체자

아음

상설근폐후지형

(象舌根閉喉之形)

설음

상설부상악지형

(象舌附上齷之形)

ㄷ⇒ㅌ

순음

상구형(象口形)

ㅂ⇒ㅍ

 

치음

상치형(象齒形)

ㅈ⇒ㅊ

후음

상후형(象喉形)

ㆆ⇒ㅎ

 

출제 포인트 96. 훈민정음 운용법 - 무료특강 <고전지문과 고전문법> 참고

이어적기(=연철)와 끊어적기(=분철)
: 중세에는 받침 있는 체언이나 용언의 어간에 모음을 시작되는 어미나 조사가 붙을 때에 원칙적으로
   이어적기
   그 이후에는 간혹 끊어적기가 나타나기 시작했다

출제 포인트 97. 고전 높임법
(1) 주체 높임법(존경법) : 시+자음 어미 / 샤 + 모음어미
(2) 객체 높임법(겸양법) : 삽
(3) 청자 높임법(공손법) : 이 + 평서형 / 잇 + 의문형 / (명령법) -쇼셔

출제 포인트 98. 고전 의문문

(1) 판정 의문문 : -니여. -녀. -리여. -려. -ㄴ가. -ㄹ까. -가 (아/어 계통)
(2) 설명 의문문 : (의문사 있음)
-니오. -뇨. -리오. -료. -ㄴ고. -ㄹ꼬. -고 (오 계통)
-주어가 2인칭일 때는, 의문사의 존재여부와 관계없이, -ㄴ다, ㅭ다를 취한다.

출제 포인트 99. 차자표기 - 무료특강 <고전지문과 고전문법> 참고
(1) 고유 명사 표기 : ① 한자 차용 ② 고유어와 한자어의 경쟁
(2) 서기체 표기 : 한자를 우리말의 어순대로 나열한 표기 형태
(3) 이두 : 우리말의 어순으로 풀어 쓴 한문 문장인 서기체 형태에 문법 형태소(조사, 어미)를 보충하
는 차자표기로서 조선 초 ‘대명률직해’에 이르러 그 체계가 완성되었다.
(4) 구결 : 한문 원문을 읽을 때 뜻을 명백히 하거나 읽고 외우기 쉽게 하기 위해 구절 사이에 삽입하는 요소 = 토(吐)
(5) 향찰 : 한자의 음과 훈을 최대로 이용해 우리말을 표기하려던 신라시대의 표기법
      실질 형태소(체언, 어간) - 훈독
      형식 형태소(조사, 어미, 접사) - 음독

xxx

신속하고 정확한 정보전달에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이 기사를 후원하시겠습니까? 법률저널과 기자에게 큰 힘이 됩니다.

“기사 후원은 무통장 입금으로도 가능합니다”
농협 / 355-0064-0023-33 / (주)법률저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공고&채용속보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