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노근 의원 “수상한 자택근무” 우려
2008년 제1차 공기업 선진화 방안에 따라 민영화 대상기관으로 선정된 후 6년 동안 매각이 유찰되고 있는 한국건설관리공사가 경영악화로 인해 정원의 15%가량이 재택근무를 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24일 국정감사에서 한국건설관리공사가 이노근 의원(국토교통위원회, 새누리당. 사진)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이같이 나타났다.

최근 5년간 재택근무자는 총 625명이며 직원 대부분이 재택근무를 경험했다. 특히 5년 동안 무려 47개월을 재택근무한 사람도 있었고 1년 이상 재택근무를 한 사람도 273명에 달했다. 2014년 현재 82명이 재택근무를 하고 있는 상황. 5년간 퇴사자도 232명에 달해 인력유출도 심각한 것으로 드러났다.
공사는 재택근무자에게 일반직은 기본급의 75%, 전문직은 70%와 상여금 및 자기계발비를 지급하고 있다.
하지만 일반직의 경우 재택근무임에도 불구하고 한 달 급여가 300만원을 넘었고 고위직은 400만원 넘게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47개월간 재택근무를 한 A씨는 2억원 가까이 급여를 받기도 했다는 것.
지난 5년간 이들 재택근무자들에게 지급한 급여 총액은 254억원이었고 지난해 지급액은 49억원이었다.
이에 이노근 의원은 “재택근무제도는 경영합리화와 효율적인 인력관리를 위해 도입된 것”이라며 “이 제도가 운영에 있어서 왜곡돼 문제가 되고 있는 부분이 없는지 점검이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이 의원은 또 “상당한 급여를 받으면서도 장기적으로 재택근무를 하고 있는 부분, 자기계발비가 과도한 부분이 있지는 않은지에 대한 검토와 개선이 필요하다”고 꼬집었다.
한편 한국건설관리공사는 민간 매각 어려운데다 수주도 갈수록 저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설경기 침체와 감리 시장의 축소로 인한 낭항을 겪고 있어 실제 공사의 2011년 수주액은 369억 원이었으나 2013년에는 254억원에 그쳤다.
또 건설감리 업계 점유율 또한 낮아져 2010년 4.93%에 달했던 점유율은 지난해 2.79%로 급감한 것으로 이번 국감에서 확인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