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시험 필수과목 전략적으로 마무리하기-한국사(2)
상태바
공무원시험 필수과목 전략적으로 마무리하기-한국사(2)
  • 법률저널
  • 승인 2014.08.07 15:5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빈출 사료 뽀개기_2주차
 

사료 1
 
영락 9년(399) 기해에 백제가 서약을 어기고 왜와 화통하므로, 왕은 평양으로 순수해 내려갔다. 신라가 사신을 보내 왕에게 말하기를, “왜인이 그 국경에 가득 차 성을 부수었으니, 노객(신라 왕)은 백성된 자로서 왕에게 귀의하여 분부를 청한다.”고 하였다. …… 영락 10년(400) 경자에 보병과 기병 5만을 보내, 신라를 구원하게 하였다.
- 광개토 대왕릉 비문, 기해년조 ‧ 경자년조 기사
5월에 고구려대왕 상왕공(相王公)은 동쪽 오랑캐 신라 매금(東夷寐錦)을 만나 영원토록 우호를 맺기 위해 이곳에 왔으나, 신라 매금이 오지 않아 실행하지 못하였다. 이에 고구려대왕은 태자공과 전부 대사자 다우환노에게 명하여 이곳에 머물러 신라매금을 만나게 하였다. …… 상하(上下)에게 의복을 내리라는 교를 내리셨다. …… - 중원 고구려비
☞ 작년에 중국 지린성에서 고구려 비석이 발견되어 학계의 관심이 집중되었다. 당연히 이와 관련하여 광개토 대왕릉비나 중원 고구려비가 출제될 확률이 높을 것이라고 전망되었고, 그대로 올해 시험에 적중하였다. 비석이 세워진 시기와 해당 왕, 사료에 나오는 나라들을 잘 확인해 두어야 한다. 고구려가 신라왕을 노객이라 칭하거나 매금이라 격하해 표현한 점도 유심히 봐 두자. 아래는 광개토 대왕릉비의 내용과 중원 고구려비에 관련된 기출 문항이다.
다음 비문의 내용에 해당하는 고구려왕의 업적으로 옳은 것은? 2010 국가직 9급
영락 10년(400) 경자에 보병과 기병 5만을 보내 신라를 구원하게 하였다. 후퇴하는 왜적을 추격하여 종발성을 함락하고 병사를 두어 지키게 하였다.
① 후연을 격파하여 요동으로 진출하였다.
② 율령을 반포하여 국가 체제를 정비하였다.
③ 지방 세력 통제를 위해 불교를 공인하였다.
④ 지두우를 분할 점령하여 흥안령 일대의 초원 지대를 장악하였다.
 
정답 ① 광개토 대왕 비문의 내용이므로, 광개토 대왕의 업적을 골라야 한다. ②③ 율령을 반포하고 불교를 공인한 왕은 4세기 소수림왕이다. ④는 장수왕 시기이다.
고구려와 신라의 관계를 다음과 같이 알려주고 있는 삼국 시대의 금석문은? 2014 국가직 9급
○ 고구려의 군대가 신라 영토에 주둔했던 것으로 이해할 수 있는 기록이 보인다.
○ 고구려가 신라의 왕을 호칭할 때, ‘동이 매금(東夷寐錦)’이라고 부르고 있다.
○ 고구려가 신라의 왕과 신하들에게 의복을 하사하는 의식을 거행한 것으로 보인다.
① 광개토왕비
② 집안 고구려비
③ 중원 고구려비
④ 영일 냉수리비
 
정답 ③ ‘동이 매금’, 고구려 군대의 신라 주둔 등의 내용을 통해 중원 고구려비임을 알 수 있다.
삼국시대 금석문 자료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2014 지방직 9급
① 호우총 출토 청동 호우의 존재를 통해 신라와 고구려 관계를 살펴볼 수 있다.
② 사택지적비를 통해 당시 백제가 도가(道家)에 대한 이해를 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③ 울진 봉평리 신라비를 통해 신라가 동해안의 북쪽 방면으로 세력을 확장하였음을 알 수 있다.
④ 충주 고구려비(중원 고구려비)를 통해 신라가 고구려에게 자신을 ‘동이(東夷)’라고 낮추어 표현했음을 알 수 있다.
 
정답 ④ 중원 고구려비에는 고구려가 신라를 ‘동이’라 칭하고 신라의 왕을 ‘매금’이라고 낮추어 표현하는 등 고구려의 천하관을 엿볼 수 있다. 신라가 스스로 낮추어 표현한 것은 아니다.
사료 2
 
○ 신문왕 7년(687) 5월 문무 관료전을 지급하되 차등을 주었다.
○ 신문왕 9년(689) 1월 내외관의 녹읍을 혁파하고 매년 조(租)를 내리되 차등이 있게 하여 이로써 영원한 법식을 삼았다.
○ 성덕왕 21년(722) 8월 처음으로 백성에게 정전을 지급하였다.
○ 경덕왕 16년(757) 3월 여러 내외관의 월봉을 없애고 다시 녹읍을 나누어 주었다.
- 삼국사기
☞ 경제사에서 가장 중요하고 빈출되는 파트가 토지, 수취제도이다. 특히 고대 파트에서는 신문왕 때 관료전을 지급한 사실을 ‘왕권 강화’와 연결하여 묻거나, 경덕왕 때 녹읍이 부활된 사실을 ‘귀족 세력의 부활’과 관련하여 자주 묻는다. 아울러 성덕왕 때 지급된 토지가 일반 백성을 대상으로 한 토지 지급이라는 점도 알아두어야 한다.
통일신라시대 귀족경제의 변화를 말해주고 있는 밑줄 친 ‘이것’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014 국가
직 9급
전제왕권이 강화되면서 신문왕 9년(689)에 이것을 폐지하였다. 이를 대신하여 조(租)의 수취만을 허락하는 관료전이 주어졌고, 한편 일정한 양의 곡식이 세조(歲租)로서 또한 주어졌다. 그러나 경덕왕 16년(757)에 이르러 다시 이것이 부활되는 변화과정을 겪었다.
① 이것이 폐지되자 전국의 모든 국토는 ‘왕토(王土)’라는 사상이 새롭게 나오게 되었다.
② 수급자가 토지로부터 조(租)를 받을 뿐 아니라, 그 지역의 주민을 노역(勞役)에 동원할 수 있었다.
③ 삼국통일 이후 국가에 큰 공을 세운 육두품 신분의 사람들에게 특별히 지급하였다.
④ 촌락에 거주하는 양인농민인 백정이 공동으로 경작하였다.
 
정답 ② 신문왕 때 왕권 강화의 일환으로 폐지되었던 녹읍이 경덕왕 때 다시 부활되었는데 이는 전제왕권의 동요를 보여준다. 녹읍은 관직복무의 대가로 받은 토지로, 이를 지급받은 자는 해당 지역의 농경지로부터 조세를 징수할뿐 아니라 해당 지역 주민들의 노동력도 동원할 수 있었다. ③ 전공을 세운 사람들에게 지급된 것은 식읍이며, 육두품에 한정하여 지급한 것도 아니다. ④ 양인농민을 백정이라 칭한 것은 고려시대의 일이다.
(가)와 (나) 사이의 시기에 있었던 사실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013 국가직 9급
(가) 관리의 녹읍을 혁파하고 매년 조(租)를 내리되 차등이 있게 하였다.
(나) 여러 관리의 월봉을 없애고, 다시 녹읍을 나누어 주었다.
① 처음으로 병부를 설치하였다.
② 화백 회의에서 국왕을 폐위시킨 일이 있었다.
③ 호족이 지방의 행정권과 군사권을 장악하였다.
④ 6두품이 학문적 식견을 바탕으로 국왕의 정치적 조언자로 활동하였다.
 
정답 ④ (가) 녹읍을 혁파한 시기는 신문왕, (나) 녹읍이 부활한 시기는 경덕왕이다. 따라서 신라 중대에
해당하는 사실을 찾아야 한다. ①은 법흥왕, ②는 진지왕, ③은 신라 하대의 일이다.

자료제공:KG패스원 공무원 전문 연구소  
xxx

신속하고 정확한 정보전달에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이 기사를 후원하시겠습니까? 법률저널과 기자에게 큰 힘이 됩니다.

“기사 후원은 무통장 입금으로도 가능합니다”
농협 / 355-0064-0023-33 / (주)법률저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공고&채용속보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