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창현 교수의 형사교실] 준강도죄의 기수는 절취행위가 기수이어야 성립
상태바
[이창현 교수의 형사교실] 준강도죄의 기수는 절취행위가 기수이어야 성립
  • 법률저널
  • 승인 2012.07.20 11:4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대법원 2004.11.18.선고 2004도5074 전원합의체 판결

 

이창현 한국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1. 사건 개요


 가. 공소사실의 요지

피고인이 공소외인과 합동하여 양주를 절취할 목적으로 장소를 물색하던 중, 2003.12.9. 06:30경 부산 부산진구 부전동 소재 5층 건물 중 2층 피해자 1이 운영하는 주점에 이르러 공소외인은 1층과 2층 계단 사이에서 피고인과 무전기로 연락을 취하면서 망을 보고, 피고인은 위 주점의 잠금장치를 뜯고 침입하여 위 주점 내 진열장에 있던 양주 45병 시가 약 162만원 상당을 미리 준비한 바구니 3개에 담고 있던 중, 계단에서 서성거리고 있던 공소외인을 수상히 여기고 위 주점 종업원 피해자 2, 이윤룡이 주점으로 돌아오려는 소리를 듣고서 양주를 그대로 둔 채 출입문을 열고 나오다가 피해자 2 등이 피고인을 붙잡자 체포를 면탈할 목적으로 피고인의 목을 잡고 있던 피해자의 오른손을 깨무는 등 폭행한 것이다.
 
 나. 사건 경과  

피고인은 준강도의 기수죄로 공소가 제기되었으나 원심에서는 피고인이 피해자 2의 오른손을 깨무는 등 폭행한 사실을 인정한 다음 피고인을 준강도 미수죄로 의율하여 징역 1년6월을 선고하였고, 이에 검사는 법리오해의 위법이 있다며 상고하였다.
 
2. 쟁 점


준강도죄의 기수와 미수의 판단기준을 절취행위를 기준으로 할지, 폭행 또는 협박행위를 기준으로 할지, 아니면 절취행위와 폭행 또는 협박이 모두 완성되었을 때에 기수로 보아야 할지가 문제된다.

 

3. 판결이유 정리 (다수의견 : 대법관 9인 의견)
 

가. 형법 제335조에서 절도가 재물의 탈환을 항거하거나 체포를 면탈하거나 죄적을 인멸할 목적으로 폭행 또는 협박을 가한 때에 준강도로서 강도죄의 예에 따라 처벌하는 취지는, 강도죄와 준강도죄의 구성요건인 재물탈취와 폭행 · 협박 사이에 시간적 순서상 전후의 차이가 있을 뿐 실질적으로 위법성이 같다고 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피해자에 대한 폭행 · 협박을 수단으로 하여 재물을 탈취하고자 하였으나 그 목적을 이루지 못한 자가 강도미수죄로 처벌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절도미수범인이 폭행 · 협박을 가한 경우에도 강도미수에 준하여 처벌하는 것이 합리적이라 할 것이다. 만일 강도죄에 있어서는 재물을 강취하여야 기수가 됨에도 불구하고 준강도의 경우에는 폭행 · 협박을 기준으로 기수와 미수를 결정하게 되면 재물을 절취하지 못한 채 폭행 · 협박만 가한 경우에도 준강도죄의 기수로 처벌받게 됨으로써 강도미수죄와의 불균형이 초래된다.
 

나. 위와 같은 준강도죄의 입법 취지, 강도죄와의 균형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보면 준강도죄의 기수 여부는 절도행위의 기수 여부를 기준으로 하여 판단하여야 한다고 봄이 상당하다.
      

이와 달리 절도미수범이 체포를 면탈하기 위하여 폭행을 가한 경우에 준강도미수로 볼 수 없다고 한 대법원 1964.11.20.선고 64도504 판결, 1969.10.23.선고 69도1353 판결 등은 위의 법리에 저촉되는 범위에서 이를 변경하기로 한다.
 
4. 별개의견 정리 (대법관 3인 의견)
 

가. 이 사건과 같이 절도미수범이 체포면탈 등을 목적으로 폭행 또는 협박을 가한 경우에 이를 준강도죄의 기수범으로 처벌할 수 없다고 보는 점에 있어서는 다수의견과 견해를 같이 한다. 그러나 절취행위의 기수 여부만을 기준으로 하여 준강도죄의 기수 여부를 판단하여야 한다는 다수의견의 견해에는 찬성할 수 없다.
      

형법 제335조에 정한 준강도죄는 절도가 재물의 탈환을 항거하거나 체포를 면탈하거나 죄적을 인멸할 목적으로 폭행 또는 협박을 가함으로써 성립하는 죄이므로, 준강도죄에 있어서 그 행위의 주체는 절도범인(미수범 포함)이라 할 것이지만, 그 구성요건적 행위는 폭행 또는 협박이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
 

나. 그런데 준강도죄에 있어서의 폭행이나 협박은 일반강도죄와의 균형상 사람의 반항을 억압하는 수단으로서 일반적 · 객관적으로 가능하다고 인정되는 정도일 것이 요구되므로(대법원 1981.3.24.선고 81도409 판결, 1990.4.24.선고 90도193 판결 등 참조), 일반적 · 객관적으로 보아 사람의 반항을 억압할 정도의 폭행 또는 협박을 개시한 때에 준강도죄의 실행의 착수가 있다고 보아야 한다.
      

나아가 형법 제342조는 제335조의 미수범을 처벌한다고 규정하고 있는바, 형법 제25조 제1항은 범죄의 실행에 착수하여 행위를 종료하지 못하였거나 결과가 발생하지 아니한 때에는 미수범으로 처벌한다고 규정하고 있으므로 준강도죄에 있어서도 원칙적으로 그 실행의 착수 이후의 상황에 의하여 기수 여부를 결정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절도범이 일반적 · 객관적으로 보아 사람의 반항을 억압할 정도의 폭행 또는 협박을 개시하기는 하였으나 그 행위를 종료하지 못하였거나 또는 그로 인한 결과가 발생하지 아니한 때에는 이를 준강도죄의 미수범으로 처벌한다는 것이 형법 제25조, 제335조 및 제342조가 규정하는 바라고 할 것이다.
 

다. 원래 '사람의 신체에 대한 유형력의 행사 등 불법한 일체의 공격'을 의미하는 형법 제260조 제1항의 폭행에 있어서는 그러한 행위가 미수에 그친 경우를 상정하기 어렵고, 형법 역시 폭행죄의 미수범을 처벌하는 규정을 두고 있지 않지만, ‘사람으로 하여금 공포심을 일으킬 수 있을 정도의 해악의 고지’를 의미하는 형법 제283조 제1항의 협박에 있어서는 그러한 행위가 미수에 그친 경우를 상정할 수 있으며 형법도 제286조에서 협박죄의 미수범을 처벌한다고 규정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준강도죄에 있어서의 폭행 또는 협박이란 앞서 본 바와 같이 형법 제260조 제1항 및 제283조 제1항에 정한 폭행이나 협박의 개념과는 달리 일반적 · 객관적으로 보아 사람의 반항을 억압할 정도일 것이 요구되는 것이어서, 그와 같은 정도의 폭행 또는 협박행위가 개시되기는 하였으나 상대방에게 도달하지 않았거나 도달하였다고 하더라도 상대방의 반항이 전혀 억압되지 않은 경우를 충분히 상정할 수 있으므로, 그러한 경우를 준강도죄의 미수범으로 처벌하는 것이 원칙일 것이다.
      

이는 객관적으로 보아 피해자의 반항을 억압할 정도의 폭행 또는 협박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피해자가 반항의사가 전혀 억압된 바 없이 단지 귀찮은 생각에서 또는 연민의 정에서 재물을 교부한 경우 이를 강도죄의 기수범이 아니라 미수범으로 처벌하여야 할 것인 점에 비추어 보더라도 더욱 그러하다.
 

라. 다만, 형법 제335조는 절도범인이 절도의 기회에 재물탈환의 항거 등의 목적으로 폭행 또는 협박을 하는 행위가 그 태양에 있어서 재물탈취의 수단으로서 폭행 또는 협박을 가하는 강도죄와 같이 보여질 수 있는 실질적 위법성을 지니게 됨에 비추어 이를 강도의 예에 의하여 무겁게 처벌하기 위한 규정이라는 점(대법원 1973.11.13.선고 73도1553 전원합의체 판결 참조)과 다수의견이 들고 있는 여러 논거들을 종합하여 볼 때, 폭행 · 협박행위를 기준으로 하여 준강도죄의 미수범을 인정하는 외에 절취행위가 미수에 그친 경우에도 이를 준강도죄의 미수범이라고 보아 강도죄의 미수범과 사이의 균형을 유지함이 상당하다고 할 것이다.
      

그러므로 폭행 · 협박행위 또는 절취행위 중 어느 하나라도 미수에 그쳤다면 이는 준강도죄의 미수범에 해당한다고 보아야 할 것인바, 다수의견은 절취행위의 기수 여부만을 기준으로 삼은 나머지 준강도죄의 미수범으로 처벌하여야 할 원칙적인 경우를 아예 제외하고 있는 점에서 찬성할 수 없어 이에 별개의견을 밝힌다.

 

5. 반대의견 정리 (대법관 1인 의견)
 

가. 다수의견은 준강도죄의 입법 취지, 강도죄와의 균형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보면, 준강도죄의 기수 여부는 절도행위의 기수 여부를 기준으로 판단하여야 한다고 봄이 상당하다고 하면서, 이러한 견해에 어긋나는 종전의 대법원판결들은 변경되어야 한다고 한다.
      

그러나 이러한 견해는 준강도죄의 본질 및 미수범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데서 비롯된 것으로 볼 수밖에 없어 찬성하기 어렵다.
 
 나. 형법 제335조에서 절도가 재물의 탈환을 항거하거나 체포를 면탈하거나 죄적을 인멸할 목적으로 폭행 또는 협박을 가한 때에는 강도죄의 예에 따라 처벌하도록 한 취지는, 강도죄와 준강도죄의 구성요건인 재물탈취와 폭행 · 협박 사이에 시간적 순서상 전후의 차이가 있을 뿐 실질적으로 위법성이 같다고 보기 때문이라는 점을 다수의견은 그 주된 논거로 삼고 있다.
      

그러나 형법 제335조의 준강도죄는 그 행위의 위험성으로 인하여 형사정책상 강도죄와 같이 처벌하는 독립된 범죄로서, 강도죄와 불법내용의 동일성을 인정할 수 있는 재물탈환항거를 목적으로 하는 폭행 · 협박 외에 그 동일성을 인정할 수 없는 체포면탈이나 죄적인멸을 목적으로 하는 폭행 · 협박을 포함하는 것이므로 강도죄와 준강도죄는 그 취지와 본질을 달리한다고 보아야 한다.
 

다. 그리고 다수의견은 강도죄에 있어서는 재물을 강취하여야 기수가 됨에도 절도미수가 재물탈환을 항거할 목적으로 폭행 · 협박을 가한 경우 준강도의 기수로 강도의 기수와 동일하게 처벌받게 되는 점이 균형이 맞지 않는다고 하나, 절도미수라고 하더라도 일정한 목적을 위하여 사람의 반항을 억압할 정도의 폭행 또는 협박을 하는 경우 그 실질적 위법성이 강도죄와 같다고 보아 이를 강도죄의 기수와 동일하게 처벌하는 것이 형사정책적으로 반드시 불합리하다거나 균형이 맞지 아니하다고 단정할 수 없고, 절도가 미수에 그쳤다는 점은 양형의 단계에서 유리한 사정으로 참작함으로써 다수의견이 우려하는 불균형은 대부분 해소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점에서 다수의견이 내세우는 논거는 그 타당성이 의심스럽다.
      

나아가, 준강도죄에 있어 행위의 주체는 '절도'이고, 구성요건적 행위는 '재물의 탈환을 항거하거나 체포를 면탈하거나 죄적을 인멸할 목적으로 폭행 또는 협박을 가하는 것'이다. 한편, 형법 제25조 제1항이 "범죄의 실행에 착수하여 행위를 종료하지 못하였거나 결과가 발생하지 아니한 때에는 미수범으로 처벌한다."고 규정하고 있는 데서 알 수 있듯이 범죄의 기수 · 미수를 구별하는 기준은 범죄의 완성 여부 즉, 구성요건적 행위의 종료 여부이다. 그러므로 준강도죄의 주체는 절도이고 여기에는 기수는 물론 형법상 처벌규정이 있는 미수도 포함되는 것이지만, 준강도죄의 기수 · 미수의 구별은 구성요건적 행위인 폭행 또는 협박이 종료되었는가 하는 점에 따라 결정된다고 해석하는 것이 법규정의 문언 및 미수론의 법리에 부합하는 것이다.
 

라. 결국, 다수의견이 내세우는 논거는 그 합리성이 없을 뿐만 아니라, 설사 그 주장과 같은 불균형이 인정되는 경우라도 이는 양형의 단계에서 해결할 성질의 것이고, 양형의 단계에서 해결할 수 없는 불균형이 있다면 이는 준강도의 법정형을 낮추거나, 절도미수를 준강도의 주체에서 제외함으로써 준강도의 주체를 절도기수에 한정하는 등 입법적으로 해결하여야 할 문제라고 할 것인바, 이를 형법 제335조의 해석론으로 해결하려는 다수의견의 시도는 법규정의 문리해석상 허용되지 않는다고 보아야 할 뿐만 아니라, 준강도죄의 본질 및 미수범의 법리에 어긋나는 것이라고 하지 않을 수 없다.
 
6. 검 토
 

준강도죄의 기수여부를 절취행위의 기수여부를 기준으로 판단하여야 한다는 다수의견은 절취행위기준설(이재상, 형법각론, 박영사, 2010, 311면 등)에, 폭행 또는 협박행위의 기수여부를 기준으로 판단하여야 한다는 반대의견은 폭행 · 협박행위기준설(배종대, 형법각론, 홍문사, 2010, 436면 등)에, 폭행 · 협박행위와 절취행위가 모두 기수이어야 한다는 별개의견은 종합설 내지 결합설(박상기, 형법각론, 박영사, 2011, 287면; 임웅, 형법각론, 법문사, 2012, 341면 등)에 각 해당되어 대법원의 여러 견해가 학계의 학설과 똑같이 나뉘어있는 상태이다.
   

준강도죄는 절도가 체포면탈 등을 목적으로 폭행 또는 협박을 가한 때에 성립한다는 형법 제335조의 문언에 충실한 해석과 준강도죄가 강도죄와 그 취지와 본질이 다른 독립된 범죄라는 점을 강조하는 경우에는 폭행 · 협박기준설이 타당하다고 볼 수 있으며, 준강도죄는 본질상 재산범죄인 점을 강조한다면 절취행위기준설이 타당하다고 볼 수도 있다.
   

그러나 준강도죄는 그 구성요건인 재물탈취와 폭행 · 협박 사이에 시간적 순서에 있어서 차이가 있을 뿐 실질적으로 강도죄와 같아서 사후강도죄라고 하는 바와 같이 강도죄와 동일한 행위구조로 일관되게 파악하여 강도죄가 기수가 되기 위해서는 상대방을 폭행 또는 협박하였을 뿐만 아니라 절취까지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에서 종합설(결합설)이 타당하다고 판단된다. 종합설은 절취행위기준설이 그 근거로 내세우는 준강도죄의 본질이 재산범죄라는 점이나 강도죄와의 균형과도 일치하고 있다.
   

다만, 대법원의 별개의견에서도 인정하고 있는 바와 같이 절취행위가 기수이면서 폭행이 개시되었으나 미수에 그친 경우는 상정하기 어려우며, 협박이 개시되었으나 미수에 그친 경우에도 이론상은 몰라도 실제 발생할 수 있는 경우는 거의 없을 것이고(대법원 2007.9.28.선고 2007도606 전원합의체 판결에서 협박죄는 위험범이라는 내용 참조) 뿐만 아니라 미수에 그친 폭행 또는 협박이란 별다른 의미가 없어서 준강도죄가 아닌 단순절도 등으로 의율되기 쉽기 때문에 실제 사안의 해결에 있어서는 본 판례의 경우와 같이 대법원의 다수의견(절취행위기준설)과 별개의견(종합설)의 어느 견해의 의하여도 결론이 달라지지는 않을 것으로 보여진다.

 

* 핵심사항 : 미수와 기수, 절도, 강도, 준강도, 절취, 폭행, 협박.

 

이창현 교수는...
연세대 법대 졸업, 서울북부·제천·부산·수원지검 검사
법무법인 세인 대표변호사
이용호 게이트 특검 특별수사관, 아주대 법대 교수, 사법연수원 외래교수(형사변호사실무),
사법시험 3차 시험위원 등

xxx

신속하고 정확한 정보전달에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이 기사를 후원하시겠습니까? 법률저널과 기자에게 큰 힘이 됩니다.

“기사 후원은 무통장 입금으로도 가능합니다”
농협 / 355-0064-0023-33 / (주)법률저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공고&채용속보
이슈포토